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3,369건 검색되었습니다.
밸런타인데이 초콜릿 파동 온다
과학동아
l
201002
템퍼링). 템퍼링을 하면 수분과 휘발성 산이 날아가 풍미가 더욱 좋아진다. 또 초콜릿의
표면
에서 빛이 나고 입 안에서 녹일 때 부드럽다. 완성된 초콜릿 반죽을 온도 20~22℃, 습도 60% 이하에서 틀에 넣어 굳힌 뒤 분리하면 초콜릿이 완성된다. 결정의 구조가 안정할수록 초콜릿이 단단해져 분리가 잘 ... ...
천 년을 견디는 종이 ‘한지’
과학동아
l
201002
감촉과 힘을 주고 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 번식을 막아준다. 첨가제인 닥풀은 한지
표면
을 매끄럽게 하고 광택을 더한다.질기고 오래 가는 비밀종이에 구멍을 낸 다음 잡아당겼을 때 어느 정도의 힘까지 버티는가를 측정하는 것을 ‘인열강도’라 한다. 높은 수치를 보일수록 질긴 종이가 되는데, ... ...
3. 차이가 만드는 요리
수학동아
l
201002
것과 같다.동태살 위에 묻힌 부침가루는 동태살
표면
의 넓이를 넓히는 효과도 있다.
표면
이 넓어진 만큼 달걀도 더 많이 묻는다.이대로 프라이팬에 올리면 달걀옷이 벗겨지지 않고 구워져 노릇노릇 맛있는 동태전을 만들 수 있다.수학으로 짠맛 다스리기 설날 아침을 맞아 온 가족과 친척들이 한 ... ...
얼음 위의 날쌘돌이
수학동아
l
201002
온도에 따라 미끄러운 정도가 다르다. 피겨스케이팅 때는 안정된 점프와 착지를 위해
표면
온도를 영하 2℃로 하고, 스피드스케이팅과 쇼트트랙은 큰 추진력을 내기 위해 영하 6℃~영하 7℃로 한다. 경기장 실내는 선수의 컨디션과 관람객을 위해 18℃로 난방을 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얼음요정이 사는 세계로 고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2
어떻게 얼음끼리 붙지? 얼음에만 쓰는 풀이 있어?얼음끼리 맞붙이면 두 얼음이 맞붙은
표면
이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조금 녹게 돼. 그렇지만 아주 춥기 때문에 녹은 부분이 금세 다시 얼게 되지. 그러면서 두 얼음이 딱 붙어 버리게 되는 거야. 와, 저기 봐! 저 성은 우리 얼음 요정의 나라에 있는 것과 ... ...
1. 모양에 담긴 비밀
수학동아
l
201002
도넛은 보통 폭 9cm, 높이 3cm에 지름 2.5~3cm의 구멍을 가지는데 구멍이 없을 때보다
표면
의 넓이가 7% 정도 커진다.고리 모양의 안팎으로 열이 전달되니 기름에 튀기는 시간도 줄고 맛 또한 더욱 담백해지는 결과를 낳았다. 요즘 도넛회사에서는 도넛을 만들 때 반죽 가운데에 구멍을 뚫는 방법을 쓰지 ... ...
곡선 위의 승부
수학동아
l
201002
휘거나 볼록하게 만드는 이유는 한 가지야. 곡선 구간에서 스케이트날이 얼음
표면
에 많이 닿게 해서 속도를 줄이지 않으려는 거지. 몸을 안쪽으로 기울인 곡선 구간에서 이 스케이트날은 거의 모든 면이 얼음에 닿게 돼. 날이 직선이었다면 곡선에서 앞과 뒤만 닿아 미끄러지기 쉬울 거야. 선수에게 ... ...
알뜰살뜰 세뱃돈 불리는 법
수학동아
l
201002
같을지라도 가치는 다르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지난 해의 1만 원이 올해의 1만 원과
표면
상으로는 같은 금액일지 모르지만, 실질적인 가치는 낮다고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돈은 시간이 흐를수록 그 가치가 낮아지는 속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비해 물가는 일반적으로 예전보다 오르는 ... ...
캐나다 옐로나이프의 오로라
과학동아
l
201002
사진에서 보이는 1등성은 적색거성인 베텔기우스다. 지름은 태양보다 700배나 크고
표면
온도는 약 3700℃다. 사진에 보이지 않는 1등성은 오리온의 한쪽 발인 리겔이다. 청색별로 약 1만℃나 돼 오리온자리에 있는 별 가운데 가장 밝다. 오리온자리는 옆에 작은개자리가 있고 앞에 황소자리가 있어, ... ...
블랙홀을 연료 삼아 우주 여행한다
과학동아
l
201002
46년 정도 걸린다. 핵융합 로켓 연료가 중수소와 원자량이 3인 헬륨원자다. 이들은 달
표면
이나 목성 대기에 풍부하다. 때문에 핵융합 방식의 경우, 핵분열보다 연료를 구하기 쉽고 우주에서 재충전도 가능하다. 문제는 기술이 아직 성숙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최대 속도는 광속의 12% 정도로 핵분열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