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록"(으)로 총 129건 검색되었습니다.
-
- [JOB터뷰] 다친 문화재, 진단부터 치료까지....이태종 문화재보존가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있죠. 문화재 재질에 따라서도 팀이 나뉩니다. 의류를 연구하는 직물 팀, 실록을 연구하는 지류 팀 등이 있어요. 저는 석재 팀이에요. 금속 소재와 목재 장식이 함께 있는 복합 유물의 경우는 금속 팀과 목재 팀이 같이 연구한답니다. Q가장 기억에 남는 문화재가 있나요?625 전쟁 때 1만 조각 ... ...
-
- [꿀꺽! 수학 한 입] 착한 콩쥐를 모두가 도와줘~!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4호
- 새어머니와 동생 팥쥐의 구박을 받는 콩쥐. 어느 날 콩쥐에게 무척 어려운 숙제가 생겼어요. 커다란 볏짚 주머니 속 볍씨의 껍질을 모두 벗기고, 밑부분이 깨져서 물이 줄줄 새는 장독에 물을 꽉 채워야 한대요! 껍질을 까야 할 볍씨의 개수는 몇 개일까요? 장독에 채워야 할 물의 양은요? 콩쥐에게 ... ...
-
- 자격루의 두뇌, 588년 만에 깨어나다과학동아 l2022년 10호
- 나무로 만들었으니, 이에 시각에 따라 스스로 알리므로 사람의 힘이 들지 않았다.”세종실록 ‘보루각기(報漏閣記)’에는 스스로 시간을 알려주는 물시계, 즉 자격루에 대한 내용이 상세히 기록돼 있다. 1434년 세종의 명으로 장영실이 경복궁 경회루 남쪽 보루각에 자격루를 처음 설치할 당시의 ... ...
-
- [특집] 문명 아이템 수학동아 l2022년 06호
- AI영상학과, 스타트업 스캐터랩, KAIST AI대학원어떻게 번역이 완료된 조선왕조실록 데이터를 AI에 학습시켜 승정원일기를 예상보다 수십 년 빨리 해독했다. 일본 초서누가 일본 오픈 데이터 인문학 센터어떻게 일본의 고전 문학이나 고문서 등의 한자를 AI에 학습시켜 현대 일본어로 해독했다 ... ...
-
- [특집] 과연?! 장영실의 손이 닿았을까? 물시계와 천체시계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5호
- 이번에 금속활자와 함께 물시계, 천체시계의 부품도 같이 발견되었어요. 두 유물은 기록으로만 남아있었기 때문에,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 기록하고 있어요. 이 넷이 다 사라졌다가 무려 584년 만에 다시 발견된 거예요! ●세종실록 : 1454년에 세종 재위 32년 동안의 기록을 묶어 만든 책 ... ...
-
- [특집] 누가 뭐래도 독도는 우리땅!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수 있다’고 적혀 있어요. 일본에게 독도가 우리땅임을 확인받은 사건도 있습니다. 숙종실록에 따르면 1693년 안용복, 박어둔 등 40여 명의 어부들이 울릉도에서 어업을 하다가 울릉도에 온 일본 선원들에게 납치를 당합니다. 이 사건으로 조선과 일본 사이에 울릉도의 영유권을 두고 분쟁이 ... ...
-
- [특집] 피타고라스 정리로 증명한 독도는 우리땅!수학동아 l2021년 10호
- “한국인은 독도의 존재 자체를 인지하지 못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앞서 1454년 세종실록지리지에 울릉도에서 독도가 보인다는 기록을 반박하는 내용이었죠. 이후 이 주장은 오랫동안 한국보다 일본이 독도를 먼저 발견했다는 주장의 근거로 쓰였습니다. 그러던 2009년 당시 서울 ... ...
-
- 서울 땅 3m 아래 조선의 금속 유물과 만나다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주전은 지금까지 문헌 기록으로만 존재했고, 발견된 것은 이번이 최초다.‘세종실록’에는 김돈의 ‘보루각기’를 인용해 절기에 따라 주전을 교체해 사용했다고 적혀 있다. 이 중 ‘일전’은 동지 첫날부터 대한 후 2일까지, 소한 전 4일부터 동지 전일까지 사용됐던 것이다. 절기에 따라 주전의 ... ...
-
- [특집] 땅에 묻혀있던 하늘이 드러나다수학동아 l2021년 09호
- 설명합니다. 자격루와 일성정시의가 그런 경우죠. 그런데 이번 일성정시의 유물은 실록과 정확히 일치합니다. 일성정시의는 세종이 직접 고안하고 디자인한 기기입니다. 이런 유물이 발굴된 유례가 없고 복원품과 큰 차이가 없는 점도 의의가 있죠. Q 일성정시의의 실물과 복원품에 차이가 있었나요 ... ...
-
- [시사 과학] 식목일 앞으로 3월로 당겨질 수도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청명’ 무렵으로, 전통적으로 나무를 심기에 적합하다고 알려졌어요. 게다가 조선왕조실록에는 1343년 4월 5일, 조선의 9대 임금인 성종이 동대문 밖에서 직접 밭을 일구며 풍년을 기원했다는 기록이 전해져 역사적 의미도 크죠. 여기에 더해 식목일 날짜를 바꾸는 데 드는 행정적 비용 등을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