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성애
동성연애
호모섹슈얼
동성애자
동성연애자
남색
레즈비언
뉴스
"
호모
"(으)로 총 223건 검색되었습니다.
얼굴 뼈 화석으로 찾은 서유럽 첫 정착 고인류
동아사이언스
l
2025.03.14
아직 증거가 불충분하다"며 이번 결정이 '잠정적'이라고 설명했다. 분석 데이터가
호모
에렉투스와 유사하긴 하지만 다른 종에 속할 가능성을 열어둔 것이다. 핑크가 발견된 장소에서는 석기 도구와 동물 유골도 발견됐다. 연구팀은 동물 유골에서 절단 자국을 확인하고 "동물 가공에 석기 기술이 ... ...
15만년 전 인류, 열대우림에도 살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28
넓은 시야가 확보되는 개방된 초원 환경에 살았던 것으로 알려져있다. 현 인류의 조상인
호모
사피엔스는 약 30만년 전 아프리카에서 출현했으며 당시 이들이 살았던 환경은 건조하고 드넓은 사바나였다는 것이다. 인류가 열대우림에 처음 살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됐던 시점은 4만5000년 전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기대이하 소행성 '베누' 시료…과학에 절제도 필요
2025.02.19
오른손잡이 분자 농도보다 유의미하게 높게(20% 이상) 나온다면 오늘날 아미노산의
호모
키랄성은 생명체가 등장하기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말할 수 있다. 참고로 초기 지구에 수많은 소행성과 혜성이 운석으로 떨어지며 생명체의 재료가 되는 분자를 공급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정밀한 ... ...
혈액형, 인류 조상이 질병과 싸웠던 '고대 무기고'
동아사이언스
l
2025.01.24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됐을 것"이라고 밝혔다. 혈액형 진화 연구는 고인류 사이의 교류와
호모
사피엔스의 이주 경로를 밝혀낼 증거로 쓰일 수 있다. 또 현대 혈액형에서 발생하는 상호작용을 더 잘 이해하는 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doi.org/10.1038/s41598-024-83023- ... ...
호모
에렉투스, 나무 없는 '잔인한 사막'에 살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17
교수는 "
호모
에렉투스의 성공은 환경과 기후 변화에 대한 뛰어난 적응력 덕분"이라며
호모
에렉투스의 적응력은 아프리카와 유라시아의 건조 지역으로 진출하고 자리잡는 데 도움이 됐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 doi.org/10.1038/s43247-024-01919- ... ...
현대인이 고대 인류보다 잘 달리는 비결은?
동아사이언스
l
2024.12.20
루시의 근육량을 추정했다. 이후 시뮬레이터로 루시의 움직임을 구현하고 현대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학명 Homo sapiens)의 디지털 모델과 비교했다. 실험 결과 루시는 현대인보다 달리기 능력이 크게 떨어졌다. 키가 1m 정도로 작은 루시의 몸 크기와 근육 형태를 현대인과 비슷하게 만들어도 최대 ... ...
현생인류-네안데르탈인 4만 9000년 전 첫 사랑 나눴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13
역추적해 두 인류 간 첫 교배가 4만7000년 전에 일어난 것으로 추정했다. 네안데르탈인과
호모
사피엔스의 혼혈 사건은 이후 7000여년 간 지속된 것으로 추정했다. 무르자니 교수 연구팀은 후속 연구를 통해 동아시아계 사람들의 유전체를 중심으로 현생 인류와 네안데르탈인 등의 혼혈 관계를 더 ... ...
[사이언스얼라이브2024] 국내 첫 과학 보도자료 시상식 열렸다…KIST·IBS·화학연 1위
동아사이언스
l
2024.12.12
작성했다는 점에 좋은 평가를 받았다. 저널리스트 부문 최우수상은 기후 변화가
호모
종 이종교배의 핵심 역할을 했다는 악셀 팀머만 IBS 기후물리연구단장 연구팀의 연구 보도자료가 선정됐다. 문학에 기반한 스토리텔링과 과학문화 활동 등으로 연구를 알리려는 노력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 ...
인류 조상 두 호미닌 종, 아프리카서 서로를 알아봤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29
두고 부드러운 퇴적층을 밟고 지난간 것으로 추정됐다. 연구팀은 "이번 발견은
호모
에렉투스와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의 생활 반경이 겹치고 호수 주변은 두 종 모두에게 서식지로 중요했다는 것을 시사한다"며 "다양한 공존과 경쟁, 생태 지위 분할 등의 상호작용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 ...
고대 인류, 학습 위해 '긴 유년기' 가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14
고인류의 두개골 화석으로 2001년 치아가 잘 보존된 상태로 발견됐다. 고인류의 주인이 '
호모
에렉투스'인지 또 다른 독립종인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고인류학에서 중요한 질문 중 하나는 인간이 왜 다른 동물에 비해 느리게 성장하냐다. 일부 과학자들은 인간이 큰 뇌를 발달시키고 복잡한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