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뉴스
"
발견
"(으)로 총 10,233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연구진, 남태평양 바다에서 신종 미생물 2종 찾아냈다
2014.09.25
미생물들을
발견
했다고 25일 밝혔다. 생물분류학 데이터들을 살펴본 결과 이번에
발견
된 두 미생물은 지금까지 존재하는 미생물 ‘속(Genus)’ 중에서는 어느 것에도 포함되지 않았다. 속(Genus)이란 생물분류학에서 생물을 분류하는 기준으로 ‘종(Species)'보다 더 넓은 개념이다. 연구진은 두 ... ...
[연구실에서 시장으로(下)] 좋은 아이디어, 좋은 기술이 ‘차세대 먹을거리’ 의료 시장 이끈다
2014.09.25
미세 종양이
발견
되면 제거 수술을 하기 전에 나노형광표지자를 주사한다. ②나노형광표지자가 미세 종양에 달라붙어 빛을 낸다. ③수술 중에 빛이 나는 부분만을 잘라내기 때문에 1cm 이하의 작은 유방종양도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다. - 국립암센터 제공 미국의 여배우 안젤리나 졸리가 ... ...
뇌 손상 회복시키는 ‘착한’ 단백질
발견
2014.09.24
김규원 서울대 약학과 교수 - 김규원 교수 제공 최근 교통사고를 당한 아이돌 여가수가 뇌에 치명적인 외상을 입고 사망해 많은 국민들이 안타까워했다. 이런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외상으로 뇌조직이 손상을 입었을 때 몸에서 일어나는 회복 반응의 원리를 밝혀내 주목을 받고 있다. 김규원 서울대 ... ...
헉! 500nm 작디 작은 나노입자도 먹이사슬 타고 전달
2014.09.24
일종의 소화기관 역할을 하는 소기관에서
발견
됐으며, 물벼룩의 장에서도 나노입자가
발견
됐다. 제브라피시는 장과 내장은 물론 배설물에서도 나노입자가 나왔다. 배설물을 통해 일부 배출됐다는 의미는 제브라피시가 먹었던 나노입자가 수생태계의 또 다른 동물에게도 전달될 수 있음을 뜻한다. ... ...
슈퍼박테리아 만드는 ‘카멜레온 유전자’ 찾았다
2014.09.23
돌연변이 유전자 염기서열이 쉽게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갔다. 김 교수는 “새롭게
발견
한 이 짧은 염기서열 때문에 세균이 여러 가지 항생제 환경에 민첩하게 적응해 생존할 수 있다”며 “이런 메커니즘은 세균뿐 아니라 인간 유전체에도 존재하는 만큼 향후 중요한 연구대상이 될 것”이라고 ... ...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에 야생동물 수명 줄어
2014.09.23
사태가 발생한 이후 방사능에 피폭된 토끼가 귀 없는 토끼를 낳거나 기형 곤충이
발견
되면서 방사능에 의한 생태계 파괴 주장이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올해 7월에는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에서 70km 떨어진 지역에 사는 원숭이에게서 적혈구와 백혈구 수가 줄어든 것을 확인한 연구 ... ...
네안데르탈인은 언제 사라졌을까
2014.09.22
고고학이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방사선탄소연대측정법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
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오랫동안 연구를 해 왔다. 즉 시료가 외부와 완전히 차단된 게 아니기 때문에 미생물이나 유기물질 같은 후대의 탄소함유 물질이 침투할 경우 추정 시기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 ... ...
해파리도 수학으로 먹이 찾는다
2014.09.22
빠른 시뮬레이션 어닐링은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중간중간 건너뛰어가며, 목표물을
발견
할 확률이 가장 높은 지점을 찾아주는 알고리즘이다. 레이놀즈 박사는 “배럴 해파리에게는 먹잇감이 가장 많이 몰려 있는 지점과 먼 거리의 먹이로부터 풍겨오는 냄새가 가장 강한 지점을 탐지하는 능력이 ... ...
‘안젤리나 효과’는 계속 된다
2014.09.21
자살이 일어나는 현상을 의미한다. 그런데 유방암 유전자를 검사한 결과 돌연변이가
발견
된 안젤리나 졸리를 따라 유방을 절제하는 ‘안젤리나 효과’가 일시적이 아니라 장기간 유지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흔히 ‘유방암 유전자’로 부르는 브라카1(BRCA1) 유전자는 2013년 5월 섹시함의 ... ...
신소재 개발하려면 ‘이것’부터 보세요
2014.09.19
223도의 극저온에서 절연체와 금속성 물질의 경계면에서 초전도성이 나타난다는 사실을
발견
해 과학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이때까지만 해도 학계에는 두 소재의 경계면에서 특수한 성질이 생긴다는 정도만 알려졌을 뿐 왜 이런 특성이 나타나는지, 어떻게 활용할지 앞서나가는 연구가 ... ...
이전
926
927
928
929
930
931
932
933
9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