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성애
동성연애
호모섹슈얼
동성애자
동성연애자
남색
레즈비언
스페셜
"
호모
"(으)로 총 75건 검색되었습니다.
[탄소중립 연속기고] 미세먼지 감축에 대한 공감대, 탄소중립으로 잘 연결해야
2022.04.04
미세먼지가 새롭게 발생했을 것이다. 그 다음 다시 지구에 인간이 출현했고 약 170만년전
호모
에렉투스가 처음 나무 태운 불로 조리한 음식을 먹기시작하면서 인간이 만든 첫 미세먼지가 배출됐다. 실제로 미세먼지가 지구상에서 공룡의 멸종을 일으킨 중요한 원인 중 하나가 될 수 있다는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생물의 이름에 남겨진 보통과학자의 기억
2022.01.27
린네의 이명법에 따르면 모든 종은 한 단어로 된 속명과 종소명을 지닌다. 인간은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이고, 초파리는(Drosophila melanogaster)다. 흥미로운 사실은 린네를 비롯해 그 시대에 살던 사람들은 대부분 모든 종이 신에 의해 창조되었으며, 그 이후에는 변하지 않는다고 믿었다는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유전자와 생명의 이름에 숨겨진 이야기들
2022.01.13
오래되었다. 생물학을 잘 모르는 사람도 칼 폰 린네가 시작한 생물종의 라틴어 작명법과 '
호모
사피엔스'라는 우리 종의 이름 정도는 알고 있다. 최근 출판된 《생물의 이름에는 이야기가 있다》는 지금은 우리에게 잊혀진 자연사와 분류학의 전통에서, 생물종의 이름을 두고 벌어진 흥미로운 ... ...
[과학게시판] 국립중앙과학관 '
호모
사피엔스 진화∞관계&미래? 특별전' 28일부터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21.12.27
보여준다. 매머드 3차원(3D) 프린팅, 3D 모션 캡처 영상물과 국내 첫 공개되는 초기 인류인
호모
날레디 복원품, 한국에서 출토된 쌍코뿔이 아래턱 등이 전시된다 ... ...
사우디 북부 사막은 10만년 주기로 '초원의 문' 열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06
년 전 두개골이 발견되면서 초기 이주 시기가 더 이전 아니냐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호모
사피엔스와 같은 호미닌이 이주할 환경은 이미 6만5000년 전 이전에도 기후가 바뀔 때마다 수 차례 있었다는 분석이다. 안드레아 매니카 영국 케임브리지대 동물학부 교수팀은 30만 년간 북동아프리카와 ... ...
[올림픽의 과학]인간은 단거리보다 마라톤에 최적
동아사이언스
l
2021.08.07
때는 수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장거리 주행 능력은 현생 인류가 속하는
호모
(Homo) 속(屬)이 등장한 약 200만년 전에 갖춰진 것으로 보인다”며 “이는 이전의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구분되는 면”이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이들은 왜 장거리 주자가 됐을까. 리버만 교수는 “우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니소바인은 한반도에도 살았을까
2021.07.13
결과도 이를 뒷받침했다. 그러나 이번 논문에서 저자들은 하얼빈 두개골과 가장 가까운
호모
롱기라고 주장했다. 네이처 제공 ※필자소개 강석기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활동했다. 2012년 9월부터는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호모
네쉐르 라믈라 발견, 네안데르탈인 기원 흔들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27
35만 년 전 유럽에 처음 나타났고 2만 4000년 전 멸종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호모
네쉐르 라믈라에 네안데르탈인의 특성이 나타난 만큼 네안데르탈인 중 일부는 레반트 지역에서 유럽으로 넘어갔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허스코비츠 교수는 “새 발견 이전에 대부분 연구자들은 네안데르탈인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아프리카서 가장 오랜 현생인류의 무덤
동아사이언스
l
2021.05.08
네안데르탈인은 12만년 전에도 땅을 파고 시신을 매장한 흔적이 수십개씩 발견됐다. 반면
호모
사피엔스는 그런 무덤 흔적을 찾기 힘들었다. 남부 아프리카와 북부 아프리카에서 찾은 약 6만9000년에서 7만4000년 전 사이 무덤이 전부다. 과학자들은 이번 발견이 인류의 장례의례 기원과 그 변천사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
에렉투스, 사건의 재구성
2021.04.27
표현은 나온다. 이번 논문을 계기로 현생인류의 직계 조상으로 여겨지는
호모
에렉투스의 정의가 ‘현대인에 가까운 골격을 지닌 인류’에서 ‘현대인에 가까운 골격과 뇌 형태를 지닌 인류’로 바뀌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아프리카 케냐에서 발굴된 176만 년 석기에서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