어린이과학동아
"교수"(으)로 총 9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기진 교수님의 보물섬 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100126
- ...
- 쌍둥이 블랙홀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090313
- 아까는 왜 길을 잃을 염려가 없다고 말씀하신 거죠? 하하. 제 얘기 좀 들어 보시라니까요. 최근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 빌 한슨 교수팀이 밝혀 냈듯이 그건 우리 개미들의 뛰어난 ‘후각’ 덕분이랍니다. 우리 개미들이 살아가는 서식지는 그 환경에 따라 각자 독특한 냄새를 풍기거든요. 개미들은 바로 이 냄새를 구별해서 맡을 수 있기 때문에 사막에서도 ...
- 하늘을 나는 자동차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090130
- 생산하는 기술이 꼭 필요할 것 같은데…. 그게 가능한가요? 하하, 그건 걱정 마세요. 이번에 성균관대학교 나노과학기술원 홍병희 교수와 김수근 박사, 삼성전자종합기술원 최재영 박사팀이 니켈판에 탄소막을 만드는 방법을 이용해 세계 최초로 그래핀을 대량 합성하는 데 성공했거든요. 하지만 성능이 아무리 좋아도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크기를 만들 수 없다 ...
- 거북은 바다 고속도로를 타고~어린이과학동아 l20090114
- 않는 등 자리에 따라 7가지 그룹으로 성격을 구분할 수 있었어요. 따분하기만 한 버스를 흥미진진한 심리학 연구 대상으로 삼은 파셋 교수의 창의력이 놀랍네요. 만화뉴스 캐나다 알버타 대학교 연구팀은 1985년, 1986년, 2005년, 2006년의 4월과 5월에 걸쳐 북극 보퍼트 해안에 살고 있는 북극곰들의 혈액을 채취해 조사했어요. 그 결과 북 ...
- 퍼져라~! 행복바이러스어린이과학동아 l20081231
- 돈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 돈은 당시 영국의 1인당 국민소득보다도 큰 액수다. 행복바이러스 연구 결과를 발표한 파울러 교수도 750만 원의 돈이 생겼을 때 생기는 행복감은 ‘친구의 친구의 친구’가 행복한 경우의 3분의 1밖에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사람들 사이에서 느끼는 행복은 돈 주고도 살 수 없다는 말이 사실인 것이다. 극비공개!- ...
- 후끈후끈~, 동물들의 겨울나기 비법(2)어린이과학동아 l20081212
- 뛰어. 이런 일이 어떻게 가능한지는 아직 완벽하게 밝혀지진 않았어. 그런데 지난 2005년, 캐나다 카를레톤대학교 자넷 스토레이 교수는 숲개구리가 완벽한 겨울잠을 잘 수 있는 비밀을 어느 정도 밝혀 냈어. 비밀은 바로 몸 속에 얼음을 만들어‘냉동 개구리’가 되는 거야. 자유자재로 몸을 얼렸다 녹이면서 겨울을 나는 우리한테 과연 전기난로가 필요할 ...
- 물고기도 여론을 따른다?어린이과학동아 l20081127
- 사람처럼 여론에 따라 우두머리를 뽑는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어요. 호주 시드니대학교 애쉴리 와드 교수는 큰가시고기가 무리를 이끄는 우두머리를 어떻게 정하는지 관찰했어요. 우두머리가 없는 물고기 떼를 잡아 이미 우두머리가 있는 몇 개의 물고기 무리에 섞어 어떤 무리를 따라가는지 지켜본 거죠. 연구팀에 따르면 대부분의 물고기들은 매우 빨리 우두머리 ...
- 백두대간 종단 열차를 타다!(2)어린이과학동아 l20081111
- 유역과 분수계는 반영하고 있지만 작은 유역은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단점도 있다. 서울대학교 박수진 교수와 부산대학교 손일 교수는 이런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산줄기 지도’를 만들었다. 이 지도는 위성 영상을 통해 고도와 산 기울기를 계산해 산줄기를 추출한 것으로, 큰 강과 작은 강의 유역을 정확히 나타낼 수 있다. 위성 영상으로 ...
- 스트레스 해소법은 아스피린어린이과학동아 l20081031
- 이제 조금만 더 기온이 높아지면 저는 한라산 꼭대기에서도 살 수 없을 거예요. 그렇게 되면 저는…. 흑~. 이런! 경희대학교 공우석 교수팀에 따르면 여름철 최고 기온이 낮은 곳에 사는 고산식물일수록 기후변화에 큰 피해를 입는다던데….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저랍니다. 가솔송, 월귤, 담자리꽃나무, 백산차 등 북한 고산식물도 온난화로 가장 큰 피 ...
- “와글와글~!” 시끄러워지는 바다어린이과학동아 l20081013
- 근육, 혀, 기도의 움직임을 스스로 느끼면서 교정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어요. 캐나다 맥길대학교 심리학과 데이비드 오스트리 교수팀은 말을 할 때 쓰이는 얼굴 근육을 방해할 수 있는 실험 장치를 만들었어요. 그리고는 20년 전 청력을 잃어 소리를 듣지 못하는 다섯 명을 모집해 ‘새스(sass)’나 ‘소(saw)’처럼 자음이 같고 입을 크게 벌 ...
이전858687888990919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