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4 내 몸에 꼭 맞는 암예방법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간암 발생을 예방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15년 천방지축 암 길들이기 PART1
개
인 맞춤형 암 관리시대 PART2 암 발생 20년 전에 진단한다 PART3 암세포 잡는 삼총사 뜬다 아름다운 이 세상 소풍 끝내는 날PART4 내 몸에 꼭 맞는 ... ...
당신이 마신 술의 양을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1:2100이라는 분배계수를 사용한다. 내쉰 숨 속에 알코올 분자가 1
개
있으면 핏속에는 2100
개
가 있다는 말이다. 문제는 이 분배계수가 미국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며 불확도도 크다는 점이다.우 박사는 “민족, 성별, 체중, 나이에 따라 분배계수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한국인에 적합한 분배계수 ... ...
우주정거장서 초파리 1000마리와 뒹군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김치와 밥을 먹었다. 한국식품연구원 김성수 박사가 우리 전통음식을 우주식으로
개
발한 덕분이다. 칼슘과 섬유소를 강화하고 염분을 줄였다고 한다. ‘역시 한국인은 김치에 밥이 최고야.’다음날은 아침부터 지구 사진을 찍는데 몰두한다. ISS가 한반도 상공을 지나갈 때 쳐다보니 황사가 우리나라 ... ...
셜록 홈즈를 인도와도 맞바꿀 수 없는 까닭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인간의 유전자가 침팬지와 99% 이상 일치하는 것으로 밝혀졌을 때 저자의 혜안에 고
개
숙이지 않을 수 없었다. 내게는 진화생물학이나 동물행동학의 재미를 알게 했으며 ‘온 생명’의 관점에서 세상을 바라보는 작은 계기가 되기도 했다. 나는 과연 털없는 원숭이로서 진화를 거듭하고 있을까 ... ...
놀이가 영재가 되는 지름길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원리를 이용하면 공중부양 장치를 만들 수 있을 것 같아요” 라며 즐거워했답니다. 안
개
를 타는 기분이라…. 정말 최고일 거예요. “회오리를 부는 가면” -헐크의 입김송풍장치로 수증기를 빨아들일 때 생기는 회오리를 이용해 폭풍의 원리를 보여 주었던‘토네이도’. 허창엽 친구 (마북초등학교 ... ...
해적왕 잭의 지도정복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1호
그렇지만 현재 항공우주연구원 등에서 우리만의 GPS 위성을
개
발 중이에요. 이 위성이
개
발되면 우리나라 현실에 맞는 새로운 GPS 서비스가 가능해진답니다.Q : 지도를 좋아하는 어린이 독자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려요.A : 우주측지연구소는 언제나 어린이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지도에 대해 궁금한 ... ...
[천문우주]태양계 밖 외계행성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중 두 번째로 발견됐다. 지구에서 40광년 떨어진 별 ‘웁실론 안드로메다’ 주위를 도는 3
개
의 행성 중 가장 안쪽에 있는 ‘뜨거운 목성’이다. 웁실론 안드로메다 주위를 한바퀴 도는데 걸리는 시간은 겨우 4.6일. 웁실론 안드로메다 b의 자전주기도 4.6일이다. 달이 항상 지구에 같은 면을 보이듯, 이 ... ...
지금 화성에는 물이 흐르고 있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협곡을 연구해온 케네스 에제트 연구원은 “협곡이 생기는데 필요한 물은 수영장 5~10
개
분쯤 된다”고 추정했다.수천~수만년 전 화성에 물이 존재했다는 사실과 화성의 북극 근처에 얼음이 있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진은 있었지만 현재 물이 흐르고 있다는 증거를 발견하기는 이번이 ... ...
2. 선폭 줄이면 매트릭스 세상이 온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들어오는 모든 정보를 디지털화하고 데이터를 하나의 칩에 저장할 수 있는 고성능 칩을
개
발하는 것”이 핵심 기술이라고 밝히고 있다.1997년에 미국 카네기멜론대 연구진은 아인슈타인을 살려낸 적도 있다. 아인슈타인이 살아있을 때 찍어둔 500여 편의 비디오에서 음성과 대화 내용을 데이터로 ... ...
3. 잠들어있는 마스터유전자를 깨워라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거라 생각했다.하지만 생명현상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인간게놈연구를 통해 채 3만
개
가 되지 않는 인간유전자의 존재를 확인했지만 각각의 기능과 네트워크, 복잡미묘한 화학물질의 상호작용까지 이해하려면 아직도 갈 길이 멀다.2030년에도 줄기세포치료는 여전히 난제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 ...
이전
982
983
984
985
986
987
988
989
9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