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성애
동성연애
호모섹슈얼
동성애자
동성연애자
남색
레즈비언
뉴스
"
호모
"(으)로 총 22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지질硏. '그곳에 화산이 있었다' 특별전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10.09
대덕시대 30년’을 발간하고 보유한 과학기술자료를 활용한 소장품 특별전 ‘
호모
인포매티쿠스’를 다음해 3월 1일까지 진행한다. ■ 이화여대는 컴퓨터공학전공에 재학중인 조제희, 성재이 학생이 재난과 같은 긴급상황이 발생해 특정 지역에 대한 통신 연결과 탐지가 어려운 환경에서 여러 ... ...
현생인류 Y염색체 밀려난 네안데르탈인 남성 유전자
동아사이언스
l
2020.10.02
늘려 결국 모든 네안데르탈인 남성의 Y염색체를 대체했다고 밝혔다.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의 두개골(왼쪽)과 네안데르탈인의 두개골(오른쪽). 네안데르탈인은 현생 인류에게 면역 등 유전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기존의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다윈의 항해
2020.10.01
속명(명사형)과 종명(형용사형)을 이 순서대로 붙여 부른다. 즉,
호모
사피엔스라고 하면
호모
속의 사피엔스 종의 생명체란 뜻이다. 수많은 동물과 식물을 분류하다보면 어느 카테고리에도 포함되지 않는 변종들을 접하게 마련이다. 변종, 또는 잡종의 존재는 린네에게 충분히 당황스러웠다. 그는 ... ...
"중증 코로나19 관련 추정 유전자, 네안데르탈인에게 받았을 가능성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05
것으로 추정되는 유전자 영역이 수만 년 전 친척 인류 네안데르탈인으로부터 현생인류(
호모
사피엔스)에게 전달됐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스반테 페보 독일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 단장과 스웨덴 카롤린스카연구소 연구팀은 일부 대규모 게놈 연구에서 중증 코로나19 감염과 관련성이 매우 ... ...
유미과학문화상에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6.26
전국 2300여 고등학교에 무산 배포되는 올해의 우수과학도서로는 유발 하라리의 ‘
호모
데우스(김영사)’가 선정됐다. 유미과학문화재단은 “인류의 미래 역사를 성찰하게 한 책”이라며 선정 이유를 밝혔다. 우수과학도서를 활용한 다양한 독서 프로그램으로 학생의 과학 지식을 넓히는 데 ... ...
3500년전 이역만리 우물서 숨진 고대인 진짜 고향 게놈으로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8
이끌다 지난해 서울대로 자리를 옮겼다. 정 교수는 “네안데르탈인만 해도 현생인류(
호모
사피엔스)와 차이가 있어 오염을 피해 게놈을 해독하기가 상대적으로 쉽지만 지금의 우리와 다를 바 없는 현생인류를 다루는 연구는 매우 까다롭다"고 말했다. 전세계적으로 운영되는 연구실도 몇 곳에 ... ...
"추위보다 현생인류와 경쟁이 더 버거웠다" 슈퍼컴 밝힌 네안데르탈인 멸종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5.26
미친 기후 조건을 더 잘 이해하는 것이다. 충북 단양 구낭굴에서 4만 2000년 전에 첫
호모
사피엔스가 나왔다는 주장이 있다. 연구단에 새 연구실을 꾸려서 한국 기후를 동굴 석순 동위원소 측정을 통해 재구성할 것이다. 그 뒤 우리의 컴퓨터 모델 시뮬레이션을 고기후 데이터와 함께 ... ...
[표지로 읽는 과학] 현생인류-네안데르탈인 '문화 교류' 근거 제시한 장신구
동아사이언스
l
2020.05.23
주인공이 기존 추정보다 최소 수천 년 앞선 약 4만3650~4만6940년 전에 살던 현생인류(
호모
사피엔스)라는 사실을 밝혔다. 불가리아 베이초 키로 동굴에서 발굴된 석기다. 1~3, 5~7은 날카롭게 끝을 벼린 돌칼 및 그 조각이고, 8은 가장 긴 돌칼이다. 4는 뼈로 만든 것과 비슷한 장신구로 사암을 깎아 ... ...
현생인류 유럽 진출 예상보다 더 일렀다…4만5000년 전후 생활도구 발굴
동아사이언스
l
2020.05.13
연대까지 측정했다. 그 결과 화석의 주인공이 약 4만3650~4만6940년 전에 살던 현생인류(
호모
사피엔스)라는 사실을 밝혔다. 현생인류가 유럽에 처음 진출한 연대가 최소 수천 년 앞당겨진 것이다. 또 유럽 대륙에 첫 현생인류가 등장한 이후 네안데르탈인이 사라지기 전까지 공존이 가능했던 기간이 ... ...
300만년전 아기의 '늦게 자란 뇌'가 인류와 유인원 운명 갈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2
흔적을 남겨 서열 해독이 가능하다. 연구팀은 그 외에 약 180만 년 전 화석인 드마니시의
호모
에렉투스 화석의 단백질 해독해 비교한 결과, 안테세소르가 현생인류 및 네안데르탈인, 데니소바인의 공통조상과 가까운 종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