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율동
박자
속도
템포
운율
비트
가락
뉴스
"
리듬
"(으)로 총 313건 검색되었습니다.
안압 측정하고 약물 전달하는 콘택트렌즈로 녹내장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18
장애가 생겨 시신경 기능에 이상을 초래한다. 안압 상승은 개인의 행동이나 24시간 주기
리듬
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때문에 눈의 상태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적시에 치료해야 한다. 연구팀은 치료와 진단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를 개발했다. 안압이 높아지면 전기적으로 이를 감지해 ... ...
[DGIST 공동기획] 우리 몸속의 시계, 일주기
리듬
으로 더 나은 사회 만든다
과학동아
l
2022.04.30
최한경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과학과 교수와 김민석 석·박통합과정 연구원, 김지훈 박사과정 연구원(뒷줄부터 시계방향). 동아사이언스DB “다들 한 번쯤 늦잠 때문에 수업 ... ※관련기사 과학동아 4월호, [DGIST·융복합 파트너] 우리 몸속의 시계, 일주기
리듬
으로 더 나은 사회 ... ...
[프리미엄 리포트] 암흑물질을 찾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22.04.09
암흑물질은 언제라도 폐기될 수 있다. “아무 보잘것없는 인간이 자연에 존재하는 숨은
리듬
을 잡아 인류에게 아름다움을 선사했어요. 바로 음악입니다. 우리는 여기에 어마어마한 돈과 시간을 쏟아부어요. 돈으로 환산할 수 없는 가치를 지녔으니까. 마찬가지입니다. 과학을 하는 사람들에게 ... ...
치매환자가 자꾸 조는 이유는 '뇌 속 알람시계' 퇴화
동아사이언스
l
2022.04.07
아닌, 타우 단백질이 쌓였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연구팀은 뇌에는 밤낮 일주기
리듬
에 따라 수면과 각성을 각각 촉진하는 영역이 일종의 스위치처럼 번갈아 활성화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신경퇴행성질환자들은 여기에 타우 단백질이 쌓이면서 망가져 수면이 어렵거나, 각성이 어려운 증상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면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
2022.03.08
관여하는 신경전달물질인 오렉신(히포크레틴이라고도 부른다)의 수치는 하루 24시간
리듬
을 보인다. 오렉신은 뇌의 시상하부에 존재하는 오렉신뉴런(Hcrt뉴런이라고도 부른다)에서 만들고 분비한다. Hcrt뉴런은 불과 수천 개밖에 안 되지만 뇌 곳곳의 각성과 관련된 부위로 가지(축삭돌기)를 뻗고 ... ...
로봇 물고기, 스스로 헤엄쳤다...인간의 심장세포로
동아사이언스
l
2022.02.14
심장 박동처럼 외부의 기계적·전기적 자극 없이 수축과 이완 반복만으로 심장 박동
리듬
을 구현한 물고기 로봇은 전해질 내에서 100일 이상 헤엄치며 생존했다. 심장이 스스로 수축하고 이완되는 것과 같은 원리로 바이오 하이브리드 물고기 로봇은 양 옆의 인간 심장 근육세포 조직의 수축과 ... ...
버려지는 굴 껍질로 화학실험장치 만든 교사 '전국과학전람회' 대통령상
동아사이언스
l
2021.11.09
서캐디안
리듬
은 동식물의 생체주기를 뜻하는 말로 팀은 계절에 따른 서캐디안
리듬
을 기록했다. 학생부에서는 충북과학과 1학년생으로 구성된 ‘스윙 마이 근근’팀이 수상했다. 사람마다 그네를 다르게 타는 이유를 무게 중심 위치의 관점에서 분석했다. 올해 대회에는 1~9월부터 2308점 작품이 ... ...
'트윈데믹'속 수능 D-10…"숙면하시고 담배·커피 피하세요"
연합뉴스
l
2021.11.07
각성제를 복용하는 건 일시적인 효과만 있을 뿐 공부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오히려 수면
리듬
을 깨뜨려 다음날 공부 효율을 더 떨어뜨릴 수 있다. 김 교수는 "피곤이 몰려올 때는 카페인음료 대신 과일 한두 조각을 먹거나 찬물 한 잔을 마시고 가벼운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초파리에게 간헐적 단식을 시켜보니
2021.10.19
아미노산으로 분해돼 재활용된다. atg1과 atg8a 유전자 발현 패턴은 밤에 높은 일주기
리듬
을 보이는데, 타이밍이 적절한 간헐적 단식을 하면 진폭이 더 커져 자가포식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네이처 제공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2021.10.16
등 스스로를 괴롭히려는 시도는 하지 않는 것이 좋다. 개인적으로는 자연스러운 몸의
리듬
에서 벗어나서 지나치게 일찍 일어나려고 애쓰는 것 또한 일정 부분 스트레스를 추구하는 문화의 영향이 있는 듯 하다. 미래로 미뤄도 되는 스트레스를 당겨서 미리 받는 경우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