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뉴스
"
발견
"(으)로 총 10,233건 검색되었습니다.
연구실 사고 막는 ‘표준매뉴얼’ 보급한다
2014.09.30
사고 수습ㆍ복구 □ 사고대응 단계별 수행 업무 ○ 사고 발생 및 보고 : 최초
발견
자→안전담당부서→연구주체의장 ○ 사고대응 : 필요시 사고대책본부 구성, 사고피해 확대 방지 조치 ○ 사고조사 : 사고원인 규명, 사고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 확인 ○ 재발방지 대책 수립·시행 : ... ...
우울할 땐 운동이 약… 골격근 단백질이 우울증 막는다
2014.09.30
유전자변형 쥐에서 PGC-1알파 1뿐 아니라 ‘KAT’이라는 효소의 농도가 높아지는 것도 새로
발견
했다. KAT 효소는 ‘카이뉴레닌(Kynurenine)’이라는 물질을 ‘카이뉴레인 산(Kynurenine acid)’으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카이뉴레인은 우울증 환자에서 높게 나타나 우울증과 관련 있는 것을 알려진 물질이다. ... ...
운석 소유자에게 인증서 준다… 정부 ‘운석등록제’ 시행
2014.09.30
콘드라이트 H5’로, 시세는 1g 당 3~5달러 정도다. 지자연은 71년 만에 한국에서
발견
된 운석이라는 점에 가치를 부여해 g당 가격을 2배 정도로 높여 책정했다. 하지만 운석 소유자들이 희망하는 가격와는 격차가 커 협상이 이뤄지지는 못한 상태다. 지자연 관계자는 “운석이 연구에는 물론 국내에서 ... ...
우주 공간에서 유기분자 찾아냈다
2014.09.29
곳이다. 연구를 진행한 아르노드 벨로쉐 박사는 “외계 행성에는 아마도 이번에
발견
한 이소-프로필시아나이드 외에도 이런 유기분자가 성간물질에 풍부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 ...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미끄러지는 이유
2014.09.29
영화 ‘폭풍의 언덕’의 각색 작가인 찰스 맥아더가 찰리 채플린에게 뻔한 장면을 어떻게 참신하게 만들 수 있을지 물었다. “예를 들어 뚱뚱한 여자가 5번가를 걸어가다 바나나 껍질을 밟고 넘어진다면 관객들이 여전히 웃을까요? 수도 없이 연출된 장면인데.” 맥아더는 계속 물었다. “먼저 ... ...
발암 단백질인 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줄기세포 단백질
2014.09.28
유지를 돕는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단백질은 단백질 BRD4는 이전까지 여러 암세포에서
발견
되면서 이 단백질을 막기 위한 치료법 이 연구되고 있다. 연구팀은 이 단백질의 활성을 막을 수 있는 물질을 인간 배아줄기세포에 넣었다. 또한 BRD4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를 억제하는 RNA 분자들을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 미래 모습이 궁금하면 과천 가 보세요
2014.09.28
이렇게 ‘멍’하게 된 것에는 이유가 있다. 소설 속 사회는 책이 금지된 곳이다. 책이
발견
되면 책인 물론, 집까지 모조리 불태워 버리고 집 주인도 처형된다. 소설의 제목인 ‘화씨 451’도 책이 불타는 온도를 뜻한다. 이 책의 주인공은 책을 불태워 버리는 방화수로 일을 한다. 열심히 책을 태우던 ... ...
톰슨로이터, 노벨과학상 수상후보 한국 과학자 첫 지목
2014.09.26
이유가 대부분 염기 서열 차이 때문일 거라고 생각했던 당시 학계의 가설을 뛰어넘는
발견
이었다. 리 소장은 “유전체 연구의 중요성을 인정받은 것 같아 기쁘다”고 소감을 밝혔다. 톰슨로이터가 노벨상 후보를 발표하기 시작한 2002년부터 지난해까지 지목한 후보는 총 156명이며 이 중 25명이 ... ...
아프리카 원주민 같나요? 모기 발바닥 끝이랍니다
과학동아
l
2014.09.26
태어날 때부터 몸이 붙어 태어나는 샴쌍둥이. 이번엔 몸이 붙어 있는 ‘샴사슴’이
발견
됐다. 두 마리의 사슴은 서로 반대 방향을 보고 있지만 가슴에는 서로를 향한 안타까움과 사랑 때문인지 하트가 새겨져 있다. 이 사진은 길이 30cm 정도의 표본용 뱀의 꼬리 단면을 전자현미경으로 살펴본 ... ...
스마트폰 동시 사용, 인지·감정조절능력 손상시킨다
2014.09.25
여러 매체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향이 클수록 뇌의 회백질의 밀도가 낮아진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회백질은 인지 기능과 감정 조정 기능을 담당하는 뇌 부위다. 켑 키 노 박사 연구팀은 런던대 학생 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뒤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으로 뇌를 촬영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 ...
이전
925
926
927
928
929
930
931
932
9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