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음속
마음
심리학
가슴속
뱃속
심리상태
상태
d라이브러리
"
심리
"(으)로 총 1,826건 검색되었습니다.
사회 곳곳에 흐르는 다윈의 향기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끊임없이 좋은 유전자를 지닌 수컷을 찾아내 교미하려는 암컷의 전략을 읽어낸다.한편
심리
학과 경제학에서 최근 인간의 선호에 대한 논의가 진화론 관점에서 재조명되고 있다. 사람들이 어떤 행위를 할 때 왜 그런 행위를 했는지, 즉 그 행위의 동기가 무언인지 밝히는 문제다. 지금까지 ... ...
개과천선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학생들이 동물과 어울리며 마음의 문을 열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심리
치료 활동이다.‘천방지축’ 문제견도 훈련만 받으면 상근이처럼 될 수 있을까. 이 소장은 “체계적인 훈련을 반복하면 개의 잘못된 행동을 대부분 고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소장은 “개가 ... ...
진짜 VS 가짜 음모론의 과학적 해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1호
음모론을 믿는 이유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음모론이 사라지지 않는 이유는 인간의
심리
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어떤 커다란 사건이 우연히 일어나면 인간은 불안감을 느낀다. 언젠가 자신도 아무 이유 없이 혼란에 빠질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럴 ... ...
올해의 엽기 노벨상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0호
관한 연구.•영양학 : 듣기 좋은 과자 씹는 소리가 과자를 더 맛있다고 믿게 만드는
심리
학 연구.•생물학 : 개에 기생하는 벼룩이 고양이에 기생하는 벼룩보다 더 높이 뛰는 이유•의학 : 비싼 가짜 약이 싼 가짜 약보다 효능이 더 좋다는 연구.*이그노벨상 : 1991년, 미국의 한 과학잡지 발행인이 ... ...
듣지 못해도 말할수있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0호
움직임을 스스로 느끼면서 교정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어요.캐나다 맥길대학교
심리
학과 데이비드 오스트리 교수팀은 말을 할 때 쓰이는 얼굴 근육을 방해할 수 있는 실험 장치를 만들었어요. 그리고는 20년 전 청력을 잃어 소리를 듣지 못하는 다섯 명을 모집해‘새스(sass)’나‘소(saw)’처럼 ... ...
한글의 DNA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9호
으으~, 난 우주회의 의장인 외계인 1443호야. 우주회의가 열릴 때면 항성마다 제각각의 외계어를 사용해서 골치가 아파. 물론 최첨단 통역기가 있지만 가끔 최첨단 통역기가 먹통이 될 때면 정말 곤란하다구. 게다가 음성으로 회의 내용을 저장해 놓긴 하지만 수많은 외계어를 제대로 기록할 글자가 ... ...
좌우대칭이라야 몸짱!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8호
몸짱이 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최근 영국 브루넬대학교 진화
심리
학과 연구팀은 사람들이 어떤 몸매를 몸짱이라고 여기는지 조사했어요. 남자 40명과 여자 37명의 몸을 3차원 스캐너로 찍어 신체치수 24가지를 측정했지요. 그리고 일반 사람들에게 이 77명의 사람들 중 누구의 몸이 ... ...
스트레스 NO! 즐겁게 등교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7호
생리적인 스트레스가 있지. 학교에서 친구와 싸웠거나 시험을 망쳐 혼나지 않을까 하는
심리
적인 스트레스도 있어. 무더위나 추위, 소음처럼 외부의 환경이 변하면서 오는 물리적인 스트레스도 있다구. 이런 외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완벽하게 일을 해야만 한다거나 스스로 못났다고 비관적으로 ... ...
“슝~!”날아오는 야구공은 뇌로 잡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4호
날아오는 야구공을 잡을 수 있도록 하는 뇌의 영역이 발견되었습니다. 연세대학교
심리
학과 김민식, 이도준교수팀은 사람의 뇌를 기능성 자기공명영상(fMRI) 장치로 관찰하며 실험했어요. 그 결과, 그 동안 색깔이나 모양만 본다고 알려져 있던 시각영역에서 물체의 위치 정보도 함께 처리한다는 ... ...
0.05초 만에 결정되는 첫인상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에서 박사후 연구원을 거쳐 현재 고려대
심리
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fMRI를 사용해 인간의 경제적, 사회적 의사결정과 관련된 뇌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손해인 줄 알면서 주식 파는 이유0.05초 만에 결정되는 첫인상따뜻한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