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3,369건 검색되었습니다.
물의 힘으로 벽에 착~!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5
플로리다 토종 딱정벌레는 발바닥에 촘촘하게 난 털 끝(①)에서 나오는 액체의
표면
장력을 이용해 자기 무게보다 100배가 넘는 힘으로 나뭇잎에 달라붙을 수 있어요. 연구팀은 이 원리를 이용해 두 개의 평평한 판에 0.0003㎜의 구멍 1000개를 뚫은 뒤(②), 두 판을 서로 붙였어요. 바닥에는 물통을 담은 ... ...
기준은 수학이 필요해 !
수학동아
l
201005
특정 위치를 나타낼 때는 각도와 같은 단위를 쓴다. 지구가 둥글기 때문에
표면
의 위치를 각도로 표현하면 편리하다. 예를 들어 독도의 위치는 동경 131도 52분 20초, 북위 37도 14분 21초로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치나 각도는 시간처럼 60진법을 쓴다. 1도를 60분으로, 1분을 60초로 나누는 것이다 ... ...
앞이 안 보여도 즐겁게 수학을!
수학동아
l
201005
교구를 개발했습니다.일리노이대학교에서 조각을 공부하고 있는 쉴라 슈나이더 씨는
표면
에 수학 공식이 새겨져 있는 조각을 만들었습니다. 조각에 새겨진 수학 공식은 수학이나 과학에서 쓰는 기호를 표현하는 데 쓰이는 점자의 일종인 네메스 코드로 쓰여 있습니다.슈나이더 씨를 지도한 디나 ... ...
국내 최대 공룡알 화석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5
크게 뜨고 공룡알을 자세히 보자. 어때? 오돌토돌한 무늬가 보이지? 이런 돌출무늬를 ‘
표면
장식’이라고 부르는데, 주로 육식 공룡의 알에서 많이 나타난대.이번엔 눈이 아닌 현미경으로 자세히 들여다볼 시간이야. 공룡알을 두께가 0.02~0.03㎜ 보다 작게 잘라 *박편으로 만들면 현미경으로 더 ... ...
수학의 영웅들
수학동아
l
201005
없다. 이런 경우 두 지하철 노선도를 가리켜 위상이 같다고 한다.푸앵카레의 추측은 구의
표면
에 닫힌 곡선을 그린 뒤 곡선을 점점 축소하면 결국 점으로 만들 수 있다는 데서 시작한다. 만약 어떤 입체도형에 똑같이 닫힌 곡선을 그린 뒤 점으로 만들 수 있다면 그 입체도형은 구와 위상이 같다는 ... ...
폐수에서 전기 얻는 일석이조의 미생물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1005
바이오촉매로 사용하고자 하는 연구를 시도했다. 금속염환원세균은 세포
표면
에 분포하는 산화환원형 전자전달 효소를 이용해 금속산화물을 환원시킨다. 따라서 이런 미생물을 이용하면 굳이 외부의 전달매개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무매개체) 미생물연료전지를 작동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 ...
불가능에 도전하는 투명망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005
긺과 투명망토를 만드는 일과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메타물질에는 금과 같은 금속물질이
표면
에 씌워져 있다. 이를 통해 인위적으로 전자기파인 빛의 굴절률을 음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중요한 점은 금속물질의 너비가 빛의 파장과 관련이 있다는 점이다. 투명망토가 작동하려면 금속물질의 너비가 ... ...
과학으로 파헤친 스타크래프트2 베타
과학동아
l
201005
게임에서처럼 탄환의 사정거리를 늘리는 것이 아니라, 운동에너지를 증가시켜 탱크
표면
같은 장갑을 뚫는 관통 효과를 높인다. 전투순양함은 전작의 배틀 크루저의 성능이 강화돼 한 번에 엄청난 피해를 입힐 수 있는 야마토포를 쏜다. 야마토포는 고온의 플라스마를 전자기력으로 가뒀을 때 ... ...
밀레니엄 문제
수학동아
l
201005
닫힌 곡선을 그린 뒤 곡선을 축소해 나가면 점으로 만들 수 있다. 만약 어떤 입체도형의
표면
에 닫힌 곡선을 그린 뒤 점으로 만들 수 있다면 그 입체도형은 구와 위상이 같다는 것이 푸앵카레의 추측이다. 푸앵카레의 추측은 밀레니엄 문제 중 지금까지 유일하게 해결된 문제다.6. 버치와 스위너톤 ... ...
빅뱅 직후 우주에는 쿼크가 흘렀다
과학동아
l
201004
분출되면 다른 입자는 그 반대 방향으로 분출돼야 한다. 그런데 쿼크-글루온 수프
표면
에서 바깥쪽으로 분출된 입자와는 달리 안쪽으로 분출된 입자는 수프의 입자와 상호작용해 흡수돼 버린 것. 만일 플라스마였다면 내부를 통과해 반대쪽으로 분출됐을 것이다.결국 중이온 충돌로 쿼크들이 핵자의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