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뉴스
"
전극
"(으)로 총 998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래핀 결함만 찾아내 수리한다
2014.09.10
반응할 때 백금을 생산하는 가스다. 이렇게 치유된 그래핀은 백금의 높은 전도성 덕분에
전극
이나 가스센서로서의 성능도 3배 이상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로 그래핀의 결함을 치유할 수 있게 됐을 뿐 아니라 성능도 개선시켰다”며 “백금뿐 아니라 금, 은 등 다양한 ... ...
한번 충전해서 서울-부산 왕복하는 전기차 없을까
2014.09.10
이용한 고성능 저장장치’ 배터리
전극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배터리의
전극
만을 개발한 것으로 상용화 과정을 추가로 연구해야 한다. 무인자동차 전문가인 심현철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플로우셀 배터리 등 첨단기술이 전기차 상용화를 한층 앞당기고 있다”면서 “전기차가 ... ...
“하루 만이라도 머리 좋아지게 해주세요”
2014.08.29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는 “과거에는 뇌 치료와 연구를 위해 수술을 하거나 뇌에
전극
을 직접 꽂는 등의 방법을 많이 썼지만 최근 들어 자기장이나 전기, 초음파 등 뇌를 간단히 자극하는 방법이 주목받고 있다”며 “이제는 뇌의 신비를 풀기 위해 어느 부위를 어떻게 자극할지에 대한 연구가 ... ...
세상에서 가장 가는 ‘금바늘’
2014.08.27
읽어낼 수 있는 고성능 탐침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뇌 탐침은 아주 가는
전극
을 신경에 접속할 때 이용하는 것으로 뇌에서 흐르는 미세한 신경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간질이나 파킨슨병 환자의 뇌 전기 치료, BMI(뇌-기계 연결장치) 기술 개발, 사지마비환자의 신경연결기법 개발 등 다양한 ... ...
전자기판 투성이 태양전지에 엽록소가 쏘옥~
2014.08.25
은 나노입자로 엽록소에서 빠져나가는 파장대의 빛을 흡수해 재사용했으며 엽록소를
전극
기판 위에 배열할 때 출력저하 현상 역시 감소시켜 태양전지의 효율을 증가시키는데 성공했다. 실험결과 기존보다 일반 태양전지에 비해 효율이 200% 향상됐다. 연구진은 “이번 성과는 엽록소를 비롯해 ... ...
반도체 두께가 겨우 원자 몇 개?
2014.08.24
개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반도체 p-n 접합의 모식도. 상하 수직면에 단원자층의 그래핀을
전극
으로 사용했다. - 고려대 제공 이철호 고려대 KU-KIST 융합대학원 교수와 김필립 미국 하버드대 물리학과 교수팀이 반도체의 접합면 두께를 줄여 고효율 태양전지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 ‘p-n ... ...
유리 투명
전극
을 LED에?
2014.08.20
주입하고 분산시켜주는 역할을 한 덕분이다. 김 교수는 “최근 개발된 유리 투명
전극
을 실제 LED에 적용해 우수성을 입증한 최초 사례”라며 “LED뿐 아니라 태양전지 등 다양한 광전소자의 효율을 높이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설명했다. ... ...
친환경 수소자동차 상용화 파란불
2014.08.13
kW당 30달러 수준으로 보고 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성과를 응용하면 연료전지
전극
에 쓰이는 백금촉매의 양을 크게 줄여 상용화목표치까지 근접할 수 있다고 밝혔다. 유성종 KIST 연구원은 “이번에 개발한 멀티스케일 나노구조를 연료전지뿐 아니라 자동차용 배출가스 정화장치, 물 분해 등 ... ...
살아 움직이는 것 같은 기계 구동장치 나온다
2014.08.06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일권 교수는 “간편한 용액 공정을 통해 고분자
전극
을 쉽고 빠르게 만들 수 있게 된 것이 이번 연구성과의 의미”라며 “기존 인공근육의 단점을 극복하는 한편 경제성도 높일 수 있을 걸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성과는 재료분야 국제학술지 ... ...
스마트폰 3년 써도 배터리는 처음처럼?
과학동아
l
2014.07.15
결합된 독창적인 구조의 안정적인 리튬이온전지용 음극소재를 새롭게 개발했다. 이
전극
을 이용해 전지를 만든 결과 1000번 이상 충ㆍ방전을 계속해도 성능이 99% 수준으로 유지됐다. 휴대전화를 매일 한 번씩 충전한다고 가정하면 3년을 사용해도 처음 성능이 거의 그대로 유지되는 셈이다.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