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뉴스
"
전극
"(으)로 총 998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시즌2 [제4편]
동아사이언스
l
2014.05.23
전공이 화학과, 생물학과 같은 자연대학의 순수학문과 어떤 차이점이 있으며, 나노구조
전극
개발은 무엇을 연구하는 분야인지, 앞으로 화학생물공학의 메가트렌드는 무엇인지 등 전공적성부터 미래전망까지 다양한 질문과 답변을 살펴본다. ◆ MC: 최정문┃서울대 산업공학과 4학년 ... ...
값싼 태양전지 투명
전극
재료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5.21
비용이 덜 들면서도 성능이 좋은 투명
전극
소재를 새로 찾았다"며 "이 소재가 차세대 투명
전극
을 만드는데 유용하게 쓰일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과학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 2일자에 실렸다. ... ...
태양전지, 네 안에 나선 있다
과학동아
l
2014.05.13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김종규 교수와 이종람 교수 공동 연구팀은 유기태양전지의
전극
을 3D 나선형 구조로 만들어 전지의 효율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유기태양전지가 태양빛을 흡수하는 능력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과학 학술지 '어드밴스드에너지머터리얼스'의 표지. ... ...
그래핀 폐기물로 다시 그래핀 제작?
과학동아
l
2014.05.13
이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그래핀 투명
전극
으로 LED와 태양전지를 만들어본 결과 기존 ITO
전극
에 비해 성능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수영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로 그래핀 합성 단가를 낮출 수 있어 향후 ITO를 대체할 그래핀 응용소자 상용화를 앞당길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
차세대 구동장치 ‘인공근육’ 개발됐다
과학동아
l
2014.05.09
처리한 그래핀을 쌓아 종잇장처럼 얇은 5㎛(마이크로미터·1㎛는 100만분의 1미터) 두께의
전극
을 만들어 인공근육으로 활용한 것이다. 실험 결과 그래핀 인공근육은 6시간 동안 성능이 일정하게 유지됐다. 오 교수는 “그래핀 인공근육을 이용해 로봇이나 장애인용 보조기구에 쓸 수 있는 새로운 ... ...
쏴~ 샤워기 물이 전기로 바뀌네
과학동아
l
2014.04.28
이번에 연구팀은 물의 움직임을 활용한 것이다. 연구진은 투명한 기판 위에
전극
을 만들었다. 그 위에 전자 이동을 유도하는 '유전체층'과 기판에 물이 맺히지 않고 곧바로 흘러내리도록 하는 '발수층'을 포갰다. 물방울이 발수층을 흘러내리면서 유전체층을 만나면 전하를 축적할 수 있는 ... ...
‘누드’ 노트북에 쓰일 ‘누드’ 메모리소자 탄생
과학동아
l
2014.04.23
김태근 교수 - 고려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속이 훤히 들여다보이는 투명 전자기기에 필요한 투명 메모리소자 개발에 성공했다. 김태근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팀은 ' ... 사진(왼쪽)과 ITO 층 위에 흡착된 RGO 플레이크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오른쪽). ※ITO=투명
전극
. - 고려대 ... ...
아이폰 배터리 용량 1.5배 늘어난다면…
과학동아
l
2014.04.09
동시에 이 때 생긴 그래핀으로
전극
활물질의 표면을 코팅한 것이다. 이 방식으로 만든
전극
활물질을 이용하자 리튬 2차 전지의 용량이 2배 이상 늘어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공정 자체가 간단하고 비용도 많이 들지 않는 게 장점”이라며 “상용화되면 스마트폰의 배터리 용량이 약 1. ... ...
태양전지, 창문에 붙일 수 있을까요, 없을까요?
과학동아
l
2014.04.07
만들어 태양전지에 적용하는 데 성공한 적 있는데, 이번에는 성능이 20배나 더 뛰어난
전극
을 만들었다. 이 교수는 “이번에 만든 태양전지는 유연하면서도 반투명이기 때문에 창문형 태양전지뿐만 아니라 스마트 의류를 만드는 데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 ...
버려진 나무로 전기 충전한다고?!
과학동아
l
2014.04.06
늘었고, 그래핀
전극
보다는 4배나 증가했다. 박 교수는 “버려지는 폐기물에서 새로운
전극
소재를 개발했다는 점이 기존 연구와 다르다”면서 “바이오매스 분야의 새로운 응용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에너지·환경 분야 국제 학술지인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