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도로의 심장 교차로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바닥을 잘 살펴보면 1cm 두께의 흰줄로 그어진 팔각형을 찾아볼 수 있다. 이것은
바로
교통제어시스템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루프검지기다. 루프검지기의 팔각형 틀 속에는 전선이 감겨있고 거기에는 고주파전류가 흐른다. 차량이 그 속에 들어가면 고주파전류의 주파수가 변하기 때문에 차량의 ... ...
천문학자 밴 앨런과의 대화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지역까지 고에너지 하전입자들이 도넛모양으로 모여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다.
바로
밴 앨런대라고 불리는 방사선 띠(帶)다.밴 앨런은 1914년 9월 7일 아이오와주 마운트 플레전트에서 태어났다. 1939년 아이오와대학에서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자 해군에 입대했다. ... ...
만유인력을 처음으로 이해한 한국인 최한기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몸이 온기와 한기를 느끼는 것도 외부 공기와의 온도차 때문이라는 과학적인 사실을
바로
신체의 기와 외부의 기가 소통할 수 있고, 이것이 기가 우주 내에서 끊임없이 운동하고 변화한다는 증거라고 주장했다.그는 기를 증험할 수 있는 실험을 여러 가지 제시했는데, 그 중 하나가 토리첼리의 ... ...
미생물 조절하는 생물공학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환경친화적으로 만들지 않으면 팔아먹을 수 없는 것이다.환경친화적 청정기술, 이것이
바로
생물공학이 추구하는 것이다. 생물공학이란 생물체를 이용해 유용한 물질을 생산해내는 것이다. 살아있는 생물을 이용해서 만들어진 물질이니 생명체에 위험할 일이 없다. 문제는 대량 생산이다. ... ...
고대) 동물사냥 작전회의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각 신이 상징하는 의미를 단순화시켜 그림이나 조각으로 만들어 표현했다. 이 형상들이
바로
그리스 시대의 아이콘이다.예를 들어 신들의 제왕인 제우스는 손에 번개를 든 채 위엄에 가득차 있으면서도 불쾌감을 주지 않는 얼굴이다. 또 덩굴의 신인 디오니소스의 머리에는 덩굴이 표현돼 있다. ... ...
중세) 절대불가침의 영역 적십자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모습이다. 한편 십자가는 ‘공포’를 상징하는 세계적인 아이콘으로 기억되기도 한다.
바로
세계대전을 일으킨 독일의 나치문장 때문이다.사실 나치문장에 대한 기원은 정확치 않다. 다만 이 문장은 고대부터 사용돼 왔으며, 십자가의 한 형태로부터 변형됐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한 설명에 ... ...
플레밍 신화의 진실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탐구를 멈추고 그간의 결과를 정리하여 1929년에 논문으로 발표했다.적극적인 언론 플레이
바로
이 부분이 ‘플레밍 신화’ 벗기기의 중심이 된다. 플레밍은 페니실린의 가능성만 제시했을 뿐이고 더 이상 한 게 없다는 내용이다. 즉 발견은 했지만 자신이 발견한 것이 무엇인지 깨닫지 못했다는 ... ...
한국과학문화재단 조규하 이사장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5천8백만원을 출연해 비영리 민간공익법인인 ‘과학기술후원회’를 만들었다. 이것이
바로
현 한국과학문화재단의 모태다.과학문화재단의 설립자인 박정희 대통령은 과학기술이 발전하려면 정부(과학기술처), 연구소(한국과학기술연구소)와 더불어 과학대중화(과학기술후원회)가 필요하다고 ... ...
② 관측우주론의 딜레마, 자식보다 어린 부모?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과거보다 크면 된다. 결국 중력의 효과를 줄이는 척력(서로 미는 힘)이 필요한데, 그게
바로
아인슈타인이 도입했던 우주상수다.과거에는 일반적으로 이 우주상수의 값이 0이라고 믿었다. 그러나 최근에 우주는 현재 가속되고 있고, 우주상수 밀도인자가 매우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와 같이 ... ...
현대) 만국 공통언어로 부활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이들의 의사소통을 한꺼번에 가능하게 하는 만국의 공통언어가 새로 등장해야 한다.
바로
아이콘이 20세기에 다시 부활한 이유다.19세기 말 유럽에서 자동차가 개발되면서 현대적인 아이콘이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자동차로 인한 교통사고가 발생하자 도로에는 누구나 알아볼 수 있는 ... ...
이전
931
932
933
934
935
936
937
938
9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