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성애
동성연애
호모섹슈얼
동성애자
동성연애자
남색
레즈비언
스페셜
"
호모
"(으)로 총 75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운동만 해서는 절대 살 못 뺀다!
2017.06.13
그 원인을 다각적으로 분석했고 현대인의 정적 생활 패턴을 주요원인으로 꼽았다.
호모
속 인류는 지난 200만 년 동안 수렵채취인으로 상당한 운동량을 유지하며 살았는데 1만 년 전 농업을 시작하며 한번 주춤했고 특히 20세기 들어 몸을 쓰지 않고 살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면서 이런 현상이 벌어지고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동성애에 반대한다? 성적지향에 대한 진실과 오해
2017.04.26
편견에 대응하기 위한 치료들은 있다. ● 차별의 영향은?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호모
포비아가 어떤 형태로 나타나며 이게 성소수자들의 삶을 어떻게 파괴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많은데, ‘심각한 반동성애적 편견(severe antigay prejudice)’은 높은 괴롭힘과 폭력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11만 년 전 동아시아에는 머리가 아주 큰 사람이 살았다
2017.03.14
추정되는 화석들과 그 시기가 겹친다. 즉 10만 년 전 중국 위쪽에는 고
호모
가 아래쪽에는
호모
사피엔스가 살고 있었다는 말이다. 이들이 서로 교류했는지 또 오늘날 동아시아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궁금증이 더해간다. 지금까지 고인류학 분야에서 아프리카에 쏟아 부은 인력과 비용, ... ...
‘호빗’의 조상, 70만 년 전에 존재했다.
2016.06.20
4월 21일자에는 약간 허탈한 연구결과가 실렸다. 즉 1만 8000년 전 으로 추정됐던
호모
플로레시엔시스의 연대를 10만~6만 년 전으로 대폭 수정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호빗 발굴을 주도했던 울런공대학 고생물학자들의 연구로 여기에도 마이크 모우드 교수의 이름이 보인다. 연구자들은 당시 호빗의 ... ...
현생인류 Y염색체에 네안데르탈인의 흔적 없다
2016.04.11
미토콘드리아 게놈 유래)이 복합체 Nn를 이루면 문제가 없고, S단백질(현생인류(
호모
사피엔스) 핵 게놈 유래)과 s단백질(현생인류 미토콘드리아 게놈 유래)이 복합체 Ss를 이루면 문제가 없다. 그런데 혼혈이 일어나 S단백질과 n단백질 조합이 되면 제대로 복합체를 만들 수 없게 될 수도 있다는 ... ...
[석기(石器)의 재조명] 인간을 인간답게 만든 것은 정말 ‘도구일까’
2016.03.21
도구(칼 역할을 하는 박편) 사용으로 턱과 치아의 부담이 많이 줄어들었고 그 결과
호모
에렉투스의 특징적인 진화가 가능했다는 말이다. 물론 그 뒤에 불을 이용한 요리를 발명하면서 저작의 부담이 더 줄어들고 소화효율이 더 높아진 건 사실이지만 결정적인 진화요인은 도구사용을 통한 식재료의 ... ...
네안데르탈인에게도 현생인류 피가 흘러들어갔다
2016.03.07
게놈이 현생인류로 흘러들어갔다는 추정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결과다.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의 두개골(왼쪽)과 네안데르탈인의 두개골(오른쪽). - 위키미디어 제공 ● 게놈에서 0.1~2.1% 차지 이런 결과들을 보면서 필자는 ‘그럼 현생인류의 피도 네안데르탈인이나 데니소바인에게 흘러가지 ... ...
호모
날레디, 고인류학을 비추는 별이 될까
2015.09.14
과정이 서로 맞물려 일어났다고 가정했다. 그러나 세디바와 날레디, 그리고 몇몇 초기
호모
속 화석의 발견은 이런 특징들이 개별적으로 진화했음을 시사하고 있다. 즉 인류의 진화는 단일 계통이 아니라 다계통(polyphlyetic)일 가능성이 크다는 말이다. 뜨는 별 동굴에서 발견된 날레디 화석 1550점은 ... ...
야생 침팬지의 냉장고를 부탁해
KISTI
l
2015.09.01
유인원에 가까운
호모
하빌리스에서 뇌 용량이 1.5배 커져 두발로 걷고 도구를 사용하는
호모
에렉투스로 진화하기 위해서는 불을 이용한 요리가 필수적이다. 둘째로는 요리는 식재료를 연하게 바꾸므로 섭취와 소화에 필요한 시간도 그만큼 줄어든다. 침팬지는 주간 활동시간의 절반에 달하는 ... ...
호모
하빌리스, 당신은 누구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4.04.14
분석결과로 뇌용량이 546cc에 불과하다. 현재까지 아프리카를 벗어난 최초의 인류는
호모
에렉투스로 알려져 있고 체형을 추측하게 뼈들 역시
호모
에렉투스임을 알려주지만(다만 키가 145~166센티미터 정도로 작다), 뇌용량은 터무니없니 작아
호모
하빌리스보다도 작다. 또 생김새도 턱이 많이 ... ...
이전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