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성애
동성연애
호모섹슈얼
동성애자
동성연애자
남색
레즈비언
스페셜
"
호모
"(으)로 총 75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기대이하 소행성 '베누' 시료…과학에 절제도 필요
2025.02.19
오른손잡이 분자 농도보다 유의미하게 높게(20% 이상) 나온다면 오늘날 아미노산의
호모
키랄성은 생명체가 등장하기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말할 수 있다. 참고로 초기 지구에 수많은 소행성과 혜성이 운석으로 떨어지며 생명체의 재료가 되는 분자를 공급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정밀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42억 년 전 생명체의 모습은?
2024.07.24
루카의 후손에게 넘어가 흔적을 남겼을 가능성은 있다. 네안데르탈인은 멸종했지만
호모
사피엔스의 게놈에 흔적을 남긴 것과 비슷한 맥락이다. 루카는 당시 유일한 생명체가 아니라 여러 생명체(이 가운데는 아세테이트를 먹이로 삼는 종류도 있었을 것이다)로 이뤄진 생태계의 일원이었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인류 화석의 아이콘 '루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4.07
이들을 바로 사람의 조상인 '호미닌(hominin)'이라 부른다. 호미닌으로부터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가 탄생했다. 이같은 학설은 고인류학자들이 발굴한 고인류 화석을 통해 정립됐다. 4일 사이언스 표지에 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고인류 화석인 '루시'가 등장했다. 존 거쉬 미국 시각예술가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착한 바이러스의 사악한 전략
2023.08.09
분석 결과를 담은 논문에서 한 곳이 조지아다(코카서스). 한편 2000년대 초 보존이 잘 된
호모
에렉투스 두개골이 발견된 이후 고인류학의 핫플레이스로 떠오른 드마니스도 조지아의 지역이다. 이들 과학을 테마로 조지아 여행 일정을 짜봐야겠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간 범유전체 지도 초안 완성
동아사이언스
l
2023.05.13
NHGRI)가 지원하는 국제 ‘인간 범유전체 참조 지도 컨소시엄(HPRC)’ 국제 공동 연구팀은
호모
사피엔스 전체에 걸쳐 발견되는 DNA 염기서열을 최대한 많이 담아내는 것을 목표로 추진해온 ‘인간 범유전체 참조 지도’의 첫 번째 초안을 완성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인류 '파란트로푸스'의 재발견
2023.02.21
문화의 증거가 보이고 인근 에티오피아에서도 175만 년 전 아슐리안 석기가 나왔다. 즉
호모
에렉투스야말로 하빌리스라고 불러야 하지 않을까. 어쩌면 파란트로푸스가 아슐리안 석기 기술을 습득하지 못한 게 에렉투스와의 경쟁에서 밀려 결국 멸종한 이유 가운데 하나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현대 인류의 기원과 특성을 고유전체학으로 밝히다
2022.10.04
개척한 기술적 업적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고유전체 연구를 우리 인류가 속한 종인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 해부학적 현대인의 기원과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틀로 제시했다는 데 있다. 해부학적 현대인과 유전적으로 가장 가까우며 상당 기간 지구상에 공존했던 대표적 고인류 네안데르탈인의 ... ...
[노벨상 2022] "무엇이 인간을 인간답게 만들까"...해답 찾은 생리의학상 수상자
2022.10.03
큰 뇌를 가지고 도구를 이용하며 살아갔다. 페보 소장의 연구 성과는 네안데르탈인과
호모
사피엔스의 연결성을 밝혔고, 데니소바인 등의 후속 연구로도 이어졌다. 인류의 뿌리가 어디에 있는지 밝혀내는데 공헌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껌 씹기도 운동...덜 씹으면 살 찐다
2022.09.06
보낸다고 해서 인류 역시 이 정도 시간이 최적인 것은 아니다. 침팬지와 갈라진 뒤 특히
호모
속이 나타난 뒤 도구와 불의 사용으로 턱과 어금니가 작아지는 쪽으로 진화가 가속화됐기 때문이다. 물론 하루에 고작 30분을 그것도 부드러운 음식을 씹는 데 쓰는 현대인들의 씹기근육은 운동 부족 ... ...
내 나이 100살, 꿈 아니다…'백세인' 9가지 필수조건
연합뉴스
l
2022.06.21
Homo-hundred)'가 쓰인다. 백세인이 용어 그 자체로 100세 이상 장수인을 지칭한다면,
호모
헌드레드는 사람을 뜻하는
호모
(Homo)와 숫자 100(Hundred)을 합성한 신조어다. 물론 백세인이 늘고 있다지만, 아직도 100세를 넘겨 장수하는 게 장담할 수 있을만한 일이 아니다. 게다가 요즘은 단순히 백세인이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