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뉴스
"
발견
"(으)로 총 10,233건 검색되었습니다.
쌈배추에 개똥쑥 추출물 계속 뿌렸더니…
2014.09.17
물질을 탐색했다. 그 결과 계피와 개똥쑥 추출물이 쌈채소의 생장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이 추출물을 쌈배추에 주기적으로 뿌렸더니 생장이 42% 억제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상추를 옮겨 심는 과정에서 땅에 이 추출물을 뿌렸더니 생장이 40%까지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 ...
짝 찾아 400km 헤엄쳐 이동하는 ‘니모’
2014.09.17
그리고 남쪽 지역 산호초에 서식하는 흰동가리 중 6% 가량에서 북쪽 흰동가리의 DNA가
발견
됐다. 두 개체군 사이에 교류가 있었다는 뜻이다. 어린 흰동가리들은 해류를 타고 400km를 이동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Tane Sinclair-Tylor 제공 연구팀은 수 cm밖에 안 되는 어린 흰동가리들이 어떻게 수백 ... ...
초파리가 연구에 도움 된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4.09.17
재난대응 시스템 개발 이야기’, 김기훈 서울대 교수의 ‘재미있는 초전도 현상과
발견
을 위한 노력’이라는 제목의 강연이 각각 서울 정독도서관, 대전교육과학연구원, 광주교육과학연구원에서 열린다. 한편, 대구 강연은 ‘2014 대구과학축전’과 연계해 19일 오후 3시 30분에 대구 엑스코에서 ... ...
‘괜사’ 조인성 앓는 ‘조현병’ 원인 밝혀졌다
2014.09.16
또 횡설수설하는 증상을 보이는 환자 모두에게서 동일한 유전자 배열이 공통적으로
발견
됐다. 이런 조사를 거쳐 연구진은 유전자 묶음 8개가 서로 다른 유전자 배열 42가지를 만들어 조현병의 다양한 증상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특히 개별 묶음 자체는 조현병을 나타내지 않지만 서로 ... ...
[채널A] 장수 노인 105명…‘토종 유산균’ 101개 발굴
채널A
l
2014.09.16
효과 등 여러 효과를 오랜 기간 동안 아주 잘 발휘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에
발견
된 유산균 ‘LF9988’은 기존 유산균에 비해 위산에 월등히 강해 최근 제품으로도 출시됐습니다. 채널A 뉴스 이영혜입니다. (모바일에서 영상 보기 : http://news.ichannela.com/society/3/03/20140912/66356002/1 ... ...
어느 줄기세포 학자의 비극적 죽음에 부쳐
2014.09.15
용기의 벽면 같은 외부 교란이 줄기세포 분화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사이 박사의
발견
과 맥을 같이 하기 때문이다. 아무튼 줄기세포분화에서 거장이 되어가고 있던 사사이 박사는 2011년 리켄에 들어온 계약직 연구원 오보카타의 연구에 관심을 갖게 됐고 자리를 잡게 적극 도와줬을 뿐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우표 속 세상, 사라져가는 과학기술
2014.09.15
우주공간의 개발 및 평화적 이용 특별우표가 발행됐으며 1995년에는 엑스선(X선)
발견
100주년 기념우표가 선보였다. 과학기술이 아닌 과학기술자에 주목한 우표가 발행된 경우도 있다. 1983년에 발행된 ‘국내외 한국 과학자학술회의’ 기념우표는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재미·재유럽 ... ...
긴팔원숭이 팔은 왜 길어졌나
2014.09.14
연구팀은 긴팔원숭이의 게놈에서 긴팔원숭이의 기다란 팔을 만드는 유전자를
발견
했다. TBX5 유전자가 팔 길이를 길어지게 만들고, COL1A1 유전자는 팔의 연결조직을 단단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또 이들은 ‘LAVA’라는 특이한 유전자도 찾았다. 이 유전자는 움직이는 유전자인 ... ...
냄비 속 만두는 왜 뱅뱅 돌까?
2014.09.14
‘팔색조 육아기’가 나왔다. 천연기념물 204호이자 멸종위기 2급으로 지정된 팔색조는
발견
하기 쉽지 않은 새다. 저자들은 남해지역 곳곳에서 팔색조 둥지를 찾아 어미 팔색조가 알을 부화시키고 새끼를 기르는 전 과정을 카메라에 담았다. 책에는 팔색조 새끼들이 알을 깨고 나온 뒤 어미새가 ... ...
화이트 그래핀 위에 그래핀 쌓았더니…
2014.09.12
위에 놓인 그래핀이 마치 반도체처럼 스위치를 누를 때만 전류를 흘린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이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익스프레스’ 11일자에 실렸다. 손영우 고등과학원 교수는 “화이트 그래핀 위에 그래핀을 정교하게 배치하는 기술은 가임 교수팀만 보유하고 있다”며 “화이트 그래핀 ... ...
이전
927
928
929
930
931
932
933
934
9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