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표면"(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위상수학에서 찾은 우주의 모양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예를 들어 2차원 공간은 평면과 구면, 쌍곡면 총 3가지로 나뉜다. 여기서 구면이란 구의 표면이다. ‘구’라는 단어가 들어가니 당연히 3차원이라고 착각하기 쉽다. 하지만 구면 위에 있는 개미는 자신이 있는 공간을 2차원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이렇게 분류한다. 우주는 3차원 구 모양?앙리 ... ...
- Part 1. Back to the Moon, 다시 불붙는 달 탐사 경쟁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설명했다. 한국_달 탐사 사업 관리 기관: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임무: 달 표면 영상 확보, 우주방사선 측정, 자원 탐사구성: 궤도선, 착륙선, 탐사차목표시기: 2020년(1단계)발사체: 한국형발사체(KSLV-Ⅱ)특징: 첫 도전 한국도 2020년 처음으로 달에 궤도선을 보낸다. 한국의 달 탐사는 편의상 ... ...
- [Future] 카멜레온 같은 감성금속으로 말할 것 같으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금속에 자가치유용 캡슐 넣었더니오래 사용해도 매끄러운 표면 질감을 유지하는 감성금속도 개발되고 있다. 바로 흠집을 스스로 치유하는 ‘자가치유’ 합금이다. 자가치유 기능은 플라스틱이나 콘크리트에 적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최근에는 금속에 구현하려는 ... ...
- [Infographic] 인체의 지지자 뼈는 왜 강한가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혈관은 이 세포들에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한다.뼈막은 마치 껍질처럼 치밀뼈의 표면을 덮고 있고, 치밀뼈는 뼈에 강인함을 제공한다.치밀뼈 밑에는 작은 뼈기둥들이 스펀지처럼 엉성하게 모여 있는 해면뼈 조직이 있어서 뼈의 전체적인 무게를 줄여 준다.갈비뼈, 복장뼈(흉골), 어깨뼈, 골반뼈 등의 ... ...
- [Future] 고리1호기 가동 중단 ‘방사성 때’ 어떻게 벗길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때’, 어떻게 벗길까어떻게 오염됐느냐에 따라 제염 방법이 달라진다. 어떤 것은 표면에만 액체나 기체 상태의 방사성 물질이 접촉해 묻어 있는 수준이므로 높은 마찰과 압력으로 때를 벗기듯이 물리적으로 닦을 수 있다(비고착성 오염). 하지만 오랫동안 방사성 물질이 닿으면서 재료 자체가 방사성 ... ...
- [Future] ‘작은 것’들의 반란 나노카 레이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이동하기 때문에 마찰력이 적은 것이 우승 비결”이라며 “그 대신 나노카가 경기장 표면에서 점프해 사라지는 경우가 종종 있다”고 말했다.2등은 나노카가 43nm를 움직인 미국 오하이오대 밥캣 나노웨건 팀에게 돌아갔다. 이들이 만든 나노카는 아주 커다란 네 개의 바퀴를 가지고 있는데, 경기에 ... ...
- 나 혼자 산다 쌍곡 평면 편수학동아 l2017년 08호
- 무척 달라. 친구 집 까지 가는 동안 들어 봐.지구는 동그란 구에 가깝고 우리는 구의 표면에 살고 있잖아? 평평한 땅 위에서 직선을 따라 걸을 수 있고, 운동장에 납작한 정삼각형을 크게 그릴 수 있지. 사실은 구면에 있는 곡선을 따라 걷고, 운동장에 그린 삼각형도 수박위에 그린 그림처럼 휘어 ... ...
- Part 2. 미생물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논문을 통해 “증거로서 미생물의 가장 큰 장점은 매우 안정적이라는 점”이라며 “엄지 표면의 미생물은 손을 씻고 한두 시간이면 바로 회복됐으며, 수개월이 흐른 뒤에도 비슷한 군집을 유지했다”고 밝혔다. 심지어 2주간 상온에 방치된 물체에서도 피부 미생물 군집을 얻어낼 수 있었다 ... ...
- [과학뉴스] 곰팡이 이기는 식물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곰팡이가 더 이상 자라지 못하도록 방해한다.ABCG34 유전자를 과발현시키는 실험 결과, 잎 표면에 카마락신이 많아지고 알터나리아에 대한 내성이 강해지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 유전자가 잘 발현되는 품종을 찾아, 현재 생산하고 있는 좋은 품종과 교배해 곰팡이 저항력이 강한 품종을 생산할 ... ...
- [Issue] 미국 개기일식, 과학자들도 ‘스탠바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위해서는 100만℃가 넘는 매우 높은 온도가 필요하다. 즉, 온도가 약 4230~5730°C인 태양표면의 광구보다 태양 바깥에 형성된 코로나의 온도가 수백 배 이상 높은 납득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코로늄의 수수께끼는 풀렸지만 광구보다 뜨거운 코로나라는 새로운 수수께끼가 등장한 것이다.1919년 발생한 ... ...
이전9091929394959697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