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교수"(으)로 총 9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숭례문 화재 보고서어린이과학동아 l20080229
- 건물이 낮은 온도로 오랫동안 타는 반면 목조 건물은 높은 온도로 짧은 시간 동안 타는 것입니다. 이동명(경민대학교 소방방재학과 교수) [소제시작]화(火)를 부른 숭례문의 구조[소제끝] 2층 누각의 바닥에서 시작된 열기는 빠르게 천장으로 번졌다. 출동 40여 분 후 대부분의 불길이 잡히고 연기만 나는 상태가 되자 소방대원들은 화재 진압의 강도를 ...
- 똑똑똑~, 공부'뇌'를 깨워라(2)어린이과학동아 l20080229
- 옆 상자를 보세요). 어때? 둘 다 재미있긴 하지만 다른 종류의 재미라는 걸 알겠지? ①번을 인지적 재미, ②번을 정서적 재미라고 해. 교수님의 연구에 따르면 ①번 같은 인지적 재미를 느꼈을 때만 이마엽이 활발하게 반응했대. 실제로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으로 뇌를 찍어 보니, 인지적 재미를 느꼈을 때는 생각, 추리, 기억을 담당하는 전두엽 ...
- 똑똑똑~, 공부'뇌'를 깨워라(1)어린이과학동아 l20080229
- 해라? 보통 공부할 때 잡생각을 떠올리거나 노래를 들으면 집중력이 흐트러진다고들 해. 하지만 2005년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김민식 교수님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그런 행동을 이용하면 오히려 집중이 잘 될 수도 있대. 예를 들어, 밖에서 들려오는 시끄러운 소리 때문에 공부에 집중이 안 될 때는 오히려 음악을 듣거나 노래를 부르면서 공부를 하는 게 ...
- “에너지 팍팍!” 무릎 발전소어린이과학동아 l20080229
- 그 동안 나노물질의 성질을 개선하기 위해 열처리를 할 경우 영겨붙거나 물질의 성질이 바뀌는 경우가 많았어요. 하지만 현택환 교수팀은 ‘싸고-굽고-벗기기’ 공정을 이용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답니다. [소제시작]태양계 닮은 외계 행성계 발견![소제끝] 충북대학교 한정호 교수, 한국천문연구원의 박병곤 부장, 이충욱 연구원 등 ...
- 질병은 근육에게 물어 봐~어린이과학동아 l20080214
- 소제끝] 글_서영표 기자 요구르트를 많이 먹으면 날씬해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어요. 영국 런던 임페리얼칼리지의 제레미 니컬슨 교수팀은 실험용 쥐에게 ‘락토바실러스’라는 유산균을 2주 동안 먹이고 관찰했어요. 그 결과 쥐의 몸에서 지방흡수가 줄어드는 걸 발견할 수 있었어요. 그리고 이 때 유산균이 쓸개즙의 기능을 약하게 만든다는 것도 알아 냈지요. ...
- 천년부경 龍어린이과학동아 l20080214
- 직접 천년부경룡을 발굴하신 백인성 교수님과 복원을 함께하신 임종덕 교수님께 궁금한 것들을 모두 여쭤 볼래. 기자수첩 준비 완료! 교수님 질문 있어요~! 김기자: 와~, 공룡 화석 발굴이라니 정말 멋져요! 어떻게 해야 공룡 화석을 발견할 수 있나요? 백인섭 교수: 공룡 화석은 매우 특별한 곳에서만 발견할 수 ...
- “내 아기를 부탁해~!”어린이과학동아 l20080131
- 이준덕 기자 아이스크림의 부드러움을 지켜 주는 새로운 물질이 개발됐습니다. 미국 위스콘신메디슨대학교 스리니바산 다모다란 교수팀은 아이스크림이 녹았다가 다시 얼더라도 원래의 결정 크기를 유지해 주는 단백질을 만들었어요. 파파야에서 추출한 젤라틴으로 만든 이 단백질은 아이스크림 속에서 물 분자가 이동하지 못하게 해서 얼음 결정이 커지는 걸 막아요 ...
- 고래 조상은 너구리만 한 포유류?어린이과학동아 l20080114
- 이렇게 태어나서 너무 기뻐요. 나를 탄생시킨 경상대학교 노규진 교수님을 비롯해, 강원대학교 이은송 교수님, 충북대학교 현상환 교수님, 축산과학원 성환후 박사님, 경기도 축산위생연구소분들께 감사를 전하고 싶네요. 그럼 이제, 어떤 과정을 통해 복제돼지로 탄생했는지 설명을 좀 해 주세요. 말하자면 좀 긴데…. 잘 들으세요. ...
- 내몸으로 열려라 참깨! 바이오인식(1)어린이과학동아 l20080111
- 눈에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기관이지. 홍채의 색깔과 주름, 무늬가 사람마다 다르단다. 1994년 영국 캠브리지대학교 존 더그맨 교수는 이런 홍채의 특징을 이용해 사람을 구별해 내는 방법을 개발했지. 홍채는 태어난 지 12개월이 지나면 죽을 때까지 모양이 변하지 않고, 일란성 쌍둥이라도 각각 다른 모양을 하고 있기 때문에 바이오인식에 자 ...
- 시간 공장, 새해를 만들다!(2)어린이과학동아 l20071229
- 정전이 났을 때 제가 큰 역할을 할 수 있게 되었죠. 저에게 1초는 기계가 멈추지 않게 도와 줄 수 있는 보람찬 시간이에요. 이용복 교수 하늘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시간을 연구하길 좋아하는 학자입니다. 저에게 1초는 하루마다 다른 의미입니다. 어제는 그저 아무 의미도 없이 지나갔었지만 오늘은 연구에 영감을 주는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오른 귀중한 시 ...
이전8889909192939495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