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natrium
나트륨램프
램프
람푸
람프
뉴스
"
나트륨
"(으)로 총 355건 검색되었습니다.
올여름 폭염 우려...'더워 죽을 것 같은' 온도는 몇도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7.10
심한 더위이니 활동에 각별히 주의하라는 의미다. 폭염은 열사병은 물론 열 탈진, 저
나트륨
혈증으로 쓰러지거나 심각하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실제로 지난 4일(현지시간) 미국 그랜드캐니언에서 50대가 39도 폭염에 사망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다국적 기후연구 단체인 세계기상특성(WWA ... ...
[과기원은 지금] 장영재 KAIST 교수팀, IEEE TSM 우수논문 선정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7.05
적은 양극 소재의 에너지 효율이 더 높았고 수명 역시 길었다. 프러시안 블루계열 소재는
나트륨
이차전지 양극으로 각광 받고 있다는 점에서 이번 연구는 이차전지의 수명을 조절하는 방법을 찾는 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 UNIST가 영국 대학평가기관 ‘THE’가 발표한 신흥대학평가에서 ... ...
빛, 전기, 세포외소포체… 상처를 치료하는 n가지 방법들
과학동아
l
2023.06.18
섬유아세포, 각질형성세포 등은 전기 신호를 따라 이동한다. 피부 상피층이 파괴되면
나트륨
이온이 세포 안쪽으로, 염소 이온은 바깥쪽으로 이동하며 상처 주변에 자연적으로 작은 전기장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전기 신호를 받아서 호중구 등의 상처 치유 세포들이 모이는 것이다. 샤너 ... ...
WHO "
나트륨
줄이면 2030년까지 심혈관질환 사망자 700만 감소"
연합뉴스
l
2023.05.24
식생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며 "이 보고서가 우리 국민과 식품 업계 모두에게
나트륨
저감 필요성에 대한 인식 확대와 실천의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
산업용 과산화수소 값싸게 대량 생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5.11
연구팀은 500도, 상압 조건에서 이산화탄소를 흘려주면서 강한 환원제인 수소화붕소
나트륨
(NaBH4)과 반응시켜 붕소가 도핑된 다공성 탄소 촉매를 합성했다. 실험과 계산과학 방법을 병행해 개발한 탄소 촉매를 분석한 결과, 탄소 촉매 표면의 붕소(B)와 산소(O)가 같이 결합한 지점에서 과산화수소 ... ...
[오늘과학] 사슴 이빨 펜던트서 찾은 구석기시대 여성 DNA
동아사이언스
l
2023.05.04
연구팀은 유물을 파괴하지 않고 DNA를 추출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90도에서 유물을 인산
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한 뒤 용액에서 DNA를 추출하는 방식을 택했다. 연구팀은 고대 유물을 파괴하지 않고 DNA를 뽑아내는 세탁기와 같다고 설명했다. 이 기술로 러시아 남부 시베리아의 데니소바 동굴에서 ... ...
신소재 '중고 신인' 강유전체...신경모방 컴퓨팅 미래 밝힌다
과학동아
l
2023.04.29
● 전압을 제거해도 정보를 잊지 않는 강유전체 강유전성은 1920년 주석산 칼륨
나트륨
(KNaC4H4O6)이라는 재료에서 최초로 발견됐습니다. 그리고 제2차 세계대전 때 타이타늄산바륨(BaTiO3)이란 강유전체가 발견되며 관련 분야의 연구가 폭발적으로 발전했습니다. 이런 역사를 배경으로 강유전체 ... ...
"임신 초기 고지방 음식 먹으면 아이는 짠음식 선호"
동아사이언스
l
2023.04.27
AT1 유전자가 대조군에 비해 더 많이 발현됐다. 연구팀은 “AT1 유전자는 미뢰에서
나트륨
흡수량을 증가시켜 짠맛을 선호하는 취향을 일으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모체가 임신 중 고지방 식단을 실시하면 AT1 유전자의 발현을 자극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임신 중 식습관은 ... ...
나트륨
배터리 수명과 출력, 획기적으로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18
구현하고 작동원리 규명을 통해 바인더 설계 방향에 대한 비전을 제시했다”며 “향후
나트륨
이온 배터리뿐만 아니라 다양한 고전압 기반 양극 바인더 설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일회용 신분증 나올까...물리 특성 활용 암호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4.18
라벨이나 일회용 신분증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홍 교수는 “아세트산
나트륨
과포화 용액의 상변이에 의해 생성되는 결정의 미세구조를 암호화에 적용한 것은 최초”라며 “향후 응용 및 안정성 개선을 위한 연구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