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성애
동성연애
호모섹슈얼
동성애자
동성연애자
남색
레즈비언
스페셜
"
호모
"(으)로 총 75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학술 식민주의'에서 독립한 아프리카 게놈 지도
동아사이언스
l
2020.10.31
색깔의 알갱이로 가득 들어찬 게놈 코드를 표지에 실었다. 아프리카는 현생인류인 '
호모
사피엔스'가 탄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인류의 요람이다. 하지만 가장 먼저 인간이 살며 가장 다양한 유전자를 가졌을 아프리카인의 유전적 다양성은 정작 제대로 조사된 적이 없었다. 아데보왈레 아데예모 ... ...
3만4000년 전 동아시아인은 코스모폴리탄
동아사이언스
l
2020.10.30
발달해 보이는 게 특징이다. 이 교수는 “이 때문에 서양에서는 이 화석의 주인공이
호모
에렉투스라거나 네안데르탈인이라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지만, 제대로 된 연구가 거의 없이 무시되고 방치돼 왔다”고 말했다. 제대로 연대도 측정되지 않고 보존도 제대로 안 되고 있던 이 화석이 중요한 ... ...
코로나19 중증 비밀 '네안데르탈인 유전자'에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8
높은 것으로 추정되는 유전자가 수만 년 전 친척 인류 네안데르탈인으로부터 현생인류(
호모
사피엔스)에게 전달됐을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가 또 나왔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중증 환자와 관련된 원인을 찾는 과정에서 네안데르탈인으로부터 이어온 유전자를 원인으로 추정하는 연구가 잇따라 나온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다윈의 항해
2020.10.01
속명(명사형)과 종명(형용사형)을 이 순서대로 붙여 부른다. 즉,
호모
사피엔스라고 하면
호모
속의 사피엔스 종의 생명체란 뜻이다. 수많은 동물과 식물을 분류하다보면 어느 카테고리에도 포함되지 않는 변종들을 접하게 마련이다. 변종, 또는 잡종의 존재는 린네에게 충분히 당황스러웠다. 그는 ... ...
"추위보다 현생인류와 경쟁이 더 버거웠다" 슈퍼컴 밝힌 네안데르탈인 멸종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5.26
미친 기후 조건을 더 잘 이해하는 것이다. 충북 단양 구낭굴에서 4만 2000년 전에 첫
호모
사피엔스가 나왔다는 주장이 있다. 연구단에 새 연구실을 꾸려서 한국 기후를 동굴 석순 동위원소 측정을 통해 재구성할 것이다. 그 뒤 우리의 컴퓨터 모델 시뮬레이션을 고기후 데이터와 함께 ... ...
[표지로 읽는 과학] 현생인류-네안데르탈인 '문화 교류' 근거 제시한 장신구
동아사이언스
l
2020.05.23
주인공이 기존 추정보다 최소 수천 년 앞선 약 4만3650~4만6940년 전에 살던 현생인류(
호모
사피엔스)라는 사실을 밝혔다. 불가리아 베이초 키로 동굴에서 발굴된 석기다. 1~3, 5~7은 날카롭게 끝을 벼린 돌칼 및 그 조각이고, 8은 가장 긴 돌칼이다. 4는 뼈로 만든 것과 비슷한 장신구로 사암을 깎아 ... ...
현생인류 유럽 진출 예상보다 더 일렀다…4만5000년 전후 생활도구 발굴
동아사이언스
l
2020.05.13
연대까지 측정했다. 그 결과 화석의 주인공이 약 4만3650~4만6940년 전에 살던 현생인류(
호모
사피엔스)라는 사실을 밝혔다. 현생인류가 유럽에 처음 진출한 연대가 최소 수천 년 앞당겨진 것이다. 또 유럽 대륙에 첫 현생인류가 등장한 이후 네안데르탈인이 사라지기 전까지 공존이 가능했던 기간이 ... ...
"아프리카인도 네안데르탈인 DNA 다수 보유"
동아사이언스
l
2020.01.31
유전자가 포함돼 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그 동안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
호모
사피엔스) 사이의 교류는 인류가 아프리카 대륙을 벗어난 뒤에 일어났기에 아프리카인에게는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가 거의 없을 것이라고 추정됐다. 연구팀은 “약 2만 년 전에 네안데르탈인의 ... ...
[인류와 질병]점점 북적이는 치과의 비밀 '치아의 진화'
2020.01.25
앞니 손상도 많다. 아마 앞니를 도구로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네안데르탈인의 손재주는
호모
사피엔스에 이르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작은 치아 인간의 치아는 다른 포유류에 비해서 숫자도 작고 크기도 작다. 플라이스토세 전 기간 동안 일관되게 나타난 현상이다. 원래 남성의 치아가 여성의 ... ...
네안데르탈인도 조개 잡으러 다이빙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의 두개골(왼쪽)과 네안데르탈인의 두개골(오른쪽). 네안데르탈인은 현생 인류에게 면역 등 유전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져 왔다. 위키미디어 제공 네안데르탈인도 조개를 잡기 위해 바다에 다이빙을 했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때 현생 인류와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