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종
뉴스
"
돌연변이
"(으)로 총 1,012건 검색되었습니다.
靑馬는 실제로 있다?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03
E+ 유전인자를 받고, 두 부모 모두에게 a 유전인자를 받은 가라말이 STX17 유전자와 염색체
돌연변이
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경우에만 나올 수 있다. 이처럼 조건이 까다로운 탓에 가라말은 제주마 1만 마리 중 16마리 안팎에 불과하다. 특히 가라는 ‘보통가라’와 ‘먹가라’ 두 가지로 나뉘는데, ... ...
후성유전 비밀 풀리나
동아사이언스
l
2013.12.26
DNA상의 염기서열을 직접 바꾸지 않고도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돌연변이
가 생긴 Tet 효소 단백질이 백혈병 환자에게서 다량 발견되기 때문에 이번 연구결과는 앞으로 백혈병 치료제 연구에도 쓰일 것으로 기대된다 ... ...
‘획기적인 암 치료법’ 올해의 과학기술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3.12.20
가능하게 만드는 유전자 편집기술도 주목을 받았다. ‘CRISPR’라는 칼을 이용해 나쁜
돌연변이
를 잘라내고 건강한 DNA로 교체하는 기술이다. 올해의 과학 뉴스에는 생명과학 분야가 많다는 특징이 눈에 띈다. 카페인을 첨가해 인간배아줄기세포를 얻는 데 성공한 기술이나 사람의 장기를 본떠 ... ...
돌연변이
만 골라 '싹둑' RNA유전자가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11.20
위키미디어 제공 국내 연구진이
돌연변이
유전자만 골라 정확하게 잘라내는 정밀한 'RNA 유전자가위'를 개발했다. 유전자가위는 유전체의 특 ... 김 교수는 “RNA 유전자가위의 정확도를 높임으로써 잘못된 곳을 자를 때 발생하는
돌연변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 ...
신종AI 변형바이러스에 사람이 처음 감염
동아사이언스
l
2013.11.17
사람의 호흡기 상부에 존재하는 특정 수용체에 달라붙지 못한다. 그런데 변종 H6N1은
돌연변이
단백질로 인해 이 수용체에 달라붙어 사람을 감염시킨 것이다. 바이러스의 출처는 밝혀지지 않은 상태다. 연구팀은 “바이러스의 유전자가 대만에서 키우는 가금류에서 발견되는 H6N1과 매우 유사해 ... ...
철새는 ‘바이러스’를 싣고
동아사이언스
l
2013.11.13
발표했을 정도다. 포유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비슷한 점이 많아 전파 과정 중
돌연변이
가 발생해 인체 감염이 쉬워질 수 있다는 말이다. 인체가 고병원성 AI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환자는 폐기능이 손상돼 호흡곤란증상을 겪다가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사망에 이르게 된다. 타미플루와 리렌자 ... ...
암 발생 근본적으로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12
폐암을 유발하는
돌연변이
유전자를 생쥐에 주입한 뒤 변화를 관찰했다. 그 결과,
돌연변이
유전자에 의해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변화되는 것을 RUNX3 유전자가 억제하고 있었다. 특히 연구진은 RUNX3 유전자를 늘리면 폐암 세포를 선택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지금까지의 ... ...
이랬다 저랬다 조울증, '신경저울'로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10
네이처 표지는 이런 신경저울 역할을 하는 ‘SHANK3’ 유전자가 차지했다. 그동안 SHANK3에
돌연변이
가 일어나면 이 유전자가 본래 표현하던 ‘SHANK3 시냅스 스캐폴드 단백질’이라는 물질 분비에 이상이 생겨 자폐증이나 정신분열 등 신경정신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고 알려져 왔다. 반대로 SHANK3가 ... ...
알고 먹으면 더 아삭한 '김치'의 매력에 빠져보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3.11.04
속 젖산균은 ‘암 치료’에도 도움을 준다. 젖산균 내 ‘펩티드글리칸’과 같은 성분이
돌연변이
나 종양 생성을 억제해 대장암, 고형암 치료에 효과를 나타낸다는 연구결과가 여러 번 보고된 바 있다. ● 특정 유산균 접목해 '기능성' 김치 개발하기도 최근에는 특정 질병에 대한 효과가 있는 ... ...
누굴 닮아서 공부 못하냐구요? 곧 알려드립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03
어느 한쪽에 생긴 문제가 원인이 될 수 있는 데,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이용하면 이렇게
돌연변이
가 생긴 염기서열을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다는 뜻이다. 뿐만 아니라 이번 기술은 유전자 형태에 따라 부작용의 위험을 줄인 맞춤형 의약을 처방하는 데도 쓰일 수 있다. 렌 교수는 “이번 ... ...
이전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