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2000년 이상 난제, 쌍둥이 소수 추측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교수(G), 야노스 핀츠 헝가리 알프레드 레니 수학연구소 교수(P), 젬 이을드름 튀르키예 보아지치대학교 교수(Y)의 이름을 딴 것으로, 소수를 찾아내는 방법중 하나다. 에라토스테네스의 체처럼 소수를 일일이 찾는 방법이지만, 조합론 아이디어가 담겨 있어 에라토스테네스 체보다 효율적인 방법이다 ... ...
- [빅테크 기업들의 생성 AI 독주 속 START-UP 살아남는 방법] 프렌들리 AI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생성 AI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내놓기 위해 서버에서 GPU를 활용해 연산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챗GPT에 명령을 입력하면, 생성 AI 서버는 한 번의 연산에 단어 하나씩 답변을 생성하며, 반복적인 연산을 통해 최종적인 답변을 출력한다. 이 연산에 드는 GPU 비용이 생성 AI 사용 비용의 대부분을 ... ...
- 수학에 사랑스러움이 가득!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증명하기까지 꽤 오랜 시간이 걸렸다. 2차원 문제는 1940년대 헝가리 수학자 라슬로 페예시 토트가, 3차원 문제는 미국 수학자 토마스 헤일스가 1998년에 해결했다. 2015년까지 4차원 이상의 문제에 관해선 해결된 게 없었다. 우크라이나-스위스 수학자 마리나 비아조프스카가 8차원에서는 ‘E8 ... ...
- 사랑은 변한다! 러브-어페어 방정식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사랑을 시작하면 그 감정이 영원할 것 같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금 식기도 하고 다시 불타오르는 등 감정 변화를 겪는다. 이런 감정 변화를 미국의 수학자 스티븐 스트로가 ... 때로는 로맨틱한 남자도 되었다가 하는 일명 ‘밀당의 고수’가 되면 오랫동안 예쁜 사랑을 할 수 있다 ... ...
- 푸딩 쏙 빼닮은 블랑망제 함수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미분이란 그래프를 아주 잘게 쪼갰을 때 그래프가 어떻게 변하는지 계산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아무렇게나 생긴 곡선을 그렸다고 할 때, 미분하려는 점에서 곡선에 접하게 선을 그으면 x축 방향으로 아주 아주 작게 움직였을 때 y축 방향으로 얼마나 변화했는지 알 수 있다. 이 값을 계산할 수 ... ...
- 살살 녹는 고기의 비밀은 방정식으로수학동아 l2024년 01호
- 2010년 국립축산과학원은 소비자가 고기를 선택하는 데 도움주기 위해 소고기의 맛을 예측하는 수학 모형을 만들었다. 2006년부터 5년간 전국 소비자 4600명을 대상으로 근내지방도(마블링), 부위, 숙성 정도, 요리 방법 등 고기 맛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다르게 한 소고기의 맛을 평가하는 조사를 ... ...
- 피자를 공평하게 먹는 방법! 피자 정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4번 이상의 홀수로 자르면 원의 중심이 들어 있는 색깔 부분의 총량이 훨씬 많았다. 예를 들어 피자를 7번 잘랐는데, 원의 중심이 연두색 부분에 들어 있다면 연두색 부분의 피자 총량이 흰색 부분의 피자 총량보다 많았다. 피자를 3회 이하로 자르면 선들이 원의 중심을 지나는 경우에만 총량이 ... ...
- 팬케이크 맛있게 굽는 반죽 비율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알아냈다. 팬케이크의 크기와 두께는 나라마다 선호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이었다. 예를 들면 얇고 넓게 구워야 맛있는 프랑스의 크레페는 종횡 비율은 약 300이었다. 그리고 와플처럼 두툼하게 굽는 네덜란드의 포퍼처스는 종횡 비율이 약 3이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미국식 ... ...
- 치킨은 피보나치 수로 주문하자!수학동아 l2024년 01호
- 20년 전 네덜란드 수학자 헤릿 레케르케르커르가 동일한 연구를 먼저 발표했다. 예를 들어 100을 피보나치 수로 분해하면 100 = 89 + 8 + 3, 100 = 89 + 8 + 2 + 1, 100 = 55 + 34 + 8 + 3이다. 하지만 이 중 100 = 89 + 8 + 3만 제켄도르프 정리를 따른다. 100 = 89 + 8 + 2 ...
- 동물 걸음걸이의 수학 규칙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카우보이 게임에서 야생마가 카우보이를 떨어트리기 위해 날뛰는 동작이 자신이 예측한 패턴과 똑같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런데 이 같은 동물의 걸음걸이를 왜 이렇게 공들여서 연구하는 걸까? 물론 걸음걸이에서 발견할 수 있는 수학적인 규칙 자체도 아름답지만, 그 이유는 바로 안전하게 걸어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