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면적"(으)로 총 1,984건 검색되었습니다.
- 걸리버 여행기수학동아 l2009년 10호
- 결과 걸리버의 키가 릴리퍼트의 사람보다 약 12배 컸기 때문입니다. 길이가 12배 커지면 면적은 12의 제곱, 부피는 12의 세제곱만큼 커집니다. 간단히 선분과 사각형, 정육면체를 예로 들어 보지요.길이가 1인 선분을 한 변으로 하는 정사각형과 정육면체를 각각 만들어 봅시다. 그러면 정사각형의 ... ...
- 맛있는 세계 면류 총집합과학동아 l2009년 09호
- 밀가루를 사용하는 쫄면이 메밀가루를 사용하는 냉면보다 더 질기다. 또 쫄면은 단면적이 냉면보다 더 넓기 때문에 면발을 이로 끊기에도 냉면보다 더 어렵다.현대인의 입맛 사로잡은 스파게티● 이탈리아인들은 코스 요리의 첫 번째 음식으로 파스타가 나오지 않으면 이 코스의 모두가 잘못됐다고 ... ...
- 오디오 잡음, 휴대전화 혼선 잡는 단결정과학동아 l2009년 09호
- 부딪히면서 저항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그러나 원자틈이 거의 없는 단결정은 단위면적당 저항이 훨씬 적다. 더 많은 전자가 빠른 속도로 지나갈 수 있기 때문에 전류도 더 많이 흐른다. 열전도도도 좋아 내부에 열이 쌓이지 않고 잘 방출된다. 전류 흐름이 정확하기 때문에 오작동도 현저히 ... ...
- 면발의 힘 글루텐과학동아 l2009년 09호
- 세계 곡물 경작지의 30%가 밀밭일 정도로 밀은 곡물 중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한다. 연간수확량도 2007년 현재 6억 700만t으로 옥수수(6억 9500만t)와 쌀(6억 3400만t)에 이어 근소한 차이로 3위다. 밀이 이처럼 주곡의 자리를 차지하게 된 이유는 가루를 내 국수나 빵같은 다양한 형태의 식품을 만들 수 있기 ... ...
- 인류 농업사 이끈 일석팔조 기술과학동아 l2009년 08호
- 당시 한국의 벼 생산량은 300평(약 990㎡)당 120kg에 불과했다. 그러나 지금은 같은 면적에서 무려 4배가 넘는 약 500kg이 생산된다. 토지생산성이 이렇게 획기적으로 증가한 것은 새로운 품종 육성과 재배방법 개선 덕분이다. 지난 200여 년간 인류는 육종으로 개발한 품종을 재배해 거의 모든 작물의 ... ...
- 열 오른 지구의 신음을 보라과학동아 l2009년 08호
- 잃어버렸다.아랄 해 면적은 1963년 6만 6100km2에서 지금은 1만 7160km2로 쪼그라들었다. 원래 면적의 70% 이상이 사라진 셈. 수량도 10%로 줄었다. 근처 주민들이 농사를 짓기 위해 아랄 해로 들어가는 강물을 끌어 쓴 데다 그 강마저 개발되면서 물이 마르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물이 줄어들면서 염도가 ... ...
- 도시의 전설과학동아 l2009년 08호
- 사용하는 칼로리가 달라지는 셈이다. 이 3/4에 대해서 3차원 입체인 생명체의 부피와 표면적 비율이나, 체내에서 필요한 각종 혈관의 분포 차이 등으로 설명을 시도하는 학자들이 있다.한상근 교수는 미국 오하이오주립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1989년 KAIST에 부임했다. 정수론과 그 응용인 암호학, ... ...
- 바이러스 껍질, 캡시드의 기하학과학동아 l2009년 08호
- 3’인 정이십면체라고 부르는 이유는 정삼각형 면적이 가장 작은 정이십면체의 정삼각형 면적의 3배이기 때문이다. 이런 식으로 삼각형의 넓이를 넓혀 가면 T=1, 3, 4, 7, 9, 12, 13, 16…로 진행된다. 몇몇 예외가 있지만 구형 바이러스의 캡시드 단백질 개수가 60(T=1), 180(T=3), 240(T=4), 420(T ...
- 점점 작아지는 베텔게우스과학동아 l2009년 07호
- 000만km).최근 측정 결과 이보다 15%가 작아졌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금성의 궤도만 한 면적이 사라졌다는 뜻이다.1964년 노멜물리학상 수상자인 타운스 교수는 “매우 놀라운 변화”라며 “앞으로 이 별이 계속 수축할지 아니면 원래 크기로 돌아갈지 면밀히 관찰할 것”이라고 말했다 ... ...
- 식품 속 거품의 핵심은 계면활성제과학동아 l2009년 07호
- 맥주를 높은 곳에서 세게 따르면 컵 속 맥주가 크게 요동치면서 맥주와 공기가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져 거품 양이 많아진다. 반면 맥주잔을 기울여 부드럽게 따르면 상대적으로 거품은 덜 생긴다. 또 맥주를 차갑게 해서 마시면 거품이 잘 생기지 않는다. 낮은 온도에서는 표면장력이 크기 때문이다. ... ...
이전8889909192939495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