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술] 필자미상 해룡도, 조선 후기....청룡, 걱정 없이 노닐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노는 그림은 왕실의 상징물에 주로 활용됐다. 교룡기나 경복궁 근정전어좌위천장등이 그 예다. 왕의 위엄을 나타내듯이 그림이 붙은 족자의 전체 길이는 2m가 넘는다. 보존과학은 수백 년 전 그림 속 용이 오늘날까지도 생생하도록 지킨다. 해룡도를 소장하고 있는 국립중앙박물관은 문화재 보존을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 기초과학 vs. 응용과학 어떻게 다를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기초연구에 지원됐던 예산과 1986년부터 1989년까지 4년 동안 특정목적기초연구에 지원된 예산은 각각 200억 원 규모로 비슷한 수준이었다”고 설명합니다. 응용 및 개발을 위한 기초과학 연구에 치우친 과학정책 및 집중 투자는 1990년대 초까지도 이어졌습니다. 순수 기초과학 연구에 대한 관심이 ... ...
- 과동 본문에 나오는 DOI’가 뭔가요?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유용합니다. DOI, 이렇게 쓰세요!과학동아 본문에 들어간 DOI 활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예를 들어, 이번 호 과학동아 ‘한 장의 과학’ 코너 중 “육식공룡 고르고사우루스의 마지막 식사는 공룡 뒷다리!” 기사에 소개한 논문을 봅시다. 이 논문을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는 ‘시카고’ 스타일로 ... ...
- [광고] 콩나물쌤과 함께하는 문해력 속담왕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보면 셀 수 없이 다양한 상황에 처하고, 그때마다 수천, 수만 번의 선택의 기로에 설 거예요. 이때 수학처럼 정확한 답이 있는 경우는 매우 적겠죠. 그때 나에게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합니다. 속담도 단순히 뜻만 외우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속담의 의미를 ... ...
- 소수 통해 수학의 중요성 깨달아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부원들은 1~100까지 소수를 알고 있으면 수학 연산 속도가 빨라진다고 입을 모았다. 예를 들어 79가 소수란 점을 알고 있으면 이 수가 수학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나왔을 때 더 작은 수로 나누는 시도를 안 할 수 있어서다. 소수교 활동하는 이유는 재밌어서! “그냥 너~무 재밌어요. 제가 이렇게 ... ...
- 리만 가설의 단초 제공한 오일러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게 그의 추측이다. 현재는 이런 수를 ‘페르마 수’라 부르며 Fn으로 표기한다. 예를 들어 F0는 3, F1은 5로 명백한 소수다. 비슷한 방법으로 계산해보면 F2 = 17, F3 = 257, 그리고 F4 = 65537로 모두 소수다. 하지만 페르마는 이 추측 또한 증명을 남겨놓지 않았다. 약 100년 뒤인 1732년, 누군가 무덤 속에서 ...
- 2000년 이상 난제, 쌍둥이 소수 추측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교수(G), 야노스 핀츠 헝가리 알프레드 레니 수학연구소 교수(P), 젬 이을드름 튀르키예 보아지치대학교 교수(Y)의 이름을 딴 것으로, 소수를 찾아내는 방법중 하나다. 에라토스테네스의 체처럼 소수를 일일이 찾는 방법이지만, 조합론 아이디어가 담겨 있어 에라토스테네스 체보다 효율적인 방법이다 ... ...
- 앞으로 읽어도 뒤로 읽어도 똑같다 회문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그렇지 않으면 11의 배수가 아니다. 이런 방법을 ‘11의 배수 판정법’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주어진 수가 네 자릿수인 경우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때 101 + 1이나 103 + 1과 같이 10의 홀수 제곱에 1을 더한 값은 항상 11의 배수다. 또 102 - 1과 같이 10의 짝수 제곱에서 1을 뺀 값도 항상 11의 ... ...
- [Chapter5] 우리 곁에 늘 있는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생명의 비밀 품은 소수 소수는 비단 수학에서만 나타나지 않는다. 소수교 학생들이 수학책 말고도 주변에서 소수를 샅샅이 찾았던 것처럼 소수는 곳곳에 숨어 있다. 심지 ... 이 분야 전문가들은 초균일성 연구가 소수 분포의 비밀을 밝히는 데 도움을 줄 거라고 조심스럽게 예측한다 ... ...
- [에디터 노트] AI, 로봇 체인저의 등장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로봇’과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AI로 학습하고, AI로 생각해 움직인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KAIST에서 만든, 전 세계에서 100m 달리기가 가장 빠른 4족보행 로봇 ‘하운드’는 달리기를 AI한테 배웠습니다. 어떻게 하면 넘어지지 않고 잘 달릴 수 있는지 일일이 알려준 게 아닙니다. 그저 컴퓨터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