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가마와 벽화에 남은 자기장의 흔적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자기구역의 크기와 방향에 따라 자석의 성질을 나타낼 수 있다. 적철광의 자기구역 한
개
의 크기는 1mm까지 커지기도 한다.가마에서 불을 때 진흙이 수백 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그 속에 있던 적철광이 지구자기장의 영향을 받는다. 적철광 안에 있는 자기구역들은 서서히 회전해 지구 자기장과 나란한 ... ...
컴퓨터를 현미경으로 업그레이드 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밝기에 상관없이 선명한 영상을 나타낸다.사용하기도 쉽다. 렌즈 앞의 투명한 보호덮
개
에서 볼록 튀어나온 부분을 위로 가게 잡으면 손이 가는대로 영상이 나타난다. 엄지손가락이 닿는 원통형의 검은 다이얼을 돌리면 쉽게 배율을 바꾸고 초점을 맞출 수 있다.영상은 ‘디노캡쳐’(DinoCapture) ... ...
우주로 이사가는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먹고, 생활할 수 있는지를 실험했다. 2년 동안 진행될 계획이었던 바이오스피어2는 18
개
월 만에 실패로 끝이 났다. 기대했던 것과는 달리 산소 농도가 줄어들고 이산화탄소가 계속 늘어나는 데다 일부 곤충만이 번식을 하는 등 생태계의 균형이 깨졌기 때문이다.화성에 대기층을 만들고 식물을 살게 ... ...
사람을 구별하는
개
의 능력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개
는 인간과 가장 가까운 동물이다.
개
를 길러본 사람은
개
가 주인의 생각을 이해한다고 느끼기도 한다. 실제로 동물의 행동과 인지능력을 연구 ... 길들여지지 않은
개
가 어릴 때부터 사람이 기른 늑대보다 훨씬 뛰어난 능력을 보였다.
개
는 인간과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타고났다는 뜻이다 ... ...
한국 천문학자, 특이천체 퀘이사 무더기로 발견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퀘이사보다 좀더 어두운 퀘이사까지 탐사 영역을 넓힐 계획이다. 이 박사과정생은 “200여
개
의 퀘이사를 더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연구팀은 2005년 6월 국내 최초로 퀘이사를 발견한 바 있다 ... ...
PART1
개
인 맞춤형 암 관리시대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강조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15년 천방지축 암 길들이기 PART1
개
인 맞춤형 암 관리시대 PART2 암 발생 20년 전에 진단한다 PART3 암세포 잡는 삼총사 뜬다 아름다운 이 세상 소풍 끝내는 날PART4 내 몸에 꼭 맞는 ... ...
끼기긱~ 소음 잡는 조용한 과학鐵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돌아가는 소음과 바퀴와 레일에서 발생하는 구름 소음이 더 크게 들려요.”오는 3월에
개
통해 인천공항과 김포공항을 운행하는 공항 철도의 저소음 전동차는 바닥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줄이기 위해 ‘뜬바닥 구조’를 사용했다. 뜬바닥 구조는 승객이 밟는 바닥판과 객실 아랫면의 접촉을 막는 이중 ... ...
시들해진 마음에 불을 질러라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새해가 되자 정치인들은 나름의 화두를 담은 사자성어를 경쟁적으로 내놓았다.‘한여름이 가물어 싹이 마르면 하늘은 비를 내린다’는 뜻의 한천작우(旱天作雨)나‘ ... 분석하고 예측하는 분야가 바로 예측공학이다. 지금도 많은 학자들은 새로운 예측 모형을
개
발하는데 몰두하고 있다 ... ...
타로의 돼지 상식 2 - " 돼지, 과학을 빼 놓으면 안 되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세포를 가진 동물을 만들고 있다. 엠젠바이오와 한국축산기술연구소가 공동으로
개
발해 지난 2006년 12월 말에 태어난 복제돼지도 면역 거부 반응이 없는 인슐린 분비 세포를 갖고 있다. 이 세포를 사람의 췌장에 이식해서 인슐린이 제대로 나오도록 하는 것이 목표다.동물 실험을 거쳐 사람을 ... ...
3주년 맞은 NASA의 화성탐사로봇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기후의 영향을 연구하는 학문 생체로서는 인간 · 동물 · 식물이 해당된다 생물 기상학의
개
념이 학문으로서 체계를 갖추게 된 것은 1955년 파리 국제생물기상학회의 제1회 총회에서 「생물기상학이란 대기의 물리적 · 화학적 환경 조건이 생체에 미치는 직접 · 간접의 영향을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 ...
이전
981
982
983
984
985
986
987
988
9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