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d라이브러리
"
천문
"(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매스미디어] 우주복 있음, 출장가능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그 행성’까지의 평균 거리는 30
천문
단위(태양과 지구 사이의 평균 거리로, 1
천문
단위는 약 1500억 m)이므로 계산해 보면, 1g로 우주선을 몰면 약 67만 7630초 뒤에 절반 거리에 도달하고, 거기서부터 똑같은 가속도로 느려지면 또 다시 67만 7630초 뒤에 지구에 도착한다는 결과가 나온다. 그러면 135만 5 ... ...
[재미] 마왕의 탑 제 6화 세상을 바꾼 사과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언제 연구한 거예요?”“대학 첫 학기가 시작되던 무렵 우연히 시장에 구경 갔다
천문
점성술 책을 한 권 구했지. 기하학과 삼각측량과 같은 수학 내용이 담긴 책이었는데 당시 내가 읽기에는 너무 어려웠어. 그래서 나는 수학의 기본부터 알기 위해 유클리드의 을 읽었지. 기하 원론은 ... ...
[과학뉴스] 거대 블랙홀 품은 꼬마 은하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블랙홀이 우리은하보다 작은 조밀타원은하(compact elliptical galaxy)에서 처음 발견됐다. 한국
천문
연구원 은하진화그룹 연구팀은 슬론전천탐사(SDSS) 관측자료와 하와이에 위치한 CFHT 3.6m 망원경에서 얻은 관측자료를 분석한 결과, 질량이 우리은하의 40분의 1에 불과한 조밀타원은하의 중심부에서 활동성 ...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또한 중력파를 이용하면 또 다른 과학에 대한 호기심을 채울 수 있어요. 예를 들면
천문
학자들을 비롯해 많은 사람들은 우주가 어떻게 생겨났는지 궁금해 하고 있어요. 중력파 연구를 통해 이 답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답니다.현재 우리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망원경으로 우주를 보고 있어요. ... ...
Part 1. 영원한 ‘해바라기’~ 행성은 누구?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공전면도 심하게 기울어져 있었다. 결국 세레스는 소행성★으로 분류됐다.미국의
천문
학자 마이클 브라운이 2003년에 발견한 에리스(원래 이름은 2003 UB313)는 당시 행성으로 인정받고 있던 명왕성에 이어 열 번째 행성이 될 뻔했다. 그러나 에리스는 명왕성보다도 더 길쭉한 타원궤도를 그리며 태양 ... ...
[Knowledge]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같은 극한 환경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추정해 볼 수 있다. 김상철 한국
천문
연구원 광학
천문
본부 선임연구원은 “중이온가속기를 이용하면 우주에서 온 천체의 정보와 실험실에서 얻은 결과를 비교하고 검증할 수 있다”고 말했다.신소재와 반도체 개발 등에도 응용할 수 있다. 동위원소를 기존의 ... ...
단맛 실험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수의 초코볼을 넣으려면 초코볼은 무슨 모양이어야 할까요? 16세기의 위대한 수학자이자
천문
학자인 요하네스 케플러는 ‘초코볼이 구형이라면 초코볼을 차곡차곡 쌓아 전체 공간의 74%를 채울 수 있으며, 이때 가장 많은 수의 초코볼을 담을 수 있다’라고 대답했지요.하지만 이 대답은 반만 맞는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24차원에서 공을 촘촘히 쌓으려면?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구를 최대한 많이 쌓는 방법은 오래된 미해결 문제였거든요. 1611년 독일의 수학자이자
천문
학자인 요하네스 케플러는 피라미드 모양으로 쌓는 것이 최적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즉 서로 맞닿도록 구를 촘촘하게 배열한 다음 그 위로구와 구 사이의 움푹 들어간 곳에 구를 쌓아 올려층을 만드는 겁니다. ... ...
Intro. 태양계의 9번째 후예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해왕성보다 20배나 더 먼 곳에 있는 행성 ‘플래닛 나인’을 찾았다는 연구 결과를 ‘
천문
학 저널’에 발표했다. 브라운 박사는 왜행성인 에리스를 발견해 명왕성의 행성 지위를 박탈하도록 이끈 사람이기도 하다.연구팀은 망원경으로도 보기 힘들 만큼 멀리 떨어져 있는 천체가 공전하는 궤도를 ... ...
Part 2. 수학으로 정체 밝히는 ‘플래닛 나인’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내부에 있는 철 핵과 규산염 맨틀로부터 열이 나온다고 밝혔다. 플래닛 나인에 대한
천문
학자들의 의견은 분분하다. 수학적으로 알아낸 정보만을 보면 아홉 번째 행성 대접을 해줄만 하다며 반기는 학자들이 많다. 하지만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학자들은 아직까지 확실히 관측을 하지 않았기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