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문"(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
- [과학뉴스] 화성의 달은 어떻게 탄생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충돌로 생겨났다는 주장을 실은 논문 두 편이 최근 동시에 발표됐다.벨기에 왕립천문대 파스칼 로젠블라트 박사팀은 프랑스, 일본 연구진과 공동으로 포보스와 데이모스가 탄생하는 과정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재현해 학술지 ‘네이처 지오사이언스’ 온라인판 7월 4일자에 발표했다.포보스와 ... ...
-
- [News & Issue] 브렉시트, 한국 과학계엔 나비 효과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브렉시트 이후 연구자 중 나 같은 피해자가 또 나올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김영수(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지금 영국을 이끌어 가는 주요 산업은 크게 금융, 관광, 영어교육 세 가지다. 제조업은 아시아에 밀리고, 패션 산업은 이탈리아나 프랑스한테 밀리고, 남은 주력 산업이 별로 없다. 그만큼 ... ...
-
- [재미] 앵무조개의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8호
- 계산해도 결과를 낼 수 없을 정도로 큰 수의 계산이 수두룩했다. 그래서 큰 수의 계산은 천문학자들의 골칫거리였다. 네이피어는 이런 큰 수도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냈고, 그 결과 로그를 발명하게 됐다. 로그를 이용하면 곱셈과 나눗셈을 각각 덧셈과 뺄셈으로 바꿔 계산할 수 ... ...
-
- [News & Issue] 초록 은하는 변신 중?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되기도 하고, 또 반대로 파란 은하가 빠르게 혹은 느리게 빨간 은하가 될 수도 있다.최근 천문학자들은 보다 먼 우주를 관측해 우주의 나이와 은하가 존재하는 다양한 환경에 따라 빨간 은하와 파란 은하, 그리고 그 사이의 초록색 은하의 분포가 어떻게 달라지는 연구 중이다. 또, 컴퓨터 ... ...
-
-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떨어져 있으면서도 태양의 수조 배에 달하는 빛을 내는 AGN은 우주의 등불 같은 존재다.천문학자들이 AGN을 연구하는 이유가 한 가지 더 있다. AGN에서 나오는 강력한 에너지가 AGN을 품은 모은하의 진화에 어떻게든 막대한 영향을 미쳤을 거라고 예측되기 때문이다. AGN이 우리은하 근처보다는 주로 ... ...
-
- [News & Issue] 우주로 쏘아 올린 ‘피사의 사탑’ ‘등가원리’를 검증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있다. 이제 중력질량을 관성질량으로 대체해 계산할 수 있게 됐다.아이작 뉴턴은 독일의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가 발견한 행성의 운동법칙과 갈릴레이의 등가원리를 토대로 만유인력 법칙을 세웠다. 태양과 행성 사이에, 또는 지구와 나 사이에 작용하는 ‘중력’을 물질의 운동과 관련된 ... ...
-
- Part 1. 뱀파이어가 되는 데 걸리는 시간은?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나를 뱀파이어로 전염시키는 데 얼마 걸리지 않기 때문이다.최근 영국 레스터대 물리천문학과 머빈 로이 박사팀은 뱀파이어가 사람의 피를 빨아 먹는 데 걸리는 시간은 단 6.4분이라고 ‘물리학 스페셜토픽 저널’에 밝혔다. 일단 연구팀은 뱀파이어가 송곳니로 뚫은 구멍 두 개에서 저절로 ... ...
-
- [News & Issue] 목성 미스터리의 구원자 주노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할 가장 중요한 과제는 목성 대기에 포함된 물의 양을 측정하는 일이다. 서행자 한국천문연구원 행성과학그룹 연구원은 “목성의 대기 중에 존재하는 암모니아와 물의 양을 측정하면 목성 형성 이론의 중요한 근거 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그 외에도 주노는 목성의 자기장과 중력장을 관측해 ... ...
-
- [매스미디어] 우주복 있음, 출장가능수학동아 l2016년 07호
- ‘그 행성’까지의 평균 거리는 30천문단위(태양과 지구 사이의 평균 거리로, 1천문단위는 약 1500억 m)이므로 계산해 보면, 1g로 우주선을 몰면 약 67만 7630초 뒤에 절반 거리에 도달하고, 거기서부터 똑같은 가속도로 느려지면 또 다시 67만 7630초 뒤에 지구에 도착한다는 결과가 나온다. 그러면 135만 5 ... ...
-
- Part 2. 무수한 기체 먹고 은하 ‘비만’ 막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너무 작기 때문이다. 김연구원은 “2020년대 초 거대마젤란망원경(GMT)이 완성되면 관측천문학이 또 한번 도약할 것”이라며 “지금까지 세운 AGN 관련 가설을 대폭 수정하게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별의 요람, 은하의 파괴자 활동성 은하핵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 ...
이전8687888990919293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