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바퀴가 만드는 사이클로이드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미끄럼틀을 직선이 아닌 사이클로이드로 만들면 더 스릴이 넘칠지도 모른다. 또 여러
개
의 구슬을 바닥이 아닌 다양한 위치에 놓을 경우 구슬이 동시에 바닥에 모이기 때문에 등시곡선이기도 하다. 사이클로이드 위에 공을 놓으면 도착점과의 거리에 관계없이 동시에 바닥으로 떨어진다는 얘기다. ... ...
묶어서 표현하면 편리한 '몰'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와! 눈이 온다! 함박눈이 내려서 마을이 온통 하얗게 변했다. 밟으면 뽀드득 소리가 나는 길 위를 강아지는 꼬리를 흔들며 뛰어다니고 동네 꼬마들은 눈싸움을 한다 ... ≒1.2×${10}^{22}$
개
다. 이와 같이 몰이라는 단위를 사용하면 아주 큰 수를 사용하지 않고도 입자의
개
수를 표현할 수 있다 ... ...
연이 끄는 화물선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독일의 화물선 회사인 벨루가 그룹이 대형 연을 달아 추진력을 낼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화물선을 진수할 예정이다. 유가가 상승하고 환경 ... 또는 무정형반도체라고도 한다 구성 원소에 따라 산화물계와 칼코게니드계가 있다
개
체 발생이 서로 다른 생물을 비교·연구하고, 그 차이점이나 ... ...
PART3 암세포 잡는 삼총사 뜬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사라지길 기대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15년 천방지축 암 길들이기 PART1
개
인 맞춤형 암 관리시대 PART2 암 발생 20년 전에 진단한다 PART3 암세포 잡는 삼총사 뜬다 아름다운 이 세상 소풍 끝내는 날PART4 내 몸에 꼭 맞는 ... ...
실험동물 살 길 생겻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그렇다면 연구실‘철창’에 갇혀 인류의 복지를 위해 주삿바늘을 피하지 않고‘간과 쓸
개
’를 다 빼주는 실험동물은 어쩌나. 실험동물을 위한 보호법을 제정하려는 움직임을 살펴봤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실험동물 살 길 생겻다 PART1 실험동물 복지시대 열리나 PART2 3R을 아시나요 ... ...
PART1 실험동물 복지시대 열리나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동물의 혈액과 심장의 움직임에 관한 역할을 밝혀냈고, 19세기 프랑스의 루이 파스퇴르는
개
의 광견병, 누에의 미립자병 등 동물의 감염성질병을 연구했다.한편 의학과 과학이 발전하면서 실험에 사용되는 동물의 수가 증가하자 동물실험에 반대하는 움직임도 생겼다. 과학 연구에 실험동물 사용을 ... ...
탐나는 열성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보통 사람보다 한마디 이상 짧은 것도 우성”이라고 설명했다. 이들은 쌍꺼풀이나 보조
개
와는 달리 감추고 싶은 ‘비호감’ 우성이다. 반면 푸른 눈, 금발은 ‘호감’형 열성이다. 즉 우성 중에서도 피하고 싶은 것이 있고, 열성 중에서도 탐나는 것이 있다. 우성과 열성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 ...
곰스쿨, 과학동아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안녕하세요. ‘과학동아와 함께하는 논술·구술’의 이범입니다. 과학잡지를 보면 기초 지식을 쌓을 수 있고 논리력도 키울 수 있습니 ... 수를 포함하면 실제 조회수는 6000번이 넘는다”고 말했다.곰스쿨은 앞으로 매달 4~5
개
씩 과학동아 기사를 자료로 쓴 동영상 강의를 내보낼 예정이다 ... ...
14년 우정이 만든 빛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보이고 있다. 인구 50만명밖에 안 되는 작은 도시 바젤에는 조류 인플루엔자 치료제
개
발로 유명한 로슈나 노바티스, 세로노 같은 세계적인 제약기업이 들어서 있다. 그 바탕에는 대학의 연구기관이 있고, 각 대학은 자신만을 고집하지 않고 문을 열어 놓고 있다.로잔공대는 6500명의 학생 중에서 40%가 ... ...
MEMS는 미래기술의 해결사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인스트루먼츠사가 독점 판매하는 마이크로미러의 크기는 13.68μm인데 비해 윤 교수가
개
발한 소자는 10μm다. 그만큼 해상도가 높은 디스플레이를 만들 수 있다. 더불어 하나의 렌즈가 하나의 마이크로 미러에만 빛을 비춰 화소사이의 틈새를 없애는 기술은 윤 교수의 독보적인 기술로 국제 특허출원을 ... ...
이전
980
981
982
983
984
985
986
987
9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