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넓이
크기
너비
폭
건평
용적
지적
d라이브러리
"
면적
"(으)로 총 1,984건 검색되었습니다.
제3의 불 밝히는 프로메테우스의 후예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열 펌프가 발생할 때 자연순환으로 해결돼야 하기 때문에 그 높이는 12m로 유지하되
면적
만 축소한 것. 여기에 러시아 잠수정의 군사기술을 응용해 납-비스무스 냉각시스템을 개발했다. 납-비스무스 냉각제는 고열에 의한 화재위험을 줄이는 획기적인 액체금속 냉각제이다.“기존 냉각시스템에 ... ...
미래 기후 예측 빙하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빙하시대를 빙기와 간빙기로 나누어 부르고 있어요. 기온이 내려가는 빙기에는 빙하의
면적
이 커지고 눈도 두껍게 쌓이지만 기온이 올라 간빙기가 되면 빙하가 녹으면서 줄어들어요. 그래서 지금처럼 빙하가 녹는 때는 간빙기라고 볼 수 있답니다.식물의 풍화작용암석이 공기와 물, 또는 동물과 ... ...
꽃매미를 추적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시기는 2006년부터다. 그런데 2006에는 1ha*에 불과한 발생
면적
이 올해에는 서울 관악구
면적
과 비슷한 2765ha! 불과 3년 만에 2765배나 증가한 것이다.“짧은 시간 동안 어떻게 이렇게 빨리 퍼지게 됐을까?”바로 그 때, 명탐정 P의 든든한 조언자인 국립농업과학원 김광호 박사로부터 무전이 왔다 ... ...
화학 평형과 호흡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화학 평형 상태는 닫힌계에서만 이뤄지며 반응 물질과 생성 물질이 함께 존재한다. 폐포와 같이 표
면적
을 증가시키면, 반응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헤모글로빈(Hb)이 일산화탄소(CO)와 결합하면 사람의 조직세포는 산소부족 상태에 빠진다. ...
[수학의 뿌리를 찾아서] 수학계 변신의 귀재, 선!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측정’이라는 의미다. 말 그대로 둘레를 측정한 길이가 perimeter인 것이다. 모든 도형의
면적
은 area라고 한다. area는 ‘지역’, ‘영역’이라는 뜻도 함께 가지고 있다. area는 불탄 땅이나 건조하게 드러난 평평한 빈 터를 지칭한 라틴어 area(아레아)에서 유래했다. 어려워 보이는 수학용어도 그 ... ...
달나라 탐험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지나가는
면적
은 항상 같다는 내용입니다.위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일정 시간 동안 같은
면적
을 만들기 위해서는 행성이 태양에 가까울 때 빨리 움직이고 멀 때 천천히 움직여야 합니다.달 주위를 도는 대포알도 마찬가지로 케플러 제2법칙을 따릅니다. 따라서 달에 가까울수록 속도가 빠르고 ... ...
② 꼼꼼히 계산하면 친환경 보인다.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계산하면 고기 164kg, 곡물 95kg가 나왔다. 같은 양의 닭과 곡물을 키우는 데 필요한 땅의
면적
으로 바꾸니 8400m2(축구장 넓이는 7140m2)에 달했다. 다르게 표현하면 국내 최고급 자동차 2대를 만들어 1년에 1만km를 달릴 때 드는 에너지와 같다는 것이다.마찬가지로 고양이 1마리는 1500m2가 필요해 중형차 ... ...
건물 외벽에 뚫린 3000개 구멍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요건에 맞춘 우리의 설계는 객관적으로 봐도 흠잡을 데가 없었다. 합리적인 구조와 공용
면적
의 비례는 적절했다. 경제성과 기능성을 두루 갖춘 외피의 구성도 무난했다. 하지만 겉모습만 다를 뿐 주변에 세워진 무수한 고층 빌딩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 크기와 높이를 정하고 그에 적합한 기둥을 ... ...
초고층 빌딩엔 초고속 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113층에 통풍구를 뚫어 굴뚝효과를 감소시키려고 노력했다. 위로 올라갈수록 단계적으로
면적
이 줄어드는 건물 구조와, 엘리베이터의 구획을 분리해 전망용 엘리베이터가 아니고서는 한 번에 꼭대기까지 올라갈 수 없도록 제한하는 시스템도 굴뚝효과를 줄이는 데 한몫했다. 최근엔 권상기가 ... ...
탄생 130주년 따스한 백열전구 역사 속으로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병렬 회로에서 에너지 손실을 줄이려면 구리 도선의 단
면적
이 커야 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런 경우에는 도선을 만드는 데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었다.결국 전력 손실을 줄이기 위해 그가 선택한 방법은 전압을 높이는 방법이었다. 그러기 위해서는 회로에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