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뉴스
"
전극
"(으)로 총 998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보그’를 위한 윤리학
동아사이언스
l
2013.08.25
같은 일상화된 공생은 이제 한 단계 업그레이드를 준비하고 있다. 바로 뇌와 신경에 직접
전극
을 연결해 인체와 기계를 일체화하는 것이다. 저자는 이러한 프로젝트에 실제로 참여한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 가능한 기술 수준을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하지만 기술에 대한 소개에 그치지 않고 공생에 ... ...
삼성 ‘3D 반도체’로 또 메모리 혁명
동아일보
l
2013.08.07
24단으로 수직으로 쌓아올린 뒤 위에서 아래로 수십억 개의 미세한 구멍을 뚫는 방식으로
전극
을 연결해 반도체를 완성했다. ▼ 5년내 스마트폰 용량 2배로… 영화 25편 ‘쏙’ ▼ 건물공사를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기존 10nm급 공정이 1층짜리 주택 여러 채를 다닥다닥 붙여 짓는 식이었다면 3차원 ... ...
박테리아가 고효율 충전지를 만든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07.31
늘고 저장효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방식으로 만든 코발트 산화물 나노
전극
과 비교할 때 용량이 3배 늘었고 충방전을 4000번 넘게 반복해도 95%의 효율을 유지하는 것은 물론 충방전 속도도 더 빨라졌다는 것. 김 교수는 “분말 입자 사이에 작은 공간이 넓게 자리 잡고 있어 이온이 ... ...
'꿈의 신소재' 그래핀, 이젠 태양전지도 책임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7.17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백금 상대
전극
의 단점을 극복할 대체 소재를 개발했다는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고효율의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개발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나노기술 및 ... ...
이태우 포스텍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3.07.03
잘 통하는 고분자 물질을 이용해, 전자를 만나면 빛을 내는 입자인 ‘정공’을 그래핀
전극
안에 잘 들어가게 만들어 발광효율을 기존의 100배나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다. 이 기술은 빛을 내는 벽지와 커튼을 만드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 ...
USB 크기의 칩 하나면 바닷물을 담수로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7.02
전기가 가해지는 순간
전극
이 바닷물 내의 염화이온의 일부를 중화시키는 것이다. 즉
전극
주변에 자기장이 만들어지면서 물과 염 이온을 서로 분리시키는 것. 이렇게 분리된 담수는 마이크로 채널을 따라 흘러나와 분당 약 40 나노리터가 만들어 진다. 현재 우리나라에 있는 해수담수화 시설 ... ...
물에 녹인 젤로 태양전지 값싸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6.25
장치로,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보다 만들기 쉽고 재료비도 20~30%밖에 들지 않는다. 문제는
전극
사이에서 전기를 흐르게 만드는 ‘전해질’이 액체여서 휘발해 날아가거나 샌다는 것. 많은 연구자들이 액체전해질 대신 고분자를 유기물에 녹여 젤 상태로 만든 전해질을 개발했지만 점도가 높아 ... ...
복잡한 리튬공기전지 제작, 단번에 끝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6.24
과정이 필요하다. 연구팀은 리튬공기전지의 촉매 금속으로 사용되는, 금 또는 백금
전극
을 벤젠용액에 담근 뒤, 플라즈마를 일으켜, 금속 촉매 나노 입자를 만드는 동시에 이 입자가 다공성 탄소에 합성되도록 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다공성 탄소 화학물이 구조적으로 에너지 효율을 ... ...
3D 프린터 알고보니 도깨비 방망이네~
동아사이언스
l
2013.06.19
머리카락에 불과할 만큼 매우 미세하고 정교하게 만들어졌다고 설명했다. 특히 전지에
전극
이 흐를 수 있도록 양극에는 리튬 금속화합물을, 음극에는 다른 나노입자를 사용했다. 루이스 박사는 “이 연구결과는 3D기술을 이용해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지닌 미세 배터리를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 ...
이마에 15분간 패치 붙였더니 “피오나 공주가 백설공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13.06.14
대한 욕구가 줄어들게 된다는 것이다. 또 우울증 때문에 의욕이 없는 사람에게는
전극
으로 보상회로를 활성화할 수도 있다. 윤 연구원은 “전류를 높이거나 전류를 흘려보내는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하면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며 “약물 치료의 한계를 뛰어넘고 뇌수술의 위험성을 극복해 각종 ... ...
이전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