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뉴스
"
전극
"(으)로 총 998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파트에 도시가스 쓰는 연료전지 설치한다면…
2014.12.23
개발했다. 이중층 페로브스카이트는 촉매 기능은 물론 이온과 전자를 잘 전달하는 등
전극
이 갖춰야할 모든 요소를 충족해 장시간 안정적이면서도 전기를 높은 출력으로 만들었다. 연구팀은 이전까지 단위면적(㎠)당 0.5와트(W)에 불과했던 출력을 1.3W/㎠로 높였으며, 500시간 이상 안전성 ... ...
물-기름 ‘상극’인 물질 결합시켜 나노복합체 개발
2014.12.11
쌓아 에너지 저장장치로 쓰이는 슈퍼커패시터
전극
을 만들었다. 이
전극
은 기존
전극
보다 에너지 저장능력이 2배 이상 높았으며 1000번 구동한 뒤에도 성능이 93% 이상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 교수는 “극성과 무극성이라는 서로 전혀 다른 화학성질을 가지는 물질로 나노복합체 박막을 ... ...
전원 꺼져도 정보 보존되는 ‘강유전체’ 수수께끼 풀려
2014.12.03
강유전체를 통과하는 양자역학적 흐름이 크게 달라진다는 것이다. 정 연구원은 “거대
전극
효과의 원리를 밝힌 만큼 강유전체로 터널접합소자를 만들 때 중요한 고려사항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의 자매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지난달 17일자에 실렸다. ... ...
뇌는 정말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구별하지 못할까?
2014.12.01
해상력을 지니는 장치로 추측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고(살아있는 사람 뇌세포에
전극
을 꽂을 수는 없으므로). 또 원숭이의 F5에 해당하는 영역이 사람에서 브로카 영역이지만 둘의 기능이 전혀 다른 상태에서 그 결과를 유추해 언어활동에 거울뉴런이 관여한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고 말한다. ... ...
빛만큼 빠른 전하 움직임 첫 관측
2014.11.25
크기의 소자에 흐르는 전하의 움직임을 펨토초 단위로 관측할 수 있었다. 또 전하가
전극
사이를 통과하는 시간을 관측할 수 있었으며, 조건을 다양하게 바꿀 때 전화의 속도가 변하는 정도를 관측하는 데도 성공했다. 안 교수는 “전하의 속도와 소자 내 이동시간을 정확히 알 수 있다는 점에서 ... ...
빛으로 신경 조절한다
2014.11.12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전기나 초음파, 자기장 등을 이용한 기존 신경 자극법은
전극
이나 시스템을 환자에 이식해야 한다는 점 때문에 실제 치료에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원하는 부위를 국소적으로 자극할 수 없다는 점도 문제였다. 연구진은 열을 이용해 신경세포나 세포 조직의 활동을 ... ...
미니어처 크기 ‘나노 배터리’ 나온다
2014.11.11
때 만들어지는 나노미터 단위의 미세한 구멍이다. 특히 구멍이 규칙적으로 배열돼 있어
전극
사이의 간격이 균일한 배터리를 만들 수 있다. 연구진은 이 나노동공에 전기를 생성시키는 전해질을 넣고 양쪽 구멍 끝부분에 오산화바나듐이라는 금속화합물을 첨가해 양극과 음극으로 만들었다. 그 ... ...
메이드인 코리아 ‘사이보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
2014.11.10
전극
에 약물이 들어 있는 나노 섬유를 넣어 이런 부작용을 없앴다. 연구진은 이
전극
을 하반신이 마비된 토끼의 척수에 연결하고, 척수 신경신호를 근육에 다시 연결해 다리를 움직이게 하는 데 성공했다. 수술 없이 뇌파를 읽어내는 장치도 개발 중이다. 박광석 서울대 의대 의공학교실 교수팀은 ... ...
5만 번 충·방전해도 끄떡없는 고용량 충전지 나왔다
2014.11.06
속도가 느리고 수명이 짧았다. 연구진은 두 소재를 함께 사용해 둘의 장점만 지닌
전극
소재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먼저 금속화합물을 포함한 탄소계 원료 용액을 가느다란 관을 통해 뿜어내면서 열을 가하는 방식으로 겉에 구멍이 많고 속은 비어 있는 공 모양의 탄소계 물질을 만들었다. 이어 ... ...
[사이언스 브리핑] 강성모 KAIST 총장 세계경제포럼 분과위원장 선임 外
2014.11.04
2명을 뽑아 상을 수여한다. 김해겸 연구원은 탄소를 기반으로 한 리튬과 소듐을 이차전지
전극
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로 최우수 연구상을 수상했다. 시상은 내년 5월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추계학술대회에서 이뤄질 예정이다. ■ 국제대기환경보전단체연합회(IUAPPA) 2016년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