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음속
마음
심리학
가슴속
뱃속
심리상태
상태
d라이브러리
"
심리
"(으)로 총 1,82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연한 발견의 진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하인리히 친클 지음(라) 단번에 법칙을 발견하는 능력이나 사고행동방법을 이를 때 행동
심리
학 용어로 세렌디피티라고 한다. 천재들은 예외 없이 세렌디피티 감각이 뛰어난 사람들이었다. 천재들이 가진 또 다른 공통점은 모두가 강한 집념으로 보통 사람의 몇 배나 노력했다는 점이다. 에디슨의 ... ...
디지털이 연출한 예술 혁명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기어 올라가는 모습이 그로테스크한 인상을 주는 작품. 현대인들의 고립감과 군중
심리
를 잘 표현했다.시간의 변화를 담아내다공간 예술이라는 전통적인 미술은 미디어 아트로 진화하면서 시간을 아우르게 됐다. ‘시간’을 테마로 한 3층 전시장 입구에 설치된 김민선과 최문선(뮌)의 공동작품 ... ...
전기장으로 잠자는 유전자를 깨운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쓰고 책을 펴냈다. 2000년에는 스위스 베른대에서 헤드리박사재단이 수여하는 ‘외(外)
심리
학’상을 받았다.눈길이 머무는 이달의 책_ October0.1그램의 희망이상묵·강인식 지음 | 랜덤하우스 | 341쪽 | 1만 1000원한국의 ‘스티븐 호킹’으로 불리는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이상묵 교수의 자서전이 ... ...
독일 산업 발달의 진원지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결론을 내린 것이다. 그리고 전통적으로 우수했던 기초공학 분야뿐만 아니라 경영, 경제,
심리
학 같은 사회과학 학문과 접목해 실용적인 과학을 육성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혁신적인 아이디어도 중요하지만 현재 사회가 안고 있는 사회적, 경제적인 문제들을 해결하는 실용적인 능력이 필요하다고 ... ...
한국어가 영어 학습에 방해?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학습과 사고, 지각에 관한 인지
심리
와 사회문화적 현상이 주요 관심사다. 현재 계명대
심리
학과에 재직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영어 학습, 빠를수록 좋은가한국어가 영어 학습에 방해?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언어 잘 ... ...
진짜기자 명예기자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열렸어. 반짝이는 아이디어가 넘치는 창의존은 디자인 가구가 가득했고, 친구존에서는
심리
검사를 통해 친구관계와 자신에 대해 알아볼 수 있었단다.마지막으로 탐구존에서는 수학체험전 등을 통해 수리력을 알아볼 수 있었어.쪼물쪼물 체험 프로그램‘Children Expo 2008’을 관람하는 동안 각종 ... ...
영어 학습, 빠를수록 좋은가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언어
심리
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8년 고려대
심리
학과 교수로 부임했다. 언어
심리
학과 인지신경과학을 연구하고 있으며 고려대 부설 지혜과학연구센터 소장을 맡고 있다. 외국어 습득은 얼마나 열성적으로 많은 노력을 기울이냐에 달려 있으므로 나이가 들어서 배울 수 없다고 포기하지 ... ...
[
심리
학]보수적인 사람이 더 깜짝 놀란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신체 반응이 진보나 보수 같은 정치적 성향과 관계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미국 네브래스카대 더글러스 옥슬레이 교수팀은 정치적으로 보수적인 사람이 진보적인 사람보다 갑작스런 위험에 무의식적으로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연구결과를 9월 18일자 ‘사이언스’에 발표했다.옥슬레이 교 ... ...
[신경과학]듣지 못해도 말할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스스로 느끼면서 발음을 교정하는 능력이 있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캐나다 맥길대
심리
학과 데이비드 오스트리 교수팀은 소리를 듣지 못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발성기관의 움직임만 조작해도 발음을 교정하기 위한 반응이 일어나는지 실험한 결과를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9월 14일자 ... ...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언어 잘 배우나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음운인식능력이나 성격이 더 좌우하지요.”아동 언어발달을 연구하고 있는 연세대
심리
학과 송현주 교수의 설명이다. 송 교수는 “음운인식능력은 연속되는 소리를 듣고 정확히 따라 말하는 능력”이라며 “여기에는 어느 정도 타고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성격 요인으로는 사회성과 자의식이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