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교수"(으)로 총 977건 검색되었습니다.
- 멜라민어린이과학동아 l20081013
- 이용하는 것이 그 핵심! 그럼 검사 절차를 한 번 볼까요? {BIMG_R14}멜라민에 관한 글을 마치며 Y기자는 취재 때 만났던 식품공학과 교수님의 말씀을 떠올렸어요. “모든 물질은 그 자체로는 좋지도, 나쁘지도 않아요. 적절한 곳에 적절한 농도로 들어가면 좋은 물질이지만 반대가 되면 나쁜 물질이 되는 거랍니다.” 이처럼 쓰이기에 따라서 유용한 ...
- 한글의DNA를 찾아서(2)어린이과학동아 l20080930
- 정말 강한 생명력을 지닌 글자라고 생각해. 한글의 뛰어난 DNA는 이제 세계인에게 인정받고 있어. 미국 UCLA의 제레드 다이아몬드 교수는 한글은 세계에서 가장 쉽고 가장 간단하게, 그리고 가장 풍부하게 인간의 언어를 표현하는 문자 체계라고 칭찬했단다. 유네스코는 문맹퇴치에 앞장 선 사람에게 매년 9월 8일에 주는 상을 ‘세종대왕상’이라고 이름 ...
- 사람과 사람이 가까운 세상을 꿈꾸며어린이과학동아 l20080930
- 있는지 여쭤 보았어요. “솔직히 어린 시절에는 딱딱한 과학을 좋아하지 않았어요. 그런데 프로그램을 진행하다가 카이스트의 정재승 교수님이 쓰신 ‘과학콘서트’라는 책을 읽었는데 참 재미있었어요. 이렇게 재미있게 풀어 쓰면 많은 사람들이 과학을 친근하게 느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지요.” 사람들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신 김미 ...
- 2020, 똑똑한 고속도로가 온다!(2)어린이과학동아 l20080910
- 다 유도 장치가 달린 도로에서만 쓸 수 있는 기술이에요. 그러나 무인 운전이라고 하면 보통 도로에서도 달릴 수 있어야겠죠. Q 그럼 교수님께서 만드신 ‘SmaCar’는 그냥 도로를 달린다는 건가요? A 물론이에요. 동영상을 직접 보면 알겠지만 운전석에 사람이 없어도 잘 달려요. 지금도 서울에서 대전 갈 때 종종 이 기능을 이용하지요. 맑은 날 ...
- 2020, 똑똑한 고속도로가 온다!(1)어린이과학동아 l20080910
- 달렸다~, 멈췄다~ 성미 급한 운전자 운전자의 특성도 교통 체증을 심하게 만드는 원인이다. 2004년 서울대학교 물리학과 김두철 교수팀은 물리학 이론을 이용해 교통 체증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했다. 도로에 차가 많더라도 앞과 뒤에 있는 차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운전하기만 하면 느리지만 꾸준하게 움직일 수 있다. 이 상태를 ‘ ...
- 찬 바닷물로 적조 뚝!어린이과학동아 l20080829
- 하는 성질은 전혀 떨어지지 않아요. 특히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해 만들어 로봇의 피부에도 쓰일 만큼 충분히 유연하다고 해요. 소메야 교수팀은 이번에 개발한 소재를 이용해 로봇의 피부를 만들 계획이라고 해요. 여기에 압력과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넣으면 부드러우면서도 사람처럼 감각을 느낄 수 있는 로봇 피부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답니다. 사 ...
- 아기돼지 삼형제의 첨단빌딩 프로젝트(1)어린이과학동아 l20080813
- 수직농장이 세워질 예정이거든. 허걱! 빌딩이 통째로 농장? {BIMG_l12}수직농장은 미국 콜롬비아대학교 환경과학과 딕슨 데스포미어 교수가 제안한 것으로, 도시 한가운데 있는 고층 빌딩에서 농작물과 해산물을 기르는 새로운 개념의 첨단 빌딩이야. 현재 미국 뉴욕시에서 건설을 검토 중이지. 1000m2의 땅에서 최대 1000m2의 농경지를 사용할 ...
- 악어는 알 속에서부터 대화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080731
- 해류를 따라 울릉분지로 흘러오면서 독도 일대가 황금어장이 된다는 걸 밝힌 거죠. 그러고 보니 장경일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교수팀도 한국해양연구원, 부경대학교 연구팀과 함께 독도 심층 해류를 발견했다고 들었어요. 맞아요. 독도 서쪽 2000m 깊이의 심해에서 동북쪽으로 흐르는 거대한 해류로, 시베리아에서 내려와 울릉도 부근에 들어온 뒤 독도를 ...
- 놀랄 때 눈 동그랗게 뜨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080714
- 잡는다[소제끝] 빠르게 날아오는 야구공을 잡을 수 있도록 하는 뇌의 영역이 발견되었습니다.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김민식, 이도준 교수팀은 사람의 뇌를 기능성 자기공명영상(fMRI) 장치로 관찰하며 실험했어요. 그 결과, 그 동안 색깔이나 모양만 본다고 알려져 있던 시각영역에서 물체의 위치 정보도 함께 처리한다는 사실을 알아 냈지요. 즉, 물체의 ...
- 피닉스, 화성 탐사 시작!어린이과학동아 l20080630
- 8의 지진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거죠. 그런데 지난 6월 14일, 일본 동북부지역에서 리히터 규모 7.2의 강진이 발생했어요. 와타나베 교수의 예측이 맞은 걸까요? [소제시작]우주인과 함께한 식물생장 비교실험[소제끝] 지난 6월 12일, 우주인 이소연 언니가 우주정거장에서 수행한 과학 실험 결과를 발표했어요. 우주에서는 턱이 좁아지고 코가 ...
이전8687888990919293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