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brain"(으)로 총 104건 검색되었습니다.
- [뉴럴링크] BCI 기술의 네 가지 미래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인공신경망을 접합해 BCI와 AI 기술의 연계를 이룰 수 있다. 이를 뇌-AI 인터페이스(Brain-AI Interface)라고 부른다. 이것이 실현되면 인간이 지닌 자연신경망의 생물학적, 물리적 한계를 벗어날 수 있다. 인공신경망을 통해 인지 기능이 확장되는 ‘인지 증강’이 일어나는 셈이다. 초인간적인 감각 ... ...
- [뉴럴링크] 텔레파시를 현실로, 일론 머스크의 꿈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깜짝 발표했다. 뉴럴링크는 머스크가 2016년 설립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Brain-Computer Interface) 연구 기업으로, 뇌와 컴퓨터를 연결해 의료 등에 적용하는 기술을 연구한다. 과연 머스크가 발표한 뉴럴링크의 기술력은 진짜일까. 뉴럴링크는 뇌와 컴퓨터를 어떻게 연결했고, 이 기술은 얼마나 ... ...
- [뉴럴링크] 뉴럴링크가 있기까지 BCI 50년과학동아 l2024년 04호
- 973년 뇌와 컴퓨터를 연결한다는 개념이 탄생한 이후,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Brain-Computer Interface) 분야는 발전을 거듭해 왔다. 그 덕분에 생각으로 사물을 움직이고, 말 없이도 생각을 나누는 이른바 ‘텔레파시’ 기능을현실에서 구현 할 수 있게 됐다. BCI기술이 어떤 흐름을 거쳐 뉴럴링크가 나올 ... ...
- [뉴럴링크] 마비 환자가 다시 걷고 말하다... BCI 기술의 현재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컴퓨터를 연결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brain-Computer Interface)를 가장 먼저 활용하는 분야는 의학이다. 뉴럴링크의 설립자 일론 머스크도 시각장애인에게 시각을 제공하는 ‘바이오닉 비전’을 중요한 목표로 제시했을 정도다.오늘날 의학계에서 BCI 기술은 마비 환자의 거동을 돕고, 의사소통의 ... ...
- [DGIST@융복합 파트너] 암 후성유전학으로 희귀 뇌종양 치료를 꿈꾸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정 교수는 강조했다. 우리 뇌의 혈관은 혈관 주변을 감싸는 막인 ‘뇌혈관 장벽(BBB・ Blood Brain Barrier)’으로 둘러싸여 있어, 치료제를 찾더라도 이것이 뇌까지 잘 도달하게 하는 것은 또 다른 과제이기 때문이다. 정 교수는 “약이 아무리 좋아도 막을 통과 못하면 암을 치료할 수 없다”며 “뇌혈관 ... ...
- [네, 그래서 이과가 일해봤습니다] 네, 그래서 이과가 AI 기자와 기사를 써봤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연구가 발표되었습니다. 2013년에 출판된 ‘The impact of sleep deprivation on food desire in the human brain’이라는 논문에서는 잠 부족이 식욕을 조절하는 뇌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험 결과, 잠을 충분히 자지 못한 사람들은 고칼로리 음식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는 ...
- [이달의 책] 재료가 바꾼 인간의 감정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책에서 만나보자. ‘LIVEWIRED’. ‘생후배선’으로 번역되는 이 말은 저자가 뇌 가소성(Brain Plasticity)의 의미에 한계를 느껴서 새롭게 만든 용어다. 전구에 불이 켜지려면 전기 배선이 서로 연결돼야 한다. 마찬가지로 우리 뇌는 미완성인 상태로 태어나 상황에 알맞게 스스로 모습을 바꾸고 연결되며 ... ...
- [기획] 게임을 가르치다! 미니 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만들어졌지요. 연구팀은 ‘접시 속의 뇌’라는 의미로 이를 ‘디시브레인(Dish+Brain)’이라고 이름 붙였습니다. 연구팀은 미니 뇌(뇌세포들)가 퐁 게임을 할 수 있게 컴퓨터와 연결했어요. 그리고 전극으로 전기 신호를 줘 미니 뇌를 학습시켰지요. 예를 들어 화면 속 막대기가 위쪽으로 이동해서 ... ...
- 질문하면 답해 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얼음물을 벌컥벌컥 마시는 순간, 머리에서 띵~ 하는 통증이 느껴져요. ‘브레인 프리즈(Brain Freeze)’라고 불리는 이 현상은 우리 몸이 뇌를 보호하려고 순간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알려졌죠. 지난 2012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의과대학 호르헤 세라도어 박사팀은 브레인 프리즈는 뇌의 대동맥 중 ... ...
- 인공 눈, 인공 팔, 인공 몸... 인체 개조 드라마 '루갈'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칩을 이식한 뒤 이 칩과 기계를 연결해 원하는 움직임을 만들어내는 뇌-기계 접속(BMI·Brain-machine interface) 기술과 유사하다. 김소희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공학전공 교수는 “인공 눈이 뇌에 심은 칩으로 파악한 적의 정보를 순식간에 보여주는 모습이나, 체내 호르몬에 변화를 일으켜 ... ...
12345 다음