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Future] ‘ 마션 인 하와이 ’ 8개월의 기록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보낸 화성탐사로봇 ‘큐리오시티(Curiosity)’가 화학및광물분석기로 분석한 결과 화성
표면
은 오랫동안 풍화된 현무암질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비슷하게 마우나 로아 지역도 화산이 분출한 화구 주변에 마그마가 퇴적하면서 해발 약 2500m에 작은 언덕이 생겼다. 이곳은 생긴 지 얼마 안 된 ... ...
[Origin] 미라가 알려주는 조선 양반 사망 사건의 전말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쉽게 오염되는 반면 기생충 알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꺼낼 수 있다. 기생충 알껍데기
표면
이 단단한 키틴질로 이뤄져있어 수백 년이 지난 지금까지 남아 있기 때문이다. 현미경으로 알의 형태를 관찰하거나 알에 남아있는 유전정보를 분석하면 어떤 기생충에 감염됐는지, 감염 정도는 얼마나 ... ...
[Culture] 알골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붙들고 있는 기분이 들었다. 그게 아마 알골들의 염력일 거라고 나는 생각했다. 포브스
표면
에 남녀 한 쌍이 서 있었다. 그들은 맵시 있는 평상복 차림이었고, 아무런 보호 장비도 착용하지 않은 상태였다. 나는 포브스에 천천히 내려선 뒤에야 그곳의 중력이 1G임을 알았다. 인사말을 건네기도 전에 ... ...
Part 2. 미세 플라스틱 옷에서 만들어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매끈했던
표면
이 가뭄이 든 땅처럼 거칠게 갈라지는 걸 볼 수 있어요. 이렇게 갈라진
표면
이 과자 부스러기처럼 떨어져 나가 미세 플라스틱이 된답니다.빨래만 해도 미세 플라스틱이?!집에서 생기는 2차 미세 플라스틱도 있어요. 바로 옷이에요!우리가 입는 옷은 대부분 합성섬유로 만들어졌어요. ... ...
Part 2. “털! 이번 生엔 널 없애기로 했어”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하는 털은 피부
표면
에 뿌리를 박고 있기 때문에 피부 구조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피부
표면
을 뚫고 나와 우리가 흔히 털이라 부르는 부위의 생물학적 명칭은 ‘모간(毛幹)’이다. 모간은 상피세포에 발달한 모낭에서 만들어진다. 모낭은 태아 때 발달이 덜 된 망울 형태로 존재한다. 태어날 때 이 ... ...
[Career]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미래 해양과학자를 외치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관찰하고 있다.➌ 맹그로브 숲을 탐험하며 염분이 빠져나와 짠맛이 나는 맹그로브 잎의
표면
을 맛보기도 했다. 바다 탐험의 대미는 생태계 보존이 가장 잘 된 펜룩섬으로 떠나는 탐험이었다. 그런데 날씨가 심상치 않았다. 오전부터 부슬부슬 내리기 시작한 비는 더 거세졌고, 멈출 줄 몰랐다. 결국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0호
한자예요. 물질의 겉면이나 물질과 물질의 경계에 있는 얇은 껍질을 의미하지요. 안구
표면
을 이루고 있는 각막이나 눈 가장 안쪽의 망막에도 이 한자가 쓰인답니다.공기의 진동이 고막을 통해 귀 안쪽으로 전달되어야 소리를 들을 수 있어요. 이때 공기의 진동은 북을 두드리는 것처럼 고막을 ... ...
[과학뉴스] 물로 만든 리튬이온 배터리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새로운 고분자 코팅제를 개발했다. 소수성 재질로 된 고분자 코팅제는 첫 충전 시 전극
표면
의 물 분자를 튕겨낸 뒤 액체 전해질과 고체 전극 사이에 안정적인 막을 형성한다. 그 결과, 액체 전해질이 전극을 분해하지 않아 배터리가 4볼트 전압을 유지했다. 연구팀은 배터리 케이스에 구멍이 뚫려 ... ...
[Issue] 토성 탐사 20년 그 위대한 기록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1997년 10월 15일. 지금으로부터 20년 전 우주로 떠났던 토성 탐사선 ‘카시니(Cassini)’가 9월 15일 토성 대기에 충돌해 불타면서 장렬한 최후를 맞았다. 길이 6. ... 우리 곁에 남아 있을 것“이라며 ”우리는 그가 평생 동안 보내온 데이터의 산에서 겨우
표면
을 긁어냈을 뿐“이라고 밝혔다 ... ...
Part 1. 그 男자의 ‘개기름’ 그 女자의 콜라겐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개기름’ 많은 이유피부 구조에서 콜라겐이 남녀의 가장 큰 차이라면, 피부
표면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피지 분비량도 남녀 차이가 크다. 남성이 여성보다 약 4.3배나 많다. 남자에게 소위 ‘개기름’이 많은 셈이다. 남자의 피지 분비량이 많기 때문에 모공도 여자보다 남자가 전반적으로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