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뉴스
"
전극
"(으)로 총 997건 검색되었습니다.
진짜 뇌 같은 뇌 팬텀, 3D 프린터로 출력
2015.10.14
특성까지 유사해 전기 자극을 가하면 전류 분포까지 측정할 수 있다. 실제로 이 모형에
전극
을 달고 전기 자극을 준 결과를 컴퓨터를 이용한 뇌 자극 모의실험 결과와 비교했더니 오차가 10%에 불과했다. 이번에 개발한 뇌 모형을 이용하면 컴퓨터를 이용한 뇌 모델의 정확성을 검증할 수 있다는 것 ... ...
레이저 쪼였더니 녹슨 금속이 원래대로 말짱
2015.10.12
공정은 산화구리 외에 다른 금속 산화물에도 적용할 수 있다. 고 교수는 “상온에서
전극
과 활성화 물질을 동시에 쉽고 빠르게 원하는 모양으로 구현할 수 있는 공정을 개발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며, “금속 산화물을 전자 소자 제작에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연구 범위를 확대해나갈 ... ...
수명 100배 더 긴 스마트폰 개발 가능해졌다
2015.09.24
팽창하는 현상을 막는 방식으로 성능을 한층 더 높이는데 성공했다. 새롭게 제작한
전극
재료로 배터리를 만들어 실험한 결과, 500번 이상 충·방전을 거듭해도 성능이 저하되지 않았고 수명도 일반 리튬이온 배터리의 100배, 기존 실리콘 배터리의 10배로 나타났다. 저장용량 역시 일반 배터리의 ... ...
게르마늄 썼더니 충전지 용량 4배나 커지네
2015.09.21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게르마늄은 리튬 저장 능력이 높아 차세대
전극
소재로 주목 받아온 물질이다. 하지만 충방전할 때 부피가 급격히 커져 반복 사용시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노 게르마늄 입자가 탄소를 감싼 구조로 이뤄진 3차원 다공성 물질을 ... ...
황으로 전기차 효율 1.4배 높였다
2015.09.16
활용했더니 전지의 방전 용량이 1.4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 교수는 “최근
전극
소재에 그래핀을 첨가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보다 친환경적이고 비용도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며 “다양한 에너지저장장치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재료과학 ... ...
투명 디스플레이 개발 이끌고 환경오염도 막고
2015.09.10
나노물질에서 은나노선과 은나노입자를 판별하는 기술은 산업계, 특히 고품질의 투명
전극
을 제조하는 분야 등에서 널리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디스플레이 산업계에선 눈에 보이지 않는 은나노선으로 그물 구조를 만들어 투명하고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투명 디스플레이 개발로 연결하려는 ... ...
‘앤트맨’ 주인공, 맨이 아니라 앤트(개미)
2015.09.06
신경을 자극한다는 설정이다. 올해 미국 텍사스 A&M대 연구팀이 바퀴벌레의 뇌신경에
전극
자극을 줘서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데 성공했다고 하니 이 또한 현실성 있게 받아들여진다. 결국 남는 질문은 앤트맨에게 줄었다 늘었다 하는 능력이 필요했냐는 점이다. 개미만 잘 조정해도 충분히 ... ...
충전속도 100배 빠른 이차전지 나온다
2015.08.12
전기전도도가 낮은 리튬인산망간
전극
에 전기전도도가 높은 은나노입자를 결합한
전극
을 개발해 배터리의 전기전도도를 1만배 이상 높이는 데 성공했다. - 포항가속기연구소 제공 연구팀은 리튬망간인산에 전체질량의 1%에 해당하는 미량의 은 나노입자를 첨가한 형태의 소자를 개발했다. ... ...
레이저 쪼여 50배 빠른 초박막 반도체 개발
2015.08.07
만들었다. 이 반도체의 작동 속도는 다른 초박막 반도체보다 50배가량 빨랐다. 반도체와
전극
사이에서 발생하는 저항이 30~40배 줄었기 때문이다. 양 연구위원은 “반도체 상용화를 위해서는 현재 1㎠ 수준인 MoTe2를 대면적으로 제작하는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 ...
맨손으로 뗄 수 있는 ‘그래핀 스티커’ 개발
2015.07.15
계산해 저렴하고 손쉬운 그래핀 제작 기법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반도체용
전극
으로 사용되는 2차원 그래핀은 전력 소모가 적고 효율이 높아 차세대 소자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그래핀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들이 명확히 규명되지 않아 산발적 연구에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