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뉴스
"
전극
"(으)로 총 1,019건 검색되었습니다.
레이저 쪼여 50배 빠른 초박막 반도체 개발
2015.08.07
만들었다. 이 반도체의 작동 속도는 다른 초박막 반도체보다 50배가량 빨랐다. 반도체와
전극
사이에서 발생하는 저항이 30~40배 줄었기 때문이다. 양 연구위원은 “반도체 상용화를 위해서는 현재 1㎠ 수준인 MoTe2를 대면적으로 제작하는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 ...
맨손으로 뗄 수 있는 ‘그래핀 스티커’ 개발
2015.07.15
계산해 저렴하고 손쉬운 그래핀 제작 기법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반도체용
전극
으로 사용되는 2차원 그래핀은 전력 소모가 적고 효율이 높아 차세대 소자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그래핀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들이 명확히 규명되지 않아 산발적 연구에 ... ...
SK하이닉스 ‘정진기언론문화상’ 대상
2015.07.14
시상식에서 과학기술연구 부문 대상을 받았다. SK하이닉스는 세계 최초로 실리콘 관통
전극
기반 신개념 메모리를 개발한 공적을 인정받아 대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자가면역질환 치료 신약 개발로 최대 규모 기술 수출을 달성한 서귀현 한미약품 연구센터 부소장은 우수상을 수상했다. 경제경영도서 ... ...
뇌 3개 연결해 뇌 하나처럼 쓴다
2015.07.10
했다. 먼저 원숭이 3마리의 뇌에서 움직임을 담당하는 부위에
전극
을 붙였다. 이
전극
은 원숭이가 몸을 움직이거나 움직이겠다고 생각할 때 발생하는 뇌의 신호를 받아들이는 역할을 맡았다. 이어서 원숭이 3마리를 서로 볼 수 없는 독립된 공간에 한 마리씩 넣고, 화면에 가상의 원숭이 팔을 띄운 ... ...
값싸고 성능 좋은 ‘꿈의 촉매’ 개발
2015.07.08
분해해서 산소와 수소를 발생시키는
전극
에 적용한 결과 인과 코발트가 상호작용하면서
전극
에서 일어나는 반응을 활성화시키는 사실을 확인했다. 실험 결과 연구진이 개발한 인화코발트 촉매는 이리듐 촉매와 비슷한 조건에서 같은 양의 전기를 생산하며 12시간 동안 물분해를 시켜도 수소와 ... ...
1000배 더 빠른 USB메모리 개발 가능해졌다
2015.06.21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이같은 소자를 만들었다. 연구팀은 ‘
전극
층-발광층-메모리층-
전극
층’을 쌓은 메모리 구조를 만들어 메모리 소자에 3비트를 저장했다. 그 결과 기존 대비 용량을 1.5배 늘리고, 신호 감도를 늘려 빠른 처리속도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현재 낸드 플래시 시장은 연 27조 원 ... ...
‘힘세고 오래 가는’ 리튬이온전지 나온다
2015.05.28
리튬산화물 분해를 돕는 장점이 있어서 오래 사용할 수 있다. 실험 결과 기존 흑연
전극
과 비교해 3배 이상 충전용량이 증가하는 사실을 확인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리튬이온전지 음극을 이 소재로 바꾸면 충전용량이 30~40%가량 늘어나고, 전해질과 양극 소재까지 개선할 경우 최대 3배까지 ... ...
수소자동차 안전성·내구성 4배 이상 높였다
2015.05.27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진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멤브레인과
전극
계면이 레고 블록처럼 서로 맞물려진 맞춤형 구조를 새롭게 개발했다. 이 구조를 저가의 탄화수소계 연료전지에 적용하자 계면 결착력이 8배 이상 증가했다. 연료전지의 내구성도 4배 이상 향상됐다. 김희탁 ... ...
성게 모양 그래핀으로 ‘슈퍼 전지’ 만든다
2015.05.18
그래핀을 슈퍼 커패시터의 재료로 꼽고 있다. 하지만 전기를 흘려보내는 통로인
전극
에 적용할 때 그래핀끼리 서로 달라붙어 표면적이 줄어드는 단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전자의 매개체인 이온이 달라붙을 수 있는 면적이 줄어들어 효율이 떨어졌다. 서로 달라붙지 않게 3차원으로 만들 경우 빈 ... ...
뇌 기능 모방해 생각 읽어내는 하드웨어
2015.05.12
말했다. 피실험자 뇌파의 특징을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 피실험자의 머리에
전극
을 부착하고 ‘아’ ‘이’ ‘우’ 3개 발음을 상상하게 하면(a) 각 발음마다 뇌파 특징이 나타난다(b). 이를 숫자 0과 1로 구성된 2진 코드(c)로 전환해 하드웨어 신경망의 입력값으로 활용했다. -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