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자"(으)로 총 3,240건 검색되었습니다.
- 망각 조절 단백질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망각할 수 없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무사시 단백질이 뇌 시냅스를 안정시키는 특정 분자를 방해해 망각한다고 설명했다.스테탁 교수는 “무사시 단백질의 균형이 깨지면 기억과 관련된 질병이 나타날 수 있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알츠하이머 같은 뇌 신경 질환치료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 ...
- 발모제 먹어도 성욕 감퇴 없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결국 그것 때문에 비극을 맞았다는 말이다. 이 연구 결과는 최근 ‘스테로이드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저널’에 실렸다.참고로 DHT는 테스토스테론이 5-알파 환원효소와 결합할 때 만들어지는데, 탈모 치료제인 피나스테리드가 이 결합과정을 방해한다 ... ...
- 줄기세포 혁명? 또 한 번의 악몽?과학동아 l2014년 03호
- 학문적으로는 단순한 자극으로 어떻게 분화가 끝난 세포가 만능줄기세포가 될 수 있는지 분자 수준에서 규명해야 한다. 일본 연구팀은 아직 분화가 끝난 세포가 왜 약산성 용액에서 줄기세포로 변했는지 설명하지 못했다. 또 실제 치료에 사용하려면 어른 쥐와 인간을 비롯한 다양한 종에서 같은 ... ...
- 슈뢰딩거 고양이는 누가 죽였나?과학동아 l2014년 02호
- 동시에 지날 수 있다. 하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숨도 쉬지 말아야 하고, 단 하나의 공기분자와 부딪혀도 안 되며, 빛과 부딪혀도 안 된다. 더구나 단 하나의 원자라도 흘리면 안 된다. 이렇게 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해서 우리는 양자역학적으로 행동할 수 없는 것이다. 이제 슈뢰딩거 고양이의 생사에 ... ...
- 네가 먹는 초콜릿은 진짜 초콜릿이니?과학동아 l2014년 02호
- 반복하며 카카오 버터 분자가 결정을 만들 수 있도록 시간을 들이는 단계다. 카카오 버터 분자가 무사히 결정을 만들면 윤기가 도는 초콜릿(‘프랄린’이라고 한다!)이 만들어지지만, 실패하면 카카오 버터가 초콜릿 표면을 엉성하게 뒤덮어 하얀 가루가 묻은 것처럼 보인다.이 때문에 가짜 ... ...
- 고함만 쳐도 아이의 뇌는 멍든다과학동아 l2014년 02호
-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2009년에 미국 하버드대 의대 티처 박사팀이 확산텐서영상(물분자의 운동을 이용해 뇌의 신경세포를 영상으로 촬영)을 이용한 연구에 따르면, 어린 시절 부모의 공격적이고 폭력적인 언어에 시달렸던 자녀들의 뇌에서 언어이해력과 표현기능을 담당하는 워니케(Wenicke)와 브로카 ... ...
- 2014 말의 해 멸종 대신 사람을 선택한 말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말이다. 나노미터(1억분의 1미터) 크기에서 벌어지는 현상을 이해하려고 4개 발을 가진 분자 기계를 만들었더니, 말처럼 걷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가장 큰 말은 기원전 12세기에 벌어졌던 트로이전쟁에 등장한 목마다. 트로이전쟁 당시 그리스는 거대한 목마를 두고 철수했는데, 트로이는 이 목마를 ... ...
- 미지의 물질을 보는 창 결정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빛을 단백질에 쪼이면 결정이 아니어도 구조를 찾을 수 있다. 아주 강한 빛과 단백질 분자가 부딪히면 닿자마자 부숴지지만 그 찰나의 순간 구조에 대한 고해상도의 자료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내년 완공을 목표로 포항에 짓고 있는 4세대 방사광가속기가 바로 그것이다.현재 X선 결정학에 ... ...
- 물컹물컹 움직이는 신기한 유리 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모래를 아주 뜨거운 열로 녹인 뒤 순간적으로 냉각시킨 물질이에요. 따라서 액체상태의 분자 구조를 한 채 굳어버렸기 때문에 ‘과냉각된 액체’라고 보는 것이 더 옳다고 해요. 고체지만 액체의 구조를 갖고 있는 유리. 신기하지 않나요?우리도 만들어보자, 유리 목걸이!유리섬 박물관에는 ... ...
- 완벽한 기하학의 집합체, 눈수학동아 l2014년 01호
- 이러한 현상을 통해 결정의 대칭을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즉, 눈 결정을 이루는 물 분자가 질서 있게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눈 결정이 육각형 대칭 모양이란 걸 알게 되었다.2. 눈 결정 생성과정이 궁금해! 데카르트(1593~1650)기하학과 대수학을 접목한 좌표평면의 창시자인 프랑스의 수학자 르네 ... ...
이전8990919293949596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