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념"(으)로 총 3,95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신선들이 모이는 곳, IHÉS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않습니다. “나라마다 문화적으로 수학을 연구하는 방법이 다릅니다. 수학에 대한 개념부터 계산 기술까지 문화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세계 연구자들이 모여 이에 대해 토론하면 더 풍부한 토론이 되고 서로 좋은 것을 배울 수 있습니다.” 이런 운영 방식은 IHÉS 설립자인 로버트 오펜 하이머 ... ...
- [DJ CHO의 롤링수톤] 디카펠라의 ‘글로리 데이스’ 아름다운 화음의 비법수학동아 l2018년 08호
- 방식이지요. 최고의 하모니는 순정율평균율에는 무리수 개념이 이용되니, 무리수 개념이 없던 기원전 6세기에 생각지 못했겠지요. 지금처럼 다양한 악기도 없었을 테고요. 그렇다고 피타고라의 순정율이 의미 없는 건 아닙니다. 현대 서양 음계와 본질적으로 같으며, 순정율로 화음을 구성하면 ... ...
- [통합과학 교과서] 토끼 찬스 발동!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마. 얼른 미션을 해결하자. 그럼 다시 집으로 돌아갈 수 있을 거야.” [통합과학 개념 이해하기] 위도별로 바람의 방향이 다르다? 지구는 끊임없이 태양으로부터 에너지를 받아요. 그 양은 위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극지방보다 적도에 더 많은 에너지가 도달 하지요. 즉, 적도의 대기는 상대적으로 ... ...
- Par 1. 필즈상, 무엇이든 다~ 물어보세요수학동아 l2018년 08호
- 방정식의 정수해나 유리수해를 찾고 싶어 하고, 이를 구하는 데 필요한 추상적 개념인 ‘아이디얼’, ‘대수곡선’ 등을 수 몇 개로 나타내려고 해요. 그런데 루빅스 큐브의 꼭짓점에 수를 하나씩 대응한 뒤 세 가지 방법으로 큐브를 잘라 그 수를 배열했더니 뭔가 재밌는 일들이 일어난 거죠. 가우스 ... ...
- 하나를 가르치면 '0’을 아는 벌수학동아 l2018년 08호
- 비교하면 8만 6000배나 적습니다. 그런데도 복잡한 수학 문제를 풀 수 있고 까다로운 수학 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면, 적은 수의 뉴런으로 고차원의 사고가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랄스 치카 퀸메리 런던대학교 생물화학과 교수는 “실제 벌은 다섯 송이가 아니라 몇백 송이의 꽃 사이에서 가장 ... ...
- [국립과학관 공동특별전] 수학나라의 앨리스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색만으로 구분할 수 있다는 ‘4색 정리’도 직접 확인해 보세요.교과서에서 배운 수학 개념부터 융합수학, 산업수학까지 수학나라에서 다양한 모험을 즐길 준비가 됐나요? 안과 밖이 똑같은 뫼비우스 띠처럼 사실 우리가 사는 세상이 수학나라고, 수학나라가 곧 우리가 사는 세상이랍니다. 어서 ... ...
- [Future] 1회 충전으로 609km 주행, 누가 수소차를 무시하나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윌리엄 그로브다. 그는 1839년 산소와 수소를 반응시켜서 물을 만드는 수소연료전지의 개념을 고안해냈고, 1842년 최초의 수소연료전지를 시연했다. 혁신적이고 친환경적인 아이디어였지만 당시로서는 상용화하기 어려웠고, 연구하는 사람도 많지 않았다. 근근이 연구의 명맥이 이어져 오던 ... ...
- [과학동아 X KRISS] 볼츠만 상수로 더 완벽해진 켈빈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묘사하는데 용이하다는 것이다. 온도는 길이나 중량과 달리눈에 보이지 않는 비직관적인 개념이다. 열역학에서 온도는 계를 구성하는 분자나 원자의 에너지 평균값이다. 켈빈 경은 원자의 평균 에너지가 0인 지점의 온도를 0 K로 정했다.켈빈 단위의 온도는 열역학 방정식에도 그대로 적용가능하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새로운 능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떠났단다.”“네에~?!” *미션 카드 : 생물다양성의 중요성을 알아내라! [통합과학개념 이해하기] 생물은 왜 다양해야 할까? 지구의 생물은 최초의 생명체로부터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진화를 거듭했어요. 그 결과, 오늘날 과학자들은 지구에서 약 135만 종의 동물과, 약 30만 종의 식물을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때문에 열심히 공부해 두는 게 좋습니다. 게다가 각도는 일상에서도 자주 사용하는 개념이니까 자세히 알아두면 도움이 될 거예요. 물론 ‘지리는 각’, ‘오지는 각’에 나오는 각을 말하는 건 아닙니다. 자, 그럼. 8번째 방송을 기대하면서 저는 이만 물러갑니다. 뿅 ... ...
이전92939495969798991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