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
졸음
물위
휴식
선잠
수상
상류
뉴스
"
수면
"(으)로 총 1,071건 검색되었습니다.
동식물 직접 탐사하며 가족끼리 미션 수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7.14
반찬으로 자주 오르는 물고기 중
수면
에 대해 수직으로 헤엄치는 건 무엇일까? 대부분의 어류와 달리 수직으로 헤엄치는 물고기 중 가장 친근한 것은 갈치다. 이것은 ‘어린이과학동아’ 지구사랑탐사대원들이 지난 7월 12일부터 1박 2일 동안 가족캠프에서 풀었던 미션 중 하나다. 탐사대원들은 ... ...
정신적 스트레스가 염증 일으킨다
과학동아
l
2014.07.06
염증이 많아 건강상태가 좋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팀은 “CBP 단백질의 양은
수면
이 부족하거나 영양이 불충분할 때, 그리고 스트레스가 심각할 때 분비되는 염증 양에 비례해 늘어난다”며 “어린 시절 당한 집단 괴롭힘과 따돌림이 20년이 지나 성인이 된 이후에도 건강에 악영향을 ... ...
내시경 검사 괴로움 없앨 새 검사법 나오나
과학동아
l
2014.06.30
두려운 마음이 앞선다. 몸 속에 긴 관이 들어올 때 느끼는 불쾌감 때문이다. 이를 잊고자
수면
마취를 선택하면 검사 절차는 더 번거로워진다. 최근 한미 공동 연구진이 내시경 검사를 대신할 수 있는 검사 기술을 개발해 주목을 받고 있다. 주진수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성균관대와 미국 ... ...
'아이언맨'슈트 입고 외계인과 싸워라
과학동아
l
2014.06.22
가장 위험한 적은 바로 잠수병이다. 잠수병이란 수압이 높은 깊은 물속에서
수면
으로 부상할 때 피 속에 녹아있던 기체가 폐를 통해 나오지 못하고 혈관 내에서 기체방울을 형성해 혈관을 막아버리는 증상을 말한다. 온몸 전체를 알루미늄 합금으로 덮는 이 엑소수트를 입으면 내부 기압을 지상과 ... ...
셜록이 담배를 끊지 못하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4.06.17
있으며 부작용으로 메스꺼움이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드물게
수면
장애, 구토, 자살 충동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부프로피온인 지반(Zyban)은 입맛을 바꿔 담배맛을 잃게 만드는 효과가 있지만 성욕감퇴, 자살충동 유발 등의 부작용이 보고된 바 있다. ... ...
브라질 월드컵엔 '아침형 인간'이 유리
과학동아
l
2014.06.11
미국 토머스 제퍼슨대의 조지 브레이너드 교수는 LED 조명의 파장인 450~480nm의 푸른빛이
수면
호르몬인 멜라토닌의 분비를 막는다고 2001년 '신경과학저널'에 발표했다. 브레이너드 교수팀이 이 파장의 빛을 실험에 참가한 사람에게 쪼이자 기상 시간이 3시간이나 당겨졌다. 브레이너드 ... ...
기말고사 치는 그대여, 에너지 음료 대신 숙면을!
과학동아
l
2014.06.10
누비고 다니면서 노폐물을 깨끗하게 청소한다는 뜻이다. 네더가드 교수는 “
수면
을 통해 뇌에 쌓인 노폐물을 제대로 청소하지 않으면 각종 뇌 질환, 특히 알츠하이머와 같은 질병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경고했다. ... ...
수학을 활용하면 시차 적응도 OK~!
수학동아
l
2014.05.19
주이트-포저-크로나우어 모델에 멜라토닌이 분비되는 시간과, 여행으로 인해 달라진
수면
주기를 적용해 시차증을 극복할 수 있는 시간대를 찾아냈다. 어플리케이션 이용 방법은 간단하다. 출발지와 도착지만 입력하면 두 지점의 시차를 계산한 어플리케이션이 빛을 받아야 할 시각을 알려 준다. ... ...
이건희 회장이 받은 저체온요법 뭘까
과학동아
l
2014.05.12
줄어든 혈액량으로 살아남기 위해 적응한다. 뇌는 산소사용량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가
수면
상태에 돌입한다. 이 때 갑자기 심장박동이 되돌아오면 많은 양의 피가 갑자기 공급되면서 뇌나 장기가 붓거나 손상될 수 있다. 심폐소생술로 심장 박동이 다시 돌아와도 사망하는 사례가 절반이 넘는 ... ...
자각몽으로 악몽 퇴치?
과학동아
l
2014.05.12
흘려보냈다. 전두측두피질은 인지, 자각 등의 행위와 관련된 부위로 보통 렘
수면
상태에서는 활성화되지 않는다. 이 부분에 인위적으로 전류를 흘려 자극을 준 것이다. 그 결과 전류 강도가 40헤르츠(Hz) 정도일 때 실험 참가자의 70% 이상이 꿈에 대해 상세히 묘사했으며 본인이 꿈을 꾸고 있다는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