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계산"(으)로 총 5,053건 검색되었습니다.
- [보드게임] 선구자의 개발 일지 보관소 게임 설계 시작수학동아 l2020년 05호
- 거제상문고등학교 3학년처음 출시한 버전은 무리수자가 없어서 게임할 때 매번 빗변을 계산해야 했다. 그런데 체험전에 가지고 나가보니 초등학생들은 무리수를 배우지 않아 게임을 즐기기 어려웠다. 이 부분을 고민하다 무리수 눈금이 있는 자를 만들면 초등학생도 쉽게 그릴 수 있지 ... ...
- 대역전극, 조작 여부 수학은 알고 있었다?! 내일은 미스터 트롯수학동아 l2020년 05호
- 수 있다니 정말 흥미롭지 않나요? 또 최 교수님처럼 학교에서 배우는 간단한 비례식 계산을 활용해 오디션 순위를 예측하고 그 결과를 확인하는 것도 수학을 좋아하는 사람만 누릴 수 있는 기쁨일 겁니다. 여러분도 생활 속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상황에서 알고 있는 수학 지식을 활용해 보세요. ... ...
- [화장실의 변신 ④] 화장실이 돈이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UNIST 조재원 교수팀이 절약되는 물의 양과 생산되는 에너지양을 근거로 10꿀의 가치를 계산한 결과, 현재 대략 500원에 해당했어요. 물 값이 비싸고, 바이오 에너지에 대한 수요가 높은 유럽에서의 가치는 우리나라보다 높은 980원이었지요. 꿀 화폐는 똥본위화폐 홈페이지(fsm.network)에서 사용할 수 ... ...
- [가르친당 기호4 쌤킴] 백년대계 지름길은 과학 공교육 강화과학동아 l2020년 04호
- 34개, 고등학교 5만7654개이며, 학생 수는 중학교 129만4559명, 고등학교 141만1027명이다. 단순 계산하면 학급당 학생 수가 중학교는 약 25명, 고등학교는 약 24명이다. 전체 학생 수는 앞으로도 점차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학급당 학생 수도 줄어들고, 이에 따라 교사 1인당 학생 수도 축소돼 ... ...
- 아로코스, 행성 탄생 이론 뒤집나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등 네 명의 과학자가 만든 소행성의 운동을 기술하는 효과. 태양풍 등의 영향을 계산해 태양계 내 소행성의 궤도나 회전 방향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특히 아로코스처럼 쌍으로 존재하는 소행성의 운동을 설명할 때 적합하다 ... ...
- [핵배송 비결3] 최고의 배송 경로를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4호
- 도착하면 천장에 달린 드론이 물건을 들고 배송하는 거죠.컴퓨터의 성능을 늘리거나 계산 효율을 늘리는 알고리듬을 개발하는 것 외에도 의외의 방법이 최적의 배송 경로를 찾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우리도 아이디어를 모아 산타마켓 만의 경로 찾기 알고리듬을 만들어보면 어떨까요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4화. 방정식의 근과 대칭은 무슨 사이수학동아 l2020년 04호
- ‘사과 1개를 2명이 나눠 먹으면 각자 사과를 얼마나 먹을까?’와 같은 단순한 계산조차 할 수 없었죠. 이는 곧 1/2 같은 ‘유리수’가 등장하며 해결됩니다. 일차 방정식이 세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면, 이차 방정식은 땅의 넓이, 삼차 방정식은 건물들의 부피를 통해 연구됐습니다. 그 과정에서 ... ...
- [별 헤는 수학] 중력의 비밀을 밝히는 시민 천문학자, 그래비티 스파이수학동아 l2020년 04호
- 10의 21승 분의 1 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아인슈타인은 중력파를 그저 수학적인 계산 결과라고만 생각했습니다.그런데 100년 뒤인 2016년에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랄만한 사건이 벌어졌습니다. 세계 각국의 과학자들이 미국에 설치된 거대한 관측 장비를 이용해서 중력파를 측정하는 데 성공한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로봇이 장애물을 피하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이때 되돌아오는 적외선의 세기를 감지하거나 적외선이 되돌아오는 데 걸린 시간을 계산해 장애물과의 거리를 가늠할 수 있지요. 한편 바닥 방향으로 적외선을 쏘아 반사되지 않으면 낭떠러지가 있다고 판단해 방향을 바꾸기도 한답니다.때로 로봇 청소기는 자신이 돌아다니는 공간을 지도 정보로 ... ...
- [에디터노트] 국회에 과학이 필요한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4호
- 21대 국회 입성을 노리는 후보자들에게 묻고 싶다. 이념 싸움, 진영 싸움 등 정치공학적 계산 능력 말고 전문성이 얼마나 준비됐는지, 긴급하고 복잡한 정책적 결정을 내릴 때 구체적인 증거와 분석을 토대로 과학적인 시각에서 접근하는 능력은 있는지. 과학이 더욱 절실한 2020년 봄을 함께 버텨내며 ... ...
이전92939495969798991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