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뉴스
"
전극
"(으)로 총 997건 검색되었습니다.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3)대뇌피질뉴런 구조를 밝힌 뇌과학자 ‘버논 마운트캐슬’
2015.12.23
처리 메커니즘을 연구했다. 그는 마취한 고양이의 일차감각피질의 회백질에 미세
전극
을 꽂아 개별 뉴런의 반응을 기록했다. 이 과정에서 마운트캐슬은 뉴런의 분업이라는 흥미로운 발견을 했다. 즉 어떤 뉴런은 가벼운 접촉에만 반응하고 어떤 뉴런은 뭔가가 누를 때만 반응하고 어떤 뉴런은 ... ...
내 손에 ‘투명 히터’
2015.12.21
기존 투명
전극
에 비해 10분의 1로 줄어들어 전기 전도성이 좋아졌다. 연구팀은 투명
전극
을 이용해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heater)와 위험물질을 감지할 수 있는 가스 센서를 함께 구현하기도 했다. 히터는 70% 이상 길이가 늘어나도 성능이 저하되지 않아 피부나 옷감에 붙여 겨울철 방한용품으로 ... ...
OLED-그래핀 만나니 TV가 더 선명해지네
2015.12.15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진은 기존 진공 상태에서 OLED를 제조했던 것과 달리 그래핀
전극
위에 필름을 붙이는 ‘라미네이션 공정’을 개발해 제조과정을 단순화하는 데도 성공했다. 이 실장은 “기존 OLED는 암실에서는 완벽하지만 주변 빛이 방해하는 밝은 상황에서는 약점이 존재했다”며 ... ...
은 나노와이어로 고성능 투명
전극
만드는 기술 개발
2015.12.08
표면도 매끄러워 저항도 줄어들었다. 고 교수는 “정렬된 은 나노와이어로 만든 투명
전극
은 고성능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물론 고효율 유기태양전지 등에 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나노분야 학술지 ‘나노레터스’ 11월 9일 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힘 좋고 오래가는 수소연료전지 나온다
2015.12.07
효율이 낮아 수소연료전지 성능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높은 열이 나오는 환경에서
전극
에 들어있는 백금 촉매가 쉽게 변형돼 기능을 상실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백금입자 사이에 철 나노입자를 배열해 백금의 구성 비율을 절반으로 낮추는 방식으로 촉매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성공했다. ... ...
이론에서나 가능하다던 ‘수소 도핑’ 첫 성공
2015.12.01
이번 연구성과를 응용하면 간단한 공정으로 넓은 면적의 산화물 반도체 및 투명
전극
을 제작할 수 있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수소 도핑 방법을 처음으로 찾아낸 만큼 다양한 광화학적 산업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 교수는 “공정의 용이성에 비해 전기 전도도 조절 ... ...
마구 접고, 마구 구겨도 끄떡없는 태양전지
2015.12.01
머터리얼스 제공 이번에 개발한 전지는 광전 변환 효율이 최고 10.83%로 나타났다. ITO
전극
을 쓰지 않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중 가장 높은 효율이다. 이 태양전지는 접기 전과 후의 효율에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1000번 구부리는 실험을 마친 뒤에도 초기 효율 대비 90% 이상을 유지할 정도로 ... ...
좋은 전지 되려면…전기 잘 통하는 ‘촉매’ 써야
2015.11.26
또 연구팀은 같은 촉매를 쓰면서 촉매 주위를 둘러싼 탄소 전도체의 양을 변화시키며
전극
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했다. 이때는 촉매를 둘러싼 탄소 전도체의 탄소 함유량이 높을수록 반응 전자 수가 높게 나타났다. 탄소 전도체는 전기가 잘 통하는 탄소 입자로 이뤄진 물질이다. 송 교수는 ... ...
비싸고 오래걸리던 암 검진, 10분만에 끝낸다
2015.11.10
암세포는 간단한 전기장치로 선별할 수 있다. 정상 혈액 세포보다 전기전도도가 높아져
전극
사이를 통과시킬 경우 쉽게 찾아낼 수 있는 원리다. 연구진이 개발한 측정장비로 실험한 결과 암세포를 94% 이상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었다. 이 장비는 현재 100만 원 수준의 값비싼 암 진단 비용을 ... ...
값비싼 나노 촉매 10분의 1 값에 만든다
2015.10.27
값싸게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국내 연구진이 찾아냈다. 각종 촉매나 연료전지
전극
등 에너지 화학분야 산업에 큰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유성종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연료전지연구센터 책임연구원 팀은 포도당 분말을 이용해 나노입자를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