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념
사상
이념
생각
취지
표상
의미
d라이브러리
"
개념
"(으)로 총 3,952건 검색되었습니다.
2019학년도 ‘불수능’ 과학동아에서 정답 찾기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1등급 커트라인도 45점으로 상대적으로 낮다. 또 11번 유전 문제처럼 확률과 통계
개념
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많이 출제됐다. ● 지구과학 지구과학은 2018학년도 수능보다 어려웠다. 1등급 컷이 45점, 2등급 컷이 42점이다. 특히 4단원 ‘다가오는 우주’에서 응용력이 필요한 어려운 문제들이 ... ...
크리스마스에 솔로인 당신 ‘AI 연인’은 어떠세요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이상 감정은 감상적인 무언가가 아니라 AI에게도 딥러닝과 강화학습으로 인식할 수 있는
개념
이 된다”고 말했습니다. AI가 인식한 감정은 로봇의 표정으로 구현해 다시 인간에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하는 로봇들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감정 인식 로봇은 2014년 ... ...
[Career]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 암세포 하나씩 분석 생물정보학의 메카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자체를 제거하려고 한 기존 치료법과 달리 이들은 암 환자의 면역세포를 이용해 새로운
개념
의 치료법을 제시했다. 하지만 3세대 항암치료가 등장했다고 해서 기존의 항암치료법이 중단된 것은 아니다. 특히 ‘2세대 항암치료’로 불리는 ‘표적항암제’는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암 치료법이다. ... ...
[매스미디어] 수학 잘하는 법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효율성 같은 계산은 잊자고 말이다. ‘수학 잘하는 법’의 두 번째 매력은 수학의
개념
이나 수학적 사고를 삶에 접목한 여러 비유를 감상하는 것이다. 캐릭터들은 현실에 있는 문제를 수학적인 해결법에서 힌트를 얻기도 하고 수학 문제의 어려움을 현실의 상황에 맞춰 풀어갈 용기를 얻기도 ... ...
코딩으로 수학 배우고 R&E까지 폴수학학교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코딩을 어떻게 함께 배울 수 있을까. 예를 들면 최대공약수를 배울 때
개념
을 익힌 뒤 그
개념
을 코드로 구현해서 직접 계산하기 어려운 큰 수의 최대공약수를 코딩으로 빠르게 확인하는 식이다. 박왕근 교장은 “학생들이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를 코딩을 통해 빠르고 쉽게 해결할 수 ... ...
세계에서 통한 수학 게임 앱, 토도수학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때 특정
개념
을 잘 이해하는 반면 어떤 아이는 손으로 만지거나 동작을 했을 때 더 쉽게
개념
을 이해한다. 이처럼 아이들에게는 저마다 가장 효과적인 학습 방법이 있는데, 보편적학습설계는 아이들의 다양성을 최대한 고려해 교육 방법을 설계하는 것이다. 토도수학의 게임들은 아이가 해야 하는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2] 왜 대학은 독서를 중요하게 생각할까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우리는 문제를 읽고 해석한다. 문제를 해석한다는 것은 문제에서 요구하는 핵심적인
개념
이 무엇인지 파악한다는 뜻이다. 문제의 요구를 이해하면, 그 요구사항을 자신이 수행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예를 들어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이 ‘근의 판별식’이라면, 자신이 이 식의 정의를 온전히 ... ...
초코볼, 적분을 부탁해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들어보지 않은 사람을 찾기는 힘들 겁니다. 그런데 적분이라는 단어가 익숙하다고 그
개념
까지 익숙한 것은 아닙니다. ‘적분? 나 그거 알아. 아주 쉬워!’라고 말하는 경우를 본 적은 없으니까요. 하지만 사실 그 원리로 들어가면 아주 단순명쾌하다고 느낄지도 모릅니다. 준비물은 별 것 없습니다. ... ...
생리의학상 - 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 면역 항암 치료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우리 몸의 면역세포들이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찾아서 제거하게 하는 완전히 새로운
개념
의 치료제다. 정상 세포까지 제거하는 부작용이 현저히 적고, 암세포의 특정 표적 하나만을 공격하는 것이 아니므로 내성이 생길 가능성도 낮다. 더욱이 한번 암세포를 제거할 수 있게 교육된 면역세포들이 ... ...
영화 속 기생생물 현실에도 있을까? ‘베놈’ vs. ‘창궐’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온라인판에 발표했다.doi:10.1038/nbt.4232 김 교수는 “동물의 장내 미생물의 역할과 유사한
개념
”이라며 “식물의 프로바이오틱스라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잠복기 짧은 ‘좀비 바이러스’는 없어 이번엔 따끈따끈한 신작, 영화 ‘창궐’을 살펴보자. 창궐은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한 픽션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