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뉴스
"
전극
"(으)로 총 998건 검색되었습니다.
삼켜도 안전한 ‘갑옷 배터리’ 개발
2014.11.04
배터리’를 개발했다. 매사추세츠공대(MIT)와 하버드대 의대 등 공동연구팀은 배터리
전극
을 실리콘 등의 방수·절연 소재로 코팅했다. 덕분에 배터리는 몸속에 들어가서 물에 닿지 않고, 반응을 일으키지도 않는다. 배터리가 모든 소화계를 안전하게 지나 배설될 수 있도록 시간을 주는 셈이다. ... ...
몸속 물질 모방해 리튬 이차전지를?
2014.11.03
사실을 발견하고, 대사 활동에서 산화환원에 관여하는 생체 물질을 모방해 이차전지의
전극
소재에 적용하는 데 성공했다. 세포의 호흡 과정에 미토콘드리아에 있는 ‘플라빈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FAD)’ 분자는 수소나 전자를 통해 에너지를 전달하는데, 연구진은 이 물질을 모방한 프테리딘 ... ...
휘어지는 투명 태양전지, 간단하게 찍어 만든다
2014.10.28
이
전극
으로 만든 유기 태양전지는 기존보다 광전류 밀도가 17% 이상 높아, ITO가 아닌
전극
을 이용한 유기 태양전지 가운데 가장 우수한 결과라는 평가를 얻었다. 이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전지는 휘거나 접을 수 있는 소자에 적용할 수 있어 웨어러블 기기의 상용화를 앞당기는 데 큰 도움이 될 ... ...
숨은그림찾기, ‘전자피부’ 어디 붙어 있을까요?
2014.10.20
구현한다. 박장웅 교수는 “지금까지 불가능하다고 여겼던 유연하고 신축성 있는 투명
전극
을 최초로 만들었다”며 “모든 종류의 투명 디스플레이와 웨어러블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나노 분야 권위지인 ‘나노 레터스(Nano Letters)’ 20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 ...
[2014 노벨 화학상] 빛의 한계 뛰어 넘은 과학자 3명 공동 수상
2014.10.09
영예를 안은 것 같다”며 “메조다공성물질도 조만간 2차전지나 태양전지, 연료전지의
전극
소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면 조만간 노벨상을 받을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한다”고 말했다. ... ...
가볍고 휘어도 OK… ‘종이 배터리’ 개발됐다
2014.09.30
높아 고출력 전지로 활용할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이 연구관은 “종이 한 장으로
전극
과 분리막을 구현한 새로운 개념의 리튬이온전지를 개발했을 뿐 아니라 나무 소재로 이용해 친환경이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결과는 나노 분야 권위지 ‘나노 레터스’ 9월 16일자 ... ...
이재영 GIST 교수·김하석 DGIST 교수 최우수논문 저자상 수상
2014.09.24
이 교수는 김 교수와의 공동연구로 2010년 6월 ‘유기화합물 변환용 팔라듐‧그래핀
전극
촉매 개발연구’를 주제로 한 논문을 일렉트로카탈리시스에 게재했다. 선정위원회는 이 교수 연구팀이 수행한 그래핀 기반 고 에너지 밀도 액체연료 변환 촉매 관련 연구 논문에 대해 “미래 수소기반 에너지 ... ...
전략 짜는 뇌 부위 따로 있다
2014.09.21
않도록 원을 선택하는 것이다. 이때 연구팀은 원숭이의 머리 속에 미리 심어 놓은 미세
전극
을 통해 원숭이 대뇌 전전두엽 세포가 활성화 되는 것을 관찰했다. 이 세포가 바로 전략적인 선택과 관련 있는 부분인 것이다. 한편 이번 연구를 진행한 이 교수는 학부 때 경제학을 전공한 특이한 이력을 ... ...
신소재 개발하려면 ‘이것’부터 보세요
2014.09.19
개발했다. 수소는 수증기 이외에는 어떤 물질도 배출하지 않는 청정 연료다. 수소
전극
이 상용화되면 공해 없이 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 김 단장은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연구로 개발한 신소재는 배터리, 반도체, 의료기기 등 활용 분야가 무궁무진하다”고 말했다 ... ...
“급속 충·방전이 배터리 수명 단축 시키는 것 아냐”
2014.09.15
이끈 이양 리 스탠퍼드대 연구원은 “현재 많이 쓰이고 있는 흑연이나 산화물로 만든
전극
에서도 똑같은 현상이 발생한다”며 “배터리 수명을 늘리는 방법을 찾기 위해 연구를 계속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