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d라이브러리
"
천문
"(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화성이 지금처럼 삐딱하게 도는 이유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연구진이 화성의 자전축이 오늘날과 같이 기운 이유를 밝혀냈다.프랑스 천체역학 및
천문
계산연구소 실바인 불레디 연구원팀은 화성의 강 흔적과 극지의 위치, 그리고 면적이 5000km2에 이르는, 화성에서 가장 거대한 타르시스 화산의 활동을 시뮬레이션했다. 그 결과 35억 년 전에 타르시스 화산이 ... ...
[재미] 마왕의 탑_4화 둥근 삼각형?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세레스가 나타났지.”내각의 합이 270°인 삼각형“수학자인줄만 알았던 가우스 아저씨가
천문
학에도 뛰어난 사람이었다니 놀라워요.”“세레스 궤도 계산 이전에는 수학에서 훨씬 많은 일을 했지. 마왕이 나를 잡아 온 이유기도 하고.”“어떤 게 마왕의 심기를 건드렸던 걸까요? 아하! 정17각형 ... ...
Part 4. 인공지능의 미래를 가늠하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문제에 우회로 제시…약한 인공지능 연결해 파급력 ↑실제로 바둑은 경우의 수가 거의
천문
학적이다. 바둑알을 놓을 수 있는 점이 많은데다, 게임 자체도 복잡하다. 그러나 알파고는 정확도를 희생하면서 시간을 단축하는 방법으로 최적 경로를 찾는 데 성공했다. 경기 초반에는 상당한 양의 경우의 ... ...
[News & Issue] 2020년, 암흑물질 잡는 특별한 망원경이 온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스스로 학습하는 인공지능을 만들고 유전자를 편집해 진화의 흐름까지 바꿔 놓은 인간을 한순간에 겸손하게 만드는 것이 우주다. 우주의 95%는 우 ... 2021년 가동 예정인 거대마젤란망원경(GMT)으로 후속 관측하는 등 기존에 추진해 온 다른
천문
학 프로젝트와도 연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거꾸로 푸는 역문제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역문제를 풀어 더 의미 있고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고 중력파
천문
학의 미래를 전망했다.역문제라는 용어는 많이 생소하지만, 누구나 한번쯤 프로파일러나 형사처럼 거꾸로 추리해 나가며 문제를 해결해본 경험이 있다. 그것이 바로 역문제의 철학이다. 앞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 ...
Part 2. 중력파 ‘ 최초 발견’을 넘어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100년만에 증명된 아인슈타인의 예언 중력파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Part 2. 중력파 ‘ 최초 발견’을 넘어Info. 중력파 어떻게 관측했나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 ...
[과학뉴스] 수호신을 위해 적분을 만든 바빌론인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바빌론 사람들에게 목성은 수호신 ‘마르두크’의 상징이었다. 때문에 바빌론의
천문
학자들은 목성의 움직임을 관측해 토기에 꼼꼼히 기록했다. 이들이 목성의 움직임을 분석하기 위해 적분을 사용했다는 주장이 ‘사이언스’ 1월 29일자에 발표됐다.독일 홈볼트대 마튜 오센드리버 교수팀은 ... ...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이렇게 1막을 내렸다. 2막에는 더욱 새롭고 잘 포장된 길이 펼쳐져 있다. 이제 중력파
천문
학의 시대가 시작될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100년만에 증명된 아인슈타인의 예언 중력파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Part 2. 중력파 ‘ 최초 발견’을 넘어Info. 중력파 어떻게 ... ...
[과학뉴스] 덩치 크면 가스형 행성? 속단은 금물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큰 행성은 암석형이 아니다”라고 ‘천체물리학저널’에 발표하기도 했다. 이번 연구로
천문
학계에서는 행성 형성 과정에 대한 이론을 수정해야 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 ...
[News & Issue] 아홉 번째 행성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태양계 초기생성과정에 참여했다면 생성되기 힘든 궤도를 가진 천체다. 최영준 한국
천문
연구원 행성과학그룹 책임연구원은 “기존에 해왕성 바깥에서 발견한 천체들은 해왕성의 중력 영향을 받아 궤도가 정해졌는데, 세드나는 예외”라면서 “세드나는 태양계가 형성된 뒤 오르트 구름에서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