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뉴스
"
전극
"(으)로 총 1,019건 검색되었습니다.
폭발 위험 없는 배터리 나온다
2015.12.29
전극
에 균일하게 코팅시키는 데도 성공했다. 이
전극
은 분말 형태의 고체전해질로 만든
전극
보다 출력이 뛰어났다. 정 교수는 “새로운 고체전해질은 전도도가 높고 공기 중에서 안정할 뿐 아니라 원재료나 용매의 가격이 싸고 독성 문제도 없다”며 “이 기술을 이용하면 전고체 리튬전지의 ... ...
‘울퉁불퉁’한 유기태양전지로 세계 최고 효율 기록
2015.12.23
전자를 수집하는 층을 위에 뒀다. 문제는 양전하 수송층에 쓰이는 소재가 산성도가 높아
전극
을 부식시킨다는 점이다. 최근에는 양전하 수송층 대신 금속산화물로 된 전자수집층을 아래에 두고, 위쪽에 전자를 잘 내어주는 금속을 두는 유기태양전지 연구가 활발하다. 다만 이 경우 각 소재들이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3)대뇌피질뉴런 구조를 밝힌 뇌과학자 ‘버논 마운트캐슬’
2015.12.23
처리 메커니즘을 연구했다. 그는 마취한 고양이의 일차감각피질의 회백질에 미세
전극
을 꽂아 개별 뉴런의 반응을 기록했다. 이 과정에서 마운트캐슬은 뉴런의 분업이라는 흥미로운 발견을 했다. 즉 어떤 뉴런은 가벼운 접촉에만 반응하고 어떤 뉴런은 뭔가가 누를 때만 반응하고 어떤 뉴런은 ... ...
내 손에 ‘투명 히터’
2015.12.21
기존 투명
전극
에 비해 10분의 1로 줄어들어 전기 전도성이 좋아졌다. 연구팀은 투명
전극
을 이용해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heater)와 위험물질을 감지할 수 있는 가스 센서를 함께 구현하기도 했다. 히터는 70% 이상 길이가 늘어나도 성능이 저하되지 않아 피부나 옷감에 붙여 겨울철 방한용품으로 ... ...
OLED-그래핀 만나니 TV가 더 선명해지네
2015.12.15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진은 기존 진공 상태에서 OLED를 제조했던 것과 달리 그래핀
전극
위에 필름을 붙이는 ‘라미네이션 공정’을 개발해 제조과정을 단순화하는 데도 성공했다. 이 실장은 “기존 OLED는 암실에서는 완벽하지만 주변 빛이 방해하는 밝은 상황에서는 약점이 존재했다”며 ... ...
은 나노와이어로 고성능 투명
전극
만드는 기술 개발
2015.12.08
표면도 매끄러워 저항도 줄어들었다. 고 교수는 “정렬된 은 나노와이어로 만든 투명
전극
은 고성능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물론 고효율 유기태양전지 등에 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나노분야 학술지 ‘나노레터스’ 11월 9일 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힘 좋고 오래가는 수소연료전지 나온다
2015.12.07
효율이 낮아 수소연료전지 성능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높은 열이 나오는 환경에서
전극
에 들어있는 백금 촉매가 쉽게 변형돼 기능을 상실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백금입자 사이에 철 나노입자를 배열해 백금의 구성 비율을 절반으로 낮추는 방식으로 촉매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성공했다. ... ...
이론에서나 가능하다던 ‘수소 도핑’ 첫 성공
2015.12.01
이번 연구성과를 응용하면 간단한 공정으로 넓은 면적의 산화물 반도체 및 투명
전극
을 제작할 수 있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수소 도핑 방법을 처음으로 찾아낸 만큼 다양한 광화학적 산업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 교수는 “공정의 용이성에 비해 전기 전도도 조절 ... ...
마구 접고, 마구 구겨도 끄떡없는 태양전지
2015.12.01
머터리얼스 제공 이번에 개발한 전지는 광전 변환 효율이 최고 10.83%로 나타났다. ITO
전극
을 쓰지 않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중 가장 높은 효율이다. 이 태양전지는 접기 전과 후의 효율에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1000번 구부리는 실험을 마친 뒤에도 초기 효율 대비 90% 이상을 유지할 정도로 ... ...
좋은 전지 되려면…전기 잘 통하는 ‘촉매’ 써야
2015.11.26
또 연구팀은 같은 촉매를 쓰면서 촉매 주위를 둘러싼 탄소 전도체의 양을 변화시키며
전극
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했다. 이때는 촉매를 둘러싼 탄소 전도체의 탄소 함유량이 높을수록 반응 전자 수가 높게 나타났다. 탄소 전도체는 전기가 잘 통하는 탄소 입자로 이뤄진 물질이다. 송 교수는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