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봄의 대곡선 목동과 처녀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1등성 스피카 오른쪽 아래에 작은 돛처럼 사다리꼴을 이루고 있는 4개의 3등성이
바로
까마귀자리다. 사다리꼴을 이루는 다른 네 별은 각각 2.6-3.0등급으로 스피카를 제외한다면 봄철 밤 남쪽하늘을 장식하는 가장 밝은 별들이라 하겠다. 까마귀자리 오른쪽에 있는 컵자리는 좀더 어두운 별자리로, ... ...
순간의 역사를 담은 창 필름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이를 위해 조리개를 넓히지 않고 그대로 유지하면 필름에 닿는 빛은 줄어든다. 이때가
바로
고감도 필름이 역할을 발휘하는 시점이다. 예를 들어 셔터 속도를 1/125초에서 4배 단축시켜 1/500초로 조절한 경우를 생각해보자. 조리개는 그대로 유지한 채 감도가 일반용인 100이나 200에 비해 4배 높은 40 ... ...
텔레비전의 등장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상하좌우로 보낼 수가 있다. 이를 이용해 스크린에 다양한 이미지를 표현해내는 것이
바로
브라운관이다.브라운관의 위력을 눈치챈 사람은 러시아 출신의 미국 공학자 블라디미르 코스마 즈보리킨(1889 -1982)이었다. 그는 1924년 브라운관을 이용해 원시적인 전자식 텔레비전을 개발했다. 전자식 ... ...
모세의 기적과 진도의 바닷길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홍해를 건넜다고 전해진다. 물론 이 때도 강풍이 불었다. 나폴레옹이 홍해를 건넌 지점이
바로
수에즈와 가까운 얌수프(갈대바다)로 불리는 곳이었다고 한다. 이 곳에서 다른 쪽 해안까지는 1.6km이며 1.5-2.1m에 이르는 조차로 모래톱이 발달해 깊이가 아주 얕다고 한다. 또한 1년 가운데 9개월은 강한 ... ...
인터넷 과학공부방 베스트 10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있다. 가상실험의 장점은 실험상의 초기값 등을 본인이 변화시키면서 그 결과를
바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것. 단점이라면 직접 하는 실험보다 생동감이 떨어지고, 자칫하면 손으로 마우스를 클릭만 하고 눈으로 결과와 설명을 읽고마는 수동적인 자세를 취하기 쉽다는 것이다. 이를 피하기 ... ...
쥐 정소에서 길러낸 사람 정자로 임신 성공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발생하지 않는 남성의 경우 정상적인 정자가 만들어지지 못한다. 안티노리 박사는
바로
이 ‘불완전한’ 생식세포를 쥐의 정소 조직에서 길러 정상적인 정자로 자라나게 한 것이다.그렇다면 부작용은 없을까. 물론 안티노리 박사는 안전하다고 주장하지만, 대부분의 여론은 사람의 정자가 쥐의 ... ...
③ 아인슈타인은 실수하지 않았다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안될 입자물리학적 이유가 있으니, 태초에 필연적으로 일어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이
바로
그것이다. 인플레이션 우주는 우주배경복사가 완벽하게 등방적(isotropic)이라는 관측 사실과 몇가지 다른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 고안된 것이다. 이는 우주의 한 방향을 관측하나 그 반대 방향을 관측하나 ... ...
1945년 노벨생리, 의학상 플레밍, 폴로리, 체인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그만큼 영유아사망률이 높았다)이라는 말이 공공연히 받아들여졌던 가장 큰 원인은
바로
전염병이었다.전염병의 정체를 규명함으로써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한 인물들 가운데 첫 손가락에 꼽히는 것은 프랑스의 파스퇴르와 독일의 코흐이다. 파스퇴르는 근대과학적 방법을 사용해 세균(박테리아)이 ... ...
마음의 괴로움이 병을 부른다 '심신의학'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점을 알 수 있다.이와 관련해 최근 원인이 확실치 않은 병이 의학계에 화제가 되고 있다.
바로
‘만성피로증후군’이라는 병이다. 미국과 일본에서는 이런 이상한 병이 있느냐 없느냐에 대한 논쟁부터 하고 있는 형편이다. 미국에서의 어떤 조사에서는 의사의 25%가 이 병이 실제로 존재하는지 ... ...
Ⅲ. 에너지와 정보 저장의 보고 박막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전원으로는 불가능한 일이다. 그러나 이를 가능하게 만들 수 있는 것이 있다. 그것이
바로
박막 전지다.몸 속에 암세포나 병균이 있다면? 아마 약을 먹거나 수술을 하는 방법을 떠올릴 것이다. 하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마이크로 단위의 극히 작은 기계를 혈관 속으로 집어넣어 암세포나 병균을 ... ...
이전
932
933
934
935
936
937
938
939
9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