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뉴스
"
전극
"(으)로 총 998건 검색되었습니다.
대면적 유기반도체 제작 길 열렸다
2015.05.06
만들어도 불량품이 많아지는 것이다. 유기반도체 소자 사이는 독립적으로 유지하면서
전극
(동그라미 안쪽 긴 막대와 짧은 막대) 사이 채널에는 반도체 박막을 형성하는 기술 모식도. - 서울대 제공 연구진은 특수 표면 처리를 통해 반도체 소자 사이를 단절시켜 불량품은 줄이면서도 소자 내부는 ... ...
버튼만 누르면 투명 유리창이 TV로 변신
2015.04.29
흐르지 않을 때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던
전극
(왼쪽)은 전기가 흐르면 불투명하게 바뀐다(오른쪽). - 윤태훈 교수 제공 아침 햇살이 쏟아져 들어오는 거실 유리창을 버튼 하나만 누르면 순식간에 TV 모니터로 바꿀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윤태훈 부산대 전자공학과 ... ...
휘어지는 투명 스마트폰, 도장 찍듯 ‘꾹’ 찍어 만든다
2015.04.22
기술을 이용하면 스마트폰 안테나를 내장형이나 외장형으로 만들 필요 없이 표면에
전극
을 찍어내는 등의 방법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면서 “자동차 등 여러 제품에 유용하게 쓸 수 있는 기술”이라고 말했다. 연구성과는 재료공학분야 권위지인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8일자 ... ...
피부에 붙여 실시간 진단하는 ‘무선 스마트 센서’
2015.04.22
그래핀으로는 센서를 만들고 저항이 작은 은나노와이어로는 전류를 흘려주는 부위인
전극
을 만들어 결합시킨 것이다. 이 센서는 투명한데다 반으로 접거나 최대 2배까지 잡아당겨도 성능이 변하지 않는다. 특히 외부 안테나에서 쏜 전파를 이용해 작동하기 때문에 배터리가 필요 없다. ... ...
늘어났다 줄어들며 전기 만드는 ‘스타킹 전자소재’
2015.04.15
뛰어난
전극
을 덧붙여 자가발전소재를 완성했다. 소재를 늘릴 때 생산된 전기를
전극
에 저장해 원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만든 것이다. 연구진이 개발한 고탄성 나노자가발전기는 최대 3배까지 늘어나면서 4V의 전압을 발생시킨다. 이는 지름 5mm가량의 발광다이오드(LED) 하나를 작동시킬 수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4.15
주고 환자의 반응을 살핀 결과를 뇌지도로 그렸어요. 펜필드는 뇌의 바깥 부분만을
전극
으로 자극했기 때문에 정확도가 많이 떨어져요. 하지만 뇌의 위치에 따라 그 역할이 각각 다르다는 사실을 증명했다는 것만으로도 의미가 크답니다. ※ 더 많은 과학기사를 2015년 4월 15일자 ... ...
친환경 미래車 에너지효율 올릴 원천기술 찾았다
2015.04.13
연구팀은 GDC에 여러 물질을 섞어가며 실험한 결과 코발트를 이온 광물과 합성했을 때
전극
의 불순물이 사라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코발트 이온이 경계면에 쌓인 가돌리늄과 반응해 균열을 채우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브린크맨 카일 클렘슨대 재료공학과 교수는 “수소연료전지는 ... ...
자연에 답이 있다! 바이오재료의 세계
2015.04.07
부풀어 올라 네트워크가 느슨해지면서 물렁물렁해진다. 따라서 이 재료로 만든 미세
전극
을 건조한 즉 딱딱한 상태에서 뇌조직에 박으면 체액이 스며들며 물성이 바뀌어 유연해지면서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지난해 쥐를 대상으로 한 동물실험이 성공했고 조만간 영장류 실험을 진행한 뒤 사람을 ... ...
“2020년까지 그래핀 핵심기술 85개 확보”
2015.04.07
합성 기술 확보 방안이 담겼다. CVD 그래핀은 투명
전극
, 유연한 디스플레이, 에너지용
전극
소재 등에 쓰인다. 또 크기와 두께에 따라 특성이 바뀌는 그래핀의 품질을 관리하기 위해 측정 기술과 신뢰성 평가 기술 개발 등도 추진된다. 정부는 기술 수준과 시장 성장 가능성이 높은 6대 응용제품을 ... ...
서울~대전 쉬지 않고 달릴 수 있는 배터리 나온다
2015.04.06
연구가 필요하다”면서도 “2차원 나노시트의 전하 저장 과정을 규명해 슈퍼커패시터용
전극
으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밝힌 것은 처음”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현재 이와 관련된 특허를 출원했으며, 이 연구 성과는 나노분야 권위지인 ‘나노 레터스’ 3월 3일자에 실렸다.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